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정보기반 문명이란 깨달음의 계절이다, 혁명의 일상화다.



채집> 수렵> 농경> 산업> 정보,  사람의 일이 진보하는 결이다

   이 길은 외길이다. 둘러 갈 뿐, 반드시 간다. 산업 수준에서 머물면 퇴물이 된다. 정보 수준으로 치고 나가야 한다. 정보기반에 걸맞는 제도를 개발하여 실행하여야 한다. 산업시대가 농경시대와는 다른 도구와 제도가 있어야 했던 것처럼, 정보시대에는 산업시대와는 다른 제도와 도구가 있어야 한다. 도구는 나와 주고 있다.


주먹> 칼> 활> 총> 포, 기술 문명의 진보 도구

   기술이 나와 주었다. 기술 문명의 진보는 널리 퍼졌다. 정신 문화가 진도를 나가줘야 한다. 총과 포를 앞세워 산업시대를 전파한 세력의 정신문화의 수준은 낮다. 필연적으로 낮을 수 밖에 없다. 말이 필요 없었기 때문이다. 총과 포를 앞세운 진보는 무력의 우위를 바탕으로 강제력을 행사하는 것이 "문화적" 합리성이 없다해도 효율성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말로 할 수 있는 것도 왠만하면 그냥 힘으로 밀어 붙인다. "정신문화"의 진보는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총과 포가 널리 퍼지면, 칼과 활이 널리 퍼졌을 때 처럼 교착된다. 힘으로 풀 수 없는 문제들이 한꺼번에 쏟아 진다. 이익이 충돌하는 집단 사이에 "말"의 필요성이 높아진다.


말넷> 글넷> 책넷> 컴넷> 폰넷, 정신 문화의 진보 도구

   인류는 말넷을 완성하여 채집과 수렵의 강자가 되었고, 짐승을 정복했다.  글넷과 책넷을 완성하여 농경과 산업시대를 열었고, 생명과 우주와 공동작업하는 존재가 되었다. 산업화는 큰 성공을 이루었다. 인류는 이제 지구의 한계를 넘고 있다. 인구는 70억을 넘어가고 있다. 35년 후면 최소 140억에 이를 것이다. 컴넷과 폰넷을 완성하여야 한다. 정보시대로 성큼성큼 나아가야 한다.

노예제도> 빈곤제도> 창작제도
   농경시대의 기반은 노예제도다. 성공한 농경국가에는 반드시 노예가 있어야 했다. 산업시대의 기반은 빈곤제도다. 사회주의, 자본주의, 민주주의.. 자칭 타칭 무엇이라 부른든지 "빈곤한 자들"이 있어야 했다. 노예제도가 산업시대에는 걸림돌이 된 것처럼, 빈곤제도는 정도시대에 걸림돌이다. 인간은 빈곤하거나 빈곤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 제도 안에서는 멍청해진다. 잔혹해진다. 창작하지 못하고, 창작의 결과물을 마음 껏 누리지 못한다. 쟁투하고 선점하고 장악하여야 성공하는 "산업시대의 습성"을 버리지 못한다.


일에서 혁명이란 "비반복" 발견이다. "비중복" 발명이다

   정보시대란 혁명을 일상화하는 것이다. 타인의 창작가 나의 빈곤으로 이어지는 가능성이 없어야 한다. 타인의 창작이 "나의 창작에 영감을 주는 자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제도가 제공되어야 한다. 절대빈곤을 적대시 해야 한다. 상대빈곤 또한 공공영역에서는 적정 비율을 유지해야 한다. 아이들이라도 "넷"으로 연결되어 "비반복"을 탐색할 수 있어야 한다. 노인이라도 "비중복" 생산물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혁명이 일상이 되는 시대를 열여야 한다. 사람이면 혁명할 수 밖에 없도록 몰아갈 수 있어야 한다. 이미 시작되었다. 카카오톡을 하면 애니팡을 피해갈 수 없다. 스마트폰을 사면, 카카오톡을 안 쓸 수 없다. 컴넷과 폰넷을 완성해야 한다. 칼과 활이 교착되었을 때, 선비들이 나섰다. 뭘 좀 알았기 때문이다. 글넷과 책넷을 완성하였다. 총과 포가 교착되었다. 컴넷과 폰넷을 완성하여 길을 열어야 한다. 뭘 좀 아는 사람들이 나서 줘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담░담

2012.10.26 (00:59:16)

손(주먹)> 칼> 활> 총> 포, 기술 문명의 진보 도구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364
479 허영만 '주식 만화' 25% 손실! 아나키(÷) 2020-07-05 1902
478 이해찬과 김병준 3 수원나그네 2020-07-06 1894
477 내일 7월 9일 목요모임 장소 변경 안내 image 3 오리 2020-07-08 1568
476 일본의 에너지 고립. image 아나키(÷) 2020-07-08 1511
475 박인환상 공모전(7월31일까지) 1 수피아 2020-07-08 1606
474 사유의 방법과 철학 오민규 2020-07-08 1382
473 구조론 목요모임(홍대입구역 ,강남역 아님) image 오리 2020-07-09 1501
472 인상주의 시대 음악가에 대한 구조론적 해석 3 오민규 2020-07-09 1793
471 중앙일보 이순신을 들먹이다. 한국은 친일에 뿌리가 깊다. 1 아나키(÷) 2020-07-13 1714
470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2 오리 2020-07-15 1397
469 원인과 결과 약속 2020-07-17 1321
468 가장 큰 피해자는 세입자 3 약속 2020-07-17 1601
467 그린벨트해제관련 1 약속 2020-07-19 1618
466 타자성에 관하여 현강 2020-07-23 1374
465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오리 2020-07-23 1261
464 과거, 미래, 우리들의 사정 5 현강 2020-07-23 1538
463 그림 공부 image 현강 2020-07-24 1584
462 다 같은 라인이 아니다 현강 2020-07-25 1324
461 진리에 대한 주저리 1 다음 2020-07-26 1324
460 라인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현강 2020-07-26 1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