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376/008/8376.png)
![포인트:12136point (60%), 레벨:11/30 [레벨:1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1.gif)
나라가 방향을 잃으면 요렇게 됩니다.
싸울 대상이 없으니 힘없는 약자를 족치는거
밥먹고 할일은 없고 법안이나 만들자한건데 방향성을 모르니
걍 눈에 딱 띄는 노숙자를 잡아 화형식을 하는거
논리야 경제든 지역주민이든 갖다붙이면 되고
딱 새누리 방식이네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27657point (52%), 레벨:17/30 [레벨:1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7.gif)
서구사람들은, 개인주의가 너무 강해서, 낙오자들을 감싸지를 않아요. 그냥 버리죠...플로리다는 좀 막가는 케이스고, 샌프란같은 경우는, 공존하려고도 노력은 하는데, 홈리스 문제가, 약물오용과 연관이 되어있어서 복잡하죠...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9734point (80%), 레벨:14/30 [레벨:1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4.gif)
각자, 자기 의 일을 하는 거죠!
어느 것이 공동체를 위하는 것일까요?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21184point (33%),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노숙자 무료급식이나 극빈자 자선사업은 못하게 막아야 합니다.
국가가 해야할 일을 종교단체나 자선사업가에게 맡기면 안되죠.
노숙자가 일반식당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는 무료식권을 나눠주는 방법도 있고..
길거리 급식말고 다양한 방법으로 공생을 모색해봐야죠.
빅이슈의 성공사례를 참조할수 있습니다.
가령 길거리 노숙방범대를 창설하는 것도 한 방법.
뒷골목 전문가인 노숙자 방범대가 출범하면 거리범죄의 씨가 마를 듯..
빈민, 노숙, 범죄같은 사회 말단에서 일어나는 불가항력적인 현상에도 창의적인 발상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23724point (23%), 레벨:16/30 [레벨:16]](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6.gif)
![id : momo id: momo](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014/14.gif)
오! 노숙자 방범대...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765/005/5765.jpg)
![포인트:1548point (13%), 레벨:4/30 [레벨: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4.gif)
걍 먹고 살려고 애쓰는 걸로 보이는데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765/005/5765.jpg)
![포인트:1548point (13%), 레벨:4/30 [레벨: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4.gif)
애쓰는게 아니라 무리한다는 표현이 적당하겠네요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21184point (33%),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한국에서 보기드문 착한여자네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82/112/112082.jpg)
![포인트:2911point (66%), 레벨:5/30 [레벨: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5.gif)
![id : 땡건 id: 땡건](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082/112/112082.gif)
착한 여자에 한표!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3783point (46%), 레벨:6/30 [레벨:6]](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6.gif)
이런여자가 많아질수록 연애가 더 수월해 질거라고 생각합니다.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7054point (84%), 레벨:8/30 [레벨: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8.gif)
공포란 무지에서 출발합니다.
여자가 내숭을 떨어 감출수록 상대남자는 공포를 느낍니다.
연애못하는 남자들은 여자의 내숭때문입니다.
반대로 곽정은처럼 다 오픈하면 상대하기가 참 수월하지요.
보이는 대로 판단하면 되거든요.
그래서 전 곽정은을 보면 흐믓하고 시원합니다.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27657point (52%), 레벨:17/30 [레벨:1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7.gif)
게이필이, 확실히 납니다. (여성의견이 아니라...)
끈 굵기 짧은건, 브라밴드 라인을 연상케 하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04/289/289004.jpg)
![포인트:31529point (71%), 레벨:18/30 [레벨:1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8.gif)
두명의 여자에게(20대 중 후반) 물어본 결과
여성취향은 아닌거 같고 유니섹스 느낌이 난다고 합니다.
유니섹스 정장(차이나 풍이나 바지 정장)에 어울릴 디자인.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514point (34%), 레벨:2/30 [레벨: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gif)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376/008/8376.png)
![포인트:12136point (60%), 레벨:11/30 [레벨:1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1.gif)
팀 쿡은 혁신가는 아니고 장사꾼인감
팔아먹기위한 무난한 디자인
하지만 500은 심하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481/010/10481.gif)
![포인트:18892point (47%), 레벨:14/30 [레벨:1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4.gif)
와우 엄청 이뻐요. 갖고싶다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23724point (23%), 레벨:16/30 [레벨:16]](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6.gif)
![id : momo id: momo](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014/14.gif)
어느 한쪽 성에 치우치지 않으면서도 고급하고 심플해서 걍 맘에 듭니다.
남성미:여성미가 6:4 정도로 느껴짐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941/005/5941.jpg)
![포인트:38337point (63%),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3783point (46%), 레벨:6/30 [레벨:6]](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6.gif)
손목줄 색깔이 촌스럽네요.(전 남자)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21184point (33%),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사각시계는 싼티남.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514point (34%), 레벨:2/30 [레벨: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gif)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514point (34%), 레벨:2/30 [레벨: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gif)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04/289/289004.jpg)
![포인트:31529point (71%), 레벨:18/30 [레벨:1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8.gif)
많은 사람을 관찰한 결과 키와 체격과 상관관계를 보면 키나 덩치가 작더라도 페니스의 크기가 꼭 큰 건 아니었는데요.
"마른장작이..어쩌구" 하는 말이 있는 것과 같이 오히려 마른 사람들의 페니스가 더 큰 경우가 많았습니다.
페니스의 크기는 비만도와도 상당히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소아기 비만도가 클 수록 작은 경우가 많았거든요.
반면 손의 크기는 키와 상관관계가 상당히 큰데요. 키가 크면 손과 발이 큰거죠.
키가 크다. > 손, 발이 크다.(o) > 페니스가 크다.(?)
그래서 제가 내린 결론은 소아기 시절 가상적 기아를 겪은 사람(마른 사람)의 경우 페니스가 크고, 반대의 비만을 겪은 사람은 작다는 것입니다. 환경이 나쁘면 페니스가 커진다는 거죠.
성장기에 영양분이 부족했다. > 말랐다. > 페니스가 크다.
성장기에 영양분이 풍부했다. > 살쪘다. > 페니스가 작다.
페니스가 큰 것이 종족번식에 더 유리한 것이냐의 문제는 논란이 있을 수 있겠으나, 식물들의 경우 생육환경이 나쁘면 자손의 크기뿐만 아니라 개체수까지도 늘리는 것을 봤을 때는 분명히 상관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과실수의 경우 환상박피를 하여 열매의 크기를 크게 만들 수 있으니깐요.
생식기관의 크기가 크다고 자손의 크기까지 커진다는 것이 유전자의 관점에서 보면 반드시 맞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생식기관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 식물의 경우엔 거의 들어 맞습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3155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원문은 인간 중에서의 개인차 보다는 유인원과 인간의 차이를 논하고 있지요.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27657point (52%), 레벨:17/30 [레벨:1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7.gif)
생물학자들 이야기는 좀 아닌거라고 보면 됩니다. 좀 어폐가 있나요? 너무, 실증주의에 파고들다보니, 선입관이 과도하게 들어갑니다... 특히 인류학과 결부되면 더 그렇죠.
직관이 중요한데, 생물학은 직관을 잃은지 오래이고, 그건 돈과 연관이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5498point (80%), 레벨:7/30 [레벨: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7.gif)
제 생각에는 돈보다는 기존 통념에 기대는 것이 더 편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연구라는 것이 동시대를 살아가는 동료들에 의해 평가를 받아야 하는 것이므로, 이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어려움을 헤쳐 나가야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27657point (52%), 레벨:17/30 [레벨:1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7.gif)
진화생물학의 경우..가 그렇고, 물리학도, 천체물리학으로 가면, 아무도 관심없으니, 자기들끼리하죠. 그래도, 천체물리학은 거짓말은 안하죠. 뭐, 시사리트윗이니 이정도지만,
신해철 죽음과 결부되어서, 생물학, 의학, 제약회사 등등의 고리가 생각나서, 좀 제가 과했네요...쩝...그래도, 제약회사 음모론은 수준낮은거고, 진화생물학쪽은 좀 생각의 여지가있습니다. 지금에라도, 타학문 특히, 의료장비를 생산하는 물리학에 문을 여는게 좋을것 같아요. 그게 더 합리적이죠. 건조하고,
그건, 기후변화를 이야기하는 지구과학에도 해당하는 사항이네요...센서를 제공하는 물리학에 자리를 내줘야합니다. 네러티브는 오해만 더 불러일으키죠. 영어건 한국어건.
모든 범죄는 사람이 악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권력관계에서 비롯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