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17/302/302017.jpg)
![포인트:13283point (14%),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인간은 원래 하던짓을 반복하는 존재입니다. 공감 백프로네요. 저 역시 한심하고 쓸데없게도 원래 하던짓을 반복하고는 하지만ㅡㅡ; 제가 마주치는 인간들보면 왜 저럴까 싶을정도로 쓸데없이 원래 하던짓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한대 때려주고 싶을 정도로. "어리석음이란 계속해서 똑 같은 일을 반복하면서도 좋은 결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 아인슈타인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17/302/302017.jpg)
![포인트:13283point (14%),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요즘 생각의 정석 소리가 예전 초창기때처럼 다시 작아진듯 싶습니다. 작게 들려요.
아마 서버 이전 이후 방송부터 그런듯 싶습니다.
지난주까지는 많이 작게 들렸고 이번주는 그나마 좀 나은데 그래도 좀 작게 들리는듯 싶습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17/302/302017.jpg)
![포인트:13283point (14%),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근데 전 이런 기사 볼 때마다 좀 답답해 지는게 역시 한국은 어쩔수 없는 유교주의 국가구나 라는겁니다.
솔직히 후손들이 황희정승에 대해 얼마나 잘 알겠습니까? 다 좋은얘기만 전해 듣고 역시 우리 조상님은 훌륭하신 분이야.. 우리는 그 훌륭하신분의 후손이고 뼈대있는 가문.. 에헴.. 이러겠지 누가 자기조상에 대해 좋은면 안좋은면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겠습니까? 있다해도 얼마나 될까요?
왜 이런얘기가 나오면 역사학자라든지 그 시대의 인물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먼저 나서서 그건 그런게 아니고 사실은 이렇고.. 이런 얘기를 먼저하는 경우는 거의없고 왜 맨날 종친회 후손들이 목소리를 높이느냐는 겁니다.
목소리를 높여서 이번기회에 난 너희와 다른 뼈대있는 가문의 후손이야.. 뭐 이런걸 강조하고 싶은것인지..?
이런현상도 부족주의나 다름없는거 아닙니까?
다른 나라는 어떤지 궁금하네요.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4741point (79%),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17/302/302017.jpg)
![포인트:13283point (14%),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근데 남자 혼자 택시탈때 뒷자리에 앉는게 원래 이상하거나 예의없는건 아니죠? 여자들은 아무렇지도 않게 자연스럽게 뒷자리에 타고 가던데.. 전 지금까지 혹시나 해서 그냥 앞에 조수석에 앉아서 갔습니다만.. 생각해보면 내가 손님이고 내돈내고 타는데 왜 기사 눈치를 봐야돼지? 여자들은 전혀 눈치안보고 뒷자리에 잘만 타던데.. 남자는 왜 눈치를 봐야하지?
그게 원래 예의없는게 아니라면 다음부턴 뒷자리에 앉아서 갈까 해서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828/219/219828.jpg)
![포인트:41577point (48%), 레벨:21/30 [레벨:2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1.gif)
돈 내고 타는데 애시당초 예의 운운하는게 어불성설입니다. 돈 안 내고 얻어탄다면 그때부터는 예의를 따질 수 있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3049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진화는 유전자 모듈을 갈아끼우는 방식으로 일어나므로
매우 쉽다는게 쉬운 구조론이죠.
유전자가 모듈단위로 작동한다는 것은
다윈의 자연선택설이 완벽하게 부정되었다는 의미입니다.
핀치새 부리의 다양한 변이가 사실은 한 개의 모듈이었다는 거죠.
그래서 부리만 변하고 다른건 안 변합니다.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913point (58%), 레벨:4/30 [레벨: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4.gif)
불과 천만년동안에 지구상에 이렇게 다양한 동물종이 생겼다는 사실도 모듈진화론을 지지한다고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830/008/8830.jpg)
![포인트:71652point (21%), 레벨:28/30 [레벨:2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8.gif)
http://newspeppermint.com/2015/05/26/perching-toe/
이 기사 내용을 보면 닭발을 닭의 조상인 공룡발 처럼 바꾸는 실험 결과가 나오는데. 실험 결과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유전적 변화가 형태적인 결과로 나타나는 과정이 얼마나 간접적인지를 보여주는 가장 분명한 예 중 하나입니다. 이번 실험으로 각 기관계의 상호작용이 유기체 진화의 방향을 조절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
효모와 인간의 유전자의 유사성에 비해 ,효모와 인간의 생김새가 이렇게 많이 차이나는 이유가 위 기사로 설명 될것 같군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3049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유기체 진화의 방향을 조절한다는 표현이 있는데
구조론은 진화의 방향성이 분명히 있다는 입장입니다.
방향성이 없다는 다윈의 자연선택설과 분명히 다르죠.
유전자는 졸라리 숫자가 많은데 구조론에 따르면 숫자가 많으면 단순해집니다.
즉 10명이 어디로 갈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백만명이 어디로 갈지는 누구나 알 수 있습니다.
10명의 백인이 19세기 조선에 오면 그들이 어떻게 할지 알 수 없지만
1천명이 오면 그들은 보나마나 총을 쏘아댑니다.
지각없다니? -- 애들 -애비/어미들이 돈 주고 전세냈남?---독점인가?
비행기로 치면--비지네스? ㅋㅋ
돈 있는자들이 지하철 탈 일은 없을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