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콘과 같은 단막극 형태의 공개 코미디는 다른 나라에 없다.
일본에는 비슷한게 있을 것 같은데 미국은 스탠딩 1인 개그를 한다.
한국에 왜 이런 특이한 개그가 있는가?
과거에는 녹화 코미디를 했는데 이들은 합숙을 했다.
임하룡 김정식급으로 짬이 되는 선배들이 후배들을
자기 집에서 먹여주고 재워주고 두들겨 패면서 아이디어를 약탈했다.
이 시절은 녹화코미디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그것이 가능했다.
공개 코미디는 대학로에서 선후배끼리 하던 연극을 모방한 것이다.
즉 배삼룡 이기동 구봉서 시절의 녹화 코미디는 합숙을 통해 구조를 유지했고
개그 콘서트는 선후배간 위계질서를 통해 똥군기로 구조를 유지했고
이 군기잡기 문제가 김병만이 SBS 신규프로 정글밥에 짤린 원인이 된다.
다른 나라는 안 되고 한국만 된다. 되는 이유는 두들겨 패니까.
마찬가지로 하이브가 하는 자회사를 여럿 두는 재벌방식도 한국에만 되는 것이다.
근데 재벌도 유교권인 한국, 일본, 중국만 되고 다른 나라는 안 된다.
유럽은 아직도 가족회사 구조로 간다.
브롬톤 자전거는 백년째 같은 모델 찍다가 최근에 디자인 바꿨다고.
일본의 강소기업이라는 것도 사실상 재벌을 못해서 하는 가족기업이다.
직원을 백명 이상 뽑지 않는데 그 이유는 가족이 원래 백명 넘을 수 없으니깐.
일본은 주로 사위에게 물려주는 방식을 쓰는데 이건 신라시대 신라가 쓰는 기술이다.
일본은 유능한 사람을 양자로 들여서 봉건영주 자리를 물려주는 전통이 있다.
그래서 일본 무장들은 이름이 자주 바뀐다.
토요토미와 도쿠가와도 이름을 워낙 바꿔대서 책을 읽을 수 없잖아.
북유럽 강소기업도 한국이 본받을 구조가 아니라
사람을 못 믿어서 가족끼리 하는 거다. 이태리 마피아도 가족사업이다.
윤석열이 선거를 패밀리 비즈니스라고 하는 이유다.
가족 외에는 아무도 믿지 못한다. 마피아도 혈통 엄하게 따진다.
어쨌든 하이브는 연예계는 원래 패밀리 비즈니스 하는 곳인데
가족회사를 벗어나 재벌 모델을 만들고 있다. 이게 가능해? 가능하다면 외국인이 한국을 다시 봐야 한다.
외국인 - 그거 원래 안 되는 거야. 우리가 바보라서 그렇게 안하는게 아냐.
방시혁 - 한국인은 원래 별종이라서 안 되는 것을 되게 하거든.
장단점이 있다. 어쨌든 유럽은 가족주의다. 자녀를 둘은 낳는다.
가족이 없으면 살 수 없기 때문이다. 한국은 말이 가족주의고 가족초월이다.
이런 시구가 있다.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