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read 4038 vote 0 2012.02.26 (16:45:45)

지금 우리나라는 복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현 상황에서 복지만이 꺼진 시동을 걸어 경제를 크게 순환시킬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 경제는 부동산투기, 신용카드, 인터넷 확산, 이런 걸로 지금까지 그럭저럭 버텼다. 이 세 가지로 가계소비의 증가를 가져왔지만 이제 한계다. 4대강 같은 대규모 국책사업으로 꺼져가는 시동을 걸어봤는데 결과가 어떠했는가? 오히려 시동을 꺼버리고 있다. 이제 남은 건 복지밖에 없다.


좀더 먼 안목으로 비전과 철학을 가지고 교육복지를 생각해보아야 한다. 단지 예산을 늘리는 일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교육주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늘려 지역 공동체가 활성화되는 방법을 찾는다면 지속가능한 복지의 한 모델을 성공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내가 말하려고 하는 것은 완성형 교육공동체인데, 이것은 모티브교육이라는 교육적 비전을 통해서 작동하는 교육환경을 말한다.


교육 패러다임은 가르치는 교육에서 가르치지 않는 교육으로 넘어가고 있다. 이는 아이가 가지지 못한 것을 집어넣어주는 교육에서 이미 제 안에 든 것을 꺼내주는 교육으로의 전환을 뜻한다. 나는 그것을 ‘모티브 교육’이라 이름 붙였다. 모티브motive,motif란 일반적으로 동기, 혹은 작품 표현의 동기가 되는 중심 사상을 뜻하는데, 쉽게 말하면 ‘좋아하는 것, 관심있는 것’이다. 모든 작가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주제가 있고, 그것이 창작의 동기를 제공한다.


작가만 그런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그렇다. 특히 아이들은 더 분명하다. 자동차 공룡 로봇에 빠진 남자아이들, 공주 나비 핑크색에 빠진 여자아이들, 아이들은 좋아하는 것이 있고 또 역동적으로 바뀐다. 그런데 지금까지 우리 교육은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에 관심을 기울여주지 않았다. 무엇보다 개별적인 관심사는 대학 간 후, 혹은 졸업 후에나 허용되는 것이었다. “그런 것들은 나중에 다 할 수 있어, 그러니까 일단 좋은 대학부터 가!” 그러나 그렇게 미루고나면 개인의 모티브는 이미 사라져버리고 만다. 자신이 무엇을 좋아했는지조차 모호하게 된다.


동기는 모든 사람들이 가지고 있다. 그것은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좋아하는 것이 모티브가 되고 그것이 바로 삶의 이야기를 만들어간다. 좋아하는 것의 흐름으로 만들어진 개인의 이야기가 바로 창의력의 본질이다. 번뜩이는 아이디어나 재치만으로 창의를 온전히 논할 수 없다. 삶은 거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스티브잡스도 그랬고, 빈센트 반 고흐나 아인슈타인 등 모든 천재들도 수많은 아이디어를 쏟아낸 밑바탕에는 단지 하나의 생각을 끝까지 추구하는 열정이 있었다. ‘세상에 이런 컴퓨터가 있으면 좋겠다!’는 한가지 생각으로 스티브잡스의 그 수많은 도전을 해석할 수 있다. 그러한 생각이 굽이쳐흐르면서 잡스의 독창적인 스토리를 완성시켰다.


어렸을 적에 한 사람의 내면에서 만들어진 어떤 충격이나 영감의 작은 점은 곧 ‘좋아하는 것’이 되고, 그것은 끊임없이 새로운 도전과 맞물려 하나의 이야기를 엮어가게 된다. 사람의 창의적 성취는 결국 이야기라는 통짜의 덩어리로 남는다. 그것이 창의의 핵심이다. 때문에 단지 기법이나 재치만으로 창의교육을 다루기보다 한 인간의 전체의 이야기를 어떻게 시작하고 지속적으로 엮어갈 것인지에 관심을 가져야 진정 창의적인 교육환경을 만들어갈 수 있다. 


한 인간의 호기심에서 출발하여 그것이 공동체와 만나 도전과 응전을 통해 자신만의 소통의 길을 열어가는 이야기의 흐름 전체를 다루지 않으면 창의의 비밀은 결코 풀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창의교육을 위해서는 교실 안의 창의뿐만 아니라 환경, 즉 교사와 학생이 공동체와 관계를 맺는 방식 자체가 근본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개인의 모티브가 친구나 교사와 풍부하게 상호작용하며, 그것은 다시 더 퍼져나가 학교를 넘어 지역 공동체와 역동적으로 엮이고, 그리하여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육복지정책의 방향은 반드시 교육을 공동체로 활성화시키는 방향이어야 하고, 교육공동체가 지역공동체와 활발하게 만나는 지점을 열어주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래야 교육공동체와 지역공동체, 그리고 우리나라 전체의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이 만들어진다고 하겠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339
439 김병준이 문제아로 찍힌 이유 수원나그네 2018-03-26 1966
438 일본어로 번역해주실 분 계신지요~ 수원나그네 2019-06-19 1965
437 일원론의 충격 1 systema 2023-01-18 1963
436 땅값집값문제 0-1 LH 땅장사, 통제시켜야 3 수원나그네 2017-12-04 1962
435 [세계일보] 현직 교수 "양승태 '재판거래' 눈감은 대법관들 사퇴하라" image 수원나그네 2018-05-31 1962
434 전략의 기본은 내가 보편성을 차지하고 상대가 특수성에 매몰되게 유도하는 것 1 회사원 2020-12-03 1959
433 '사회주택' 강연 및 토크쇼 image 3 수원나그네 2018-05-03 1949
432 올해는 북극이 춥고 남쪽이 따뜻하다 image 1 김동렬 2020-01-08 1935
431 메타버스를 살리는 법 1 chowchow 2022-02-16 1931
430 생명로드40- ‘지구생명헌장’을 전하러 가는 ‘동방박사’ [가톨릭평론] 제20호 수원나그네 2019-05-15 1928
429 역행보살 이인수 image 수원나그네 2018-08-10 1926
428 좋은 작품의 조건. systema 2019-05-04 1925
427 바이든도 사정이 있다 chow 2022-06-23 1923
426 푸핰 image 1 펄잼 2020-11-06 1923
425 주체의 관점으로 올라서라 1 아란도 2021-01-06 1921
424 [비교요망] 조선일보절독운동 디자인 image 10 수원나그네 2020-05-14 1920
423 독립운동세력이 복권해야 image 2 수원나그네 2019-06-07 1919
422 양자얽힘의 부정, 아인슈타인의 유령작용 3 현강 2020-08-22 1910
421 과학자는 과학적 설명을 해야 김동렬 2017-12-08 1908
420 허영만 '주식 만화' 25% 손실! 아나키(÷) 2020-07-05 1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