![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19/005/5619.png)
![포인트:37255point (3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투수가 구종을 추가하는 걸 마치 게임에서 아이템 구매하듯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구종을 추가하려면 이전에 던지던 다른 구종의 밸런스가 깨지거나, 부상을 입거나, 투구폼에서 차이가 있어서 수를 읽히거나 하는 경우가 다반사.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04/289/289004.jpg)
![포인트:31529point (71%), 레벨:18/30 [레벨:1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8.gif)
제가 특별히 머리가 나쁜 것이 아니었군요. 이상하다 했음.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3955point (61%), 레벨:6/30 [레벨:6]](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6.gif)
http://saeumbook.tistory.com/317
이곳에 원문과 김화영 번역이 대조되어 있습니다. 다 읽어보진 않았는데 생각보다 오류가 많군요.
반드시 고쳐져야 한다고는 생각하는데요 사실 이방인 소설의 본질은 어떻게 번역하든지 똑같을거라 생각해요.
일광욕하고 있는 아랍인을 쏴죽인 것이 정당방위라고 보기에는 좀 어렵죠.
이런 소모적인 논쟁이 없으려면 우리나라에서 명작이 나와야 할텐데.
우리나라에서는 유학파들끼리 백만년째 싸우는 중이죠.
어디 대학 나왔니? 독일어는 할 줄 아니? 지젝은 읽어봤니? 논문 표절 아니니?
최신 유행 이론 섭렵햇니? 등등이 주요 레파토리인데 이 질문 받으면 유학가는 수 밖에 없음.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074point (8%), 레벨:11/30 [레벨:1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1.gif)
그 뿐이 아니지요. 번역본에 오역이 없을 수 없습니다.
안정효의 『오역사전』을 보십시오.
잘못 번역된 수 많은 사례를 친절하게 바로잡아 놓았습니다.
우리나라 번역서에 오역이 많은 이유는
1) 전문 번역가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는 것
2) 전문 교정인 또한 제한되어 있다는 것
3) 정부가 이 부분에 전혀 투자를 하고 있지 않다는 것
4) 도서관이 제대로 발달되어 있지 않아서 사람들이 책을 잘 읽지 않는다는 것
5) 전공 지식이 없는 사람들이 번역을 하는 것도 문제이지만, 영어를 적당히 할 줄 아는 사람이 번역을 하는 것도 문제임.
기타 등등의 이유가 많지만, 가장 큰 문제는 "재정" 즉 "돈"과 직접 관련되어 있습니다.
제가 알기에는 일본에는 번역국, 혹은 번역청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오역의 역사는 오욕의 역사입니다.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0474point (77%),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passage를 '항해'로 번역하면 또다른 오역임. 얘를들어 문경새재는 괴산에서 문경으로 넘어가는 passage (통로? 경로?) 비슷한 개념으로 보는게 맞을듯. 항해는 주로 바다에서 쓰는 용어인데 이를 육지에다 적용하는건 좀무리.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334/298/298334.jpg)
![포인트:5350point (69%), 레벨:7/30 [레벨: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7.gif)
저도 책을 번역하여 출판한 적이 있었는데,
번역에만 1년 수정에 또 6개월이 걸리는 기나긴 여정이었습니다.
(번역서가 무려 944페이지에 달하기 때문이었습니다. 본문도 길지만
내용의 난이도 때문에 거의 모든 페이지에 역자주를 달았음.)
그런데도 오역이 없다고 자신할 수 없습니다.
아무리 번역가의 역량이 뛰어나다 해도 오역은 불가피한데
저의 경우를 돌이켜 보면
체력저하로 인한 집중력 하락과
번역 과정 중에 저자의 논리를 따라가기 보다
개인의 사상을 개입시키기 때문이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이를 잡아 줄 수 있는 공동 번역가나 편집자가
존재 해야만 오역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지만
독서 시장이 협소한 한국에서는 이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이를 바로 잡으려면 시장에 맡기기 보다
정부가 국책사업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074point (8%), 레벨:11/30 [레벨:1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1.gif)
제 말이 그말입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04/289/289004.jpg)
![포인트:31529point (71%), 레벨:18/30 [레벨:1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8.gif)
인간이 각자에게 꼭 유리하게 하려는 의도에서 거짓말을 한다기보다는
심리, 물리적인 입장차에 의해 사건을 실제 경험하는 것 자체가 다르다고 보이는데요.
즉 인간이 본질적으로 각자 내부에 세상을 바라보는 구조자체가 다르므로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겠죠.
인간의 시선이 본질적으로 왜곡이 정상이라는 점을 알 수 있고요.
근데 여기서 장벽은 어떤 은유적인 표현으로 쓰신것 같은데.
조금 설명을 곁들여 주실 수 있을까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2723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의사소통의 장벽 말입니다.
남자어와 여자어의 차이만큼 도처에 장벽이 있소.
그 장벽의 존재를 인정해야 진정한 소통이 가능하오.
실제로 존재하는 장벽을 인정하지 않으면 부부간에도 대화는 실패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04/289/289004.jpg)
![포인트:31529point (71%), 레벨:18/30 [레벨:1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8.gif)
머리에 안꽂히는 걸로 봐서 제가 생각 좀 많이 해봐야겠네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2723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남북한 사이에 휴전선만 장벽이겠소?
우리쪽 할배들은 남침트라우마가 있지만
북쪽 할배들은 미군폭격트라우마가 있는데
그 공포는 당해보지 않은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겁니다.
그 사람들은 꽤 진지하게 북한이 조금의 빈틈만 있으면
미군이 바로 밀고올라간다고 믿습니다. 초토화는 기본.
미국이 즐겨 쓰는 석기시대로 돌려놓는다는 말이 농담이 아닌거.
이라크 꼴도 지켜본 본 판에.
한국인 중에도 장롱에 금괴배낭 넣어두고 가끔씩 꺼내보며
이젠 전쟁나도 이 배낭만 있으면 걱정없어 하고 배낭 쓰다듬으며 우는 사람 있습니다.
그런 사람과 대화 됩니까?
대화가 안 된다는 사실을 인정하는게 대화의 출발.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074point (8%), 레벨:11/30 [레벨:1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1.gif)
라생문 앞에 모여 재판을 해도 마찬가질 겁니다.
자기가 본대로 이야기하는데
보는 방식이 다 다르다는 사실
그 고전 영화를 "라생문 - 라쇼몽"
다시 봐야겠습니다.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04/289/289004.jpg)
![포인트:31529point (71%), 레벨:18/30 [레벨:1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8.gif)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2723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나이들면 뚱뚱해진다는 설은 사실이오?
우리도 얼른 통일해서 회령미인, 강계미인으로 대응해야 할 판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280/281/281280.jpg)
![포인트:8381point (63%), 레벨:9/30 [레벨:9]](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9.gif)
그 뭐라더라 그쪽 동네 먹는 물의 수질이 좋지 않아서, 석회가 많은 물이라던가...
그 물을 40년 복용하면 몸이 이상해져서 뚱뚱한 아줌마가 된다던데... (사실관계 찾아보기 귀찮음)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828/219/219828.jpg)
![포인트:41571point (48%), 레벨:21/30 [레벨:2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1.gif)
차우님 눈호강 많이 하고 오시길....^^
과거 어디선가 미인이 많은 세계도시를 통계로 뽑았는데 1위는 당연히 키에프.....ㅎㅎ
아시아 도시로는 한국의 서울이 유일하게 톱10에 들었소. 9위로...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04/289/289004.jpg)
![포인트:31529point (71%), 레벨:18/30 [레벨:1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8.gif)
나이든 아줌마들이 뚱뚱한 경우가 많긴 한데.. 며칠 좀 더 봐야.. 이거 물어볼 수도 없고 ㅎㅎ
빨리 늙는 것은 확실합니다. 러시아에서도 그런 경향이 심했었는데요.
단지 얼굴에 주름이 많아진다던가 하는 정도가 아니라
온몸의 피부가 늘어지는게 보였어요. 심지어는.. 말하기 뭐한 부분까지..
한국여자보다 과장없이 10년은 더 늙어 보입니다.
덕분에 제가 7년 젊어보이는 기막힌 효과가!
개인적으로는 덴마크가 얼굴에 패션까지 발달해서 좀 더 낫네요.
근데 덴마크의 패션도 한국에는 못미쳐요.
지금 맥도날드에 앉아 있는데 자리가 없어 같은 테이블에 앉은 눈앞의 고딩도 이쁜 판...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2723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눈 닦고 봐도 한국에 미인은 참으로 드문데
한국에 미인이 많다는 외국인들의 견해가 있는 걸로 봐서
한국인의 동안효과가 아닐까 싶소.
요즘 한국 여성은 40대도 20대 같으니깐.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04/289/289004.jpg)
![포인트:31529point (71%), 레벨:18/30 [레벨:1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8.gif)
분명 뭔가가 있습니다.
다수의 관측결과 30대 후반인줄 알았던 여자들이 20대 중후반이질 않나.
아무튼 단순 동안 효과가 아니라 실제로 피부 노화가 빨라보였습니다.
혹, 뚱뚱해지는 것도 같은 연장선상은 아닐지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우크라이나 크림 검찰총장은 굉장히 어려보이는 여자입니다.
그리고 저 여자 가까이서 찍은 사진이 없는 것으로 예상컨데 실제로 보면 훨씬 더 늙어 보일겁니다.
서양인의 육식이 노화를 촉진시키는 것인지, 유전자 자체가 다른 것인지 모르겠네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463/080/80463.jpg)
![포인트:14303point (59%),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이동네 미녀피크나이는 16세라 하고요,
20세이상이면 자녀 한명이상 있고요. 40대 할베 할매는 기본이고요,
노인 주차 ㅋㅋㅋ, 차도 없는 노인분들이 새벽부터 일어나 표 찍어드린 그 놈의 차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