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가혹한너
read 4964 vote 0 2009.02.16 (22:12:56)

>


삶을 사는데 중요시해야하는게 뭘까요


어찌 생각하면 그냥 단순히 먹고자는거? 이렇게 생각하면 정말 편한데


가끔 여러가지 고민을 하면 이게 할 필요가 있을까란 생각에서 이질문을 해요

진실을 알고 싶은 욕구가 있다는건 인정하는데

그걸 알면 뭐하지란 생각도 공존하는건...

세상엔 고민거리가 넘치는것도 커다란 문제고

티비를 보다보면 태어날때부터 선천성 질병으로 얼굴이 엉망으로 태어나 친구 한명 사귀어 보지 못한채 고통받다 죽어가는 사람들을 보면 누굴 원망해야하나 이걸 어떻게 해야하나란 생각도 들고

이런고민을 한다고 세상이 바뀌어질까란 생각도 들고

다시 고민하다보면 세상을 바꾸는건 아주 오래전부터도 누군가가 하려했겠지만 "거봐 바뀌는건 없어" 라고 세상이 저에게 말하는게 들려요

김동렬님은 어찌한가요?

그냥 쓰잘데기 없는 고민인가요

ㄹㄹ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09.02.16 (23:04:30)


그냥 사는건
그냥 사는게 아니라

타인에게
그냥 이용당하는 거지요.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얻지 못하는게 아니라
일하는 소처럼 누군가에게 희생당합니다.

가만이 있으면 중간은 가는게 아니라 남에게 속고 이용당하고 걷어채입니다.
흐르는 물 속에서 가만이 있기는 원래 불능.

물따라 흘러가거나
목적지를 알아 배 타고 노 저어 가거나입니다.
 
자기가 아는 것 자신이 믿는 것
그것이 제것이라고 믿으면 착각입니다.

부지불식간에 강요된 연극
우스꽝스러운 역할극에 빠져 있는 것입니다.

주말연속극을 보면 재미를 얻는 것이 아니라 세뇌당하는 것입니다.
세상은 터무니없이 그냥 있는게 아니라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엔진에 발동을 걸어 지금 이 순간에도 부지런히 작동하여 가고 있습니다.
가지 않을 수는 없으며 주도하여 가거나 묻어가거나 휩쓸려 가거나 일회용으로 이용되고 버려지거나입니다.

고통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고통받아 죽어가는 일도 없고 원망할 일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쾌락이라는 것도 없습니다.
기분째지는 일도 없고 우쭐할 일도 없고 으시댈 일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득이라는 것도 없고 손해라는 것도 없으며
그런 따위는 가는 길 모르고 허둥대는 그대를 세뇌하여 적당히 끌고가는 세상의 방법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206
273 직업이란 무엇인가 - 허무한 스펙 쌓기에 빠지지 마시라 2 ░담 2010-08-27 9868
272 사람무늬 그리고 구조론., 5 오세 2010-08-26 6249
271 권구조담 1 ░담 2010-08-26 6091
270 밀도는 질의 성질이다. 5 아제 2010-08-24 6863
269 복잡한 인간. 4 아제 2010-08-16 7716
268 타짜 아니면 호구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8-16 9713
267 구조론으로 본 에너지 장애 진단론 1 -에너지 입구의 문제 4 오세 2010-08-11 7153
266 원인과 결과 그리고 판단. image 3 아란도 2010-08-10 7443
265 포지션 에너지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0-08-07 8123
264 태초의 비밀. 아제 2010-08-07 7656
263 그 변방세력이 주류를 치게 된 이유, 질문하기 ░담 2010-08-06 6951
262 성매매 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관점 1 오세 2010-08-04 7159
261 조직 원리 image 4 눈내리는 마을 2010-08-04 8732
260 진.선.미.주.성에 대한 설명 부탁 드립니다. 7 아란도 2010-08-03 7517
259 시간의 강가에 앉아 image 1 ahmoo 2010-08-02 5829
258 生의 모델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8-02 6482
257 책. 3 아제 2010-07-31 6259
256 같다와 다르다. 2 아제 2010-07-28 7276
255 참고 살면 말이 많아진다. 오세 2010-07-25 8050
254 튕김과 집착은 같은 것이다 3 오세 2010-07-25 8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