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2682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모든 운동은 본질에서 자리바꿈이며 자리를 바꾸려면 방향전환이 필요한데 그 순간 아주 짧게 속도가 0이 됩니다. 모든 운동하는 것은 속도가 0이 되는 아주 짧은 순간을 내포한다는 거지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919/972/972919.jpg)
![포인트:47772point (3%), 레벨:23/30 [레벨:23]](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3.gif)
고대그리스 때만 하더라도 중력에 대해 서술할 때, 오는게 있으면 가는게 있다, 즉 떨어지는 게 있으면 올라가는 것도 있다고 생각했다고 하더군요. 당시에는 공기를 몰랐으므로 뭔가를 있다고 해야 하는데 그게 에테르일 겁니다. 결국 과학의 발전은 에테르 개념의 재발견사가 되는데, 이는 곧 입자와 공간의 끊임없는 재정의 과정이기도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919/972/972919.jpg)
![포인트:47772point (3%), 레벨:23/30 [레벨:23]](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3.gif)
이런 맥락에서 보면 아인슈타인이 대접받는 이유도 공간을 재정의 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눈에 보이는 건 별로 대접 못받아요. 보이지 않는 어떤 것을 가리켜 보이는 것에 대한 규칙을 찾는게 곧 인류 학문의 역사입니다.
댓글 장원:
ㅋㅋㅋㅋㅋㅋ 골다공증집회 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