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인트:23329point (9%), 레벨:16/30 [레벨:16]](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6.gif)

![포인트:13283point (14%),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요즘 이 노래 Let It Go 에 빠져있음ㅎㅎ
노래자체도 좋지만 올리신 김연아 영상하고도 잘 어울리고 무엇보다 가사의 내용이 김연아 얘기를 하고있는게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 정도임.

![포인트:13283point (14%),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특히 인상적인 후반부 가사와 내용
And one thought crystalizes like an icy blast
그리고 결심은 얼음 폭풍처럼 확고해지지
I'm never going back
난 절대 돌아가지 않아
the past is in the past
과거는 과거일 뿐이야
Let it go, let it go
내버려 둬, 그냥 나 둬
And I'll rise like the break of dawn
난 새벽의 여왕처럼 솟아 오를거야
Let it go, let it go
내버려 둬, 그냥 나 둬
That perfect girl is gone
완벽한 소녀는 이제 없어
Here I stand
난 여기 서 있어
in the light of day
낮의 빛 속에서
Let the storm rage on
폭풍이 휘몰아치게 내버려 둬
The cold never bothered me anyway
추위는 결코 날 괴롭힐 수 없으니까
- 김연아를 응원하지도 말고 기대하지도 말고 그저 박수를 보내줍시다.
이번에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그동안 충분히 아름다웠고 우리는 행복했으니까.

![포인트:1913point (58%), 레벨:4/30 [레벨: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4.gif)
영국 생활 하다 보니, 영국음식 무지 맛 없습니다. 영국인들도 그걸 잘 압니다. 그전에 영국음식이라고 할 만한 메뉴가 원래 몇 개 없다는 거. 우리로치면 애들 분식수준이라고나 할 만한 생선감자튀김을 대표음식이라고 내놓을정도니 말 다했지요. 아뭏든 음식문화가 거의 발달하지 않은 곳입니다. 일전에 동렬님이 검소함을 강조하는 청교도의 영향이라고 하셨는데 그런 것 같습니다.
한국식으로 도시락을 싸 와서 밥,국,반찬을 쫙 펼쳐 놓으면 매번 영국인들이 충격에 입을 못 다뭅니다. 그 포맷과 재료에 놀랍니다. 그러나 솔직히 앞으로 한식이 중식이나 일식 정도로 서양에서 자리를 잡을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건강식이라니까 서양인들이 몇 점씩 먹어보긴 하는데 맛있어하지는 않으니까요. 한국인들이 나이들면 귀국하려는 경향이 강한 것도 이것도 큰 원인이 되는 것 같습니다. 진정 한식의 세계화는 요원한 것인지, 아니면 한국이 성장하면서 음식도 자꾸 먹여대면 그 아우라에 한식도 자리를 잡을지 궁금한 것 중에 하나입니다.

![포인트:37255point (3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오죽 먹을 게 없으면 시리얼을 젤 좋아한다고 할까?

![포인트:12417point (73%), 레벨:11/30 [레벨:1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1.gif)
곡물문화가 발달하지 즉 농경이 발달하지 않은 지역은 어쩔 수 없는 듯.다양한 채소를 즐길 수 없는 곳에서의 음식문화는 단순무식으로 갈 수 밖에.별 선택지가 없으니.
유럽,중국 그리고 한국도 음식문화는 남방이 꽉 잡고 있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