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17/302/302017.jpg)
![포인트:13283point (14%),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동영상에 더 자세히 나옵니다. 아래에 제가 올렸던 동영상에 나오는 내용이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SxYFUamyv4o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7538point (14%), 레벨:9/30 [레벨:9]](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9.gif)
저도 천재설이 듣기 좋네요.
그리고 멘털도 갑인듯 합니다. 김연아도 그렇고 성공하는 국제적 선수들 보면 멘털이 상상을 초월합니다.
그리고 멘털도 갑인듯 합니다. 김연아도 그렇고 성공하는 국제적 선수들 보면 멘털이 상상을 초월합니다.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85184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17/302/302017.jpg)
![포인트:13283point (14%),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무엇보다 기분좋은건 우리만 강한 종목에서의 메달이 아닌 세계인들이 좋아하고 강세인 종목에서(물론 유럽쪽에 치우쳐있긴 하지만) 아시아 최초의 금메달을 딴게 의미가 크다고 봅니다. 피겨의 김연아처럼 말이지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17/302/302017.jpg)
![포인트:13283point (14%),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윤성빈 전까지 한국이 역대 동계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 총합이 55개 라는데 전부 빙상종목에서 나왔답니다.
이번에 윤성빈이 설상종목 첫메달이랍니다. 여러모로 의미가 있네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61/006/6061.jpg)
![포인트:44446point (21%), 레벨:22/30 [레벨:2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2.gif)
네. 스켈레톤이 설상종목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는데 스켈레톤 시작이 눈위에서 해서 아직도 설상종목으로 분류한다고 하는군요.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9734point (80%), 레벨:14/30 [레벨:1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4.gif)
저 종목에
왠 다리근육? 답 좀 해주세요.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85184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시속 100키로의 썰매를 몸으로 조정해서 굽이굽이 돌아서 내려옵니다.
코너에서 원심력이 작용하면 4G의 중력을 버텨야 합니다.
민주주의는 불평등문제와는 번지수가 전혀 다른데~
문제의 핵심은 민주주의가 시행되면 의사결정스트레스가 증폭해서 괴로울 일이 더 많아진다는데 있지요.
그걸 극복하면서 구성원 각자의 권력이 커지는 걸 체험해야 정상 작동이 가능한 것.
정상 작동하는 나라는 극히 드뭅니다.
일본이나 미국조차도 의문리죠.
질문을 제대로 한다면
민주주의를 한다고 해서 의사결정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는가?
이런 정도가 적절하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