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chow
read 938 vote 0 2024.04.12 (12:34:25)

미분의 정의는 "어느 한 점 위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라 할 수 있겠다. 

상식적인 사람이라면 여기서 위화감을 느껴야 한다.

기울기는 반드시 2점 이상에서만 성립할 수 있기 때문.

도대체 한 점이라는 거야 두 점이라는 거야?


생각해보자. 점 하나를 통과하는 선의 개수는 무한대.

무한대 개수의 선을 줄이려면 둘 중 하나의 방법을 써야 하는데

다른데 점을 하나 더 찍어서 두 점을 통과하는 하나의 선을 도출하던지

아니면 2차 이상의 곡선 위에 접선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하나의 선을 도출하던지

대충 봐도 두 점을 찍는 문제는 아니므로 

미분을 구하는 상황은 직선과 곡선이 중첩된 상황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된다.

즉, 접선 자체가 중첩 상황을 표현하는 것.


수학자들은 2천년 동안 이걸 말하지 못해서

리미트 어쩌구 저쩌구 하는건데, 내가 가슴이 답답해진다.


그렇다면 미분 상황에서의 일점은 일점이 아닐 수도 있다.

내가 보기엔 2점이지만 다른 사람이 보기엔 1점인 상황

위에서 보면 파동이지만 아래에서 보면 입자인 상황

파동을 미분하면 입자가 나온다는 말씀.


갈림길은 2갈래와 1갈래가 만난 길이다.

2갈래 입장에서 반대를 보면 1갈래이고

1갈래 입장에서 반대를 보면 2갈래이다.

이걸 누구 입장에서 불러야 하나? 헷갈리지롱.

그래서 에라 모르겠다, 그냥 갈림길.


이걸 답할 수 없다면 수학을 논하지 말라.

곡선의 의미는 2개 이상의 함수가 중첩된 것에 있다.

아인슈타인이 중력을 설명하며 곡면을 말한 게 다 이유가 있는 것.

"관측되는 현실 위에 그것을 낳는 뭔가 하나 더 있고, 그걸 미분하면 

결과적으로 우리가 보는 현실이 있습니다."


img.pn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513
39 만유척력에 관하여.. 1 노란고양이 2008-12-10 6131
38 묻습니다... 2 새벽이슬2 2008-12-09 4422
37 구조론에 도전해 보고 싶습니다 1 일리 2008-11-28 4537
36 구조론에 대한 질문 4 자유 2008-11-26 4146
35 경제문제에 대해서는 한말씀도 안하시네요... 2 지구인 2008-11-18 4592
34 남녀간의 사랑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자유 2008-11-09 5134
33 kbs 심야토론 정관용진행자의 하차에 대해서 1 가혹한너 2008-11-01 5823
32 조경란과 주이란 1 엘보우 2008-10-25 5438
31 생각하기 힘든생각을 대신 생각해주시는 수고로움 image 1 가혹한너 2008-10-14 5027
30 공간이란 뭘 까요? 8 율리 2008-10-07 5728
29 '신과 나' 정말 큰 깨달음인 것 같습니다 1 자유인 2008-10-06 4609
28 어휴...좀 어처구니없는 질문 드려보아요. 1 지구인 2008-09-24 5985
27 당신들이 밉습니다. 10 가혹한너 2008-08-28 6717
26 [re] 말이 참 많다 1 필부 2008-08-25 5238
25 말이 참 많다 1 필부 2008-08-23 6359
24 하늘 만지기 1 필부 2008-08-20 5431
23 구조론 질문 1 피갈회옥 2008-07-18 5421
22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346
21 질문)구조론을 읽다가..질. 량. 아시는분? 2 x맨의 비극 2007-11-30 5384
20 구조론 부적응 1 아티스 2007-11-18 5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