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718 vote 0 2023.03.06 (09:47:21)

역대급이다. 넷플릭스 신작 다큐 '나는 신이다: 신이 배신한 사람들'을 봤다. 방송전부터 사이비 종교들이 방송 정지 가처분 신청을 했었기에 더 뜨거워져 버린 상황이다. 사이비 종교의 끔찍함이야 말로 다 설명하기 어렵다. 공중파에서 방영하지 못하는 부분이 적나라하게 나오기에 아마 많은 분들이 보시면 충격을 받으실것 같다. 궁금하신 분은 직접 확인해 보시면 좋을것 같다.
1.
JMS편을 보는데 내가 가장 놀라웠던 분은 단국대 수학과 김도형 교수님이었다. 이분은 카이스트 재학 중 친구 따라 우연히 JMS 교회에 따라갔다. JMS 신도의 경우 유독히 'SKY' 출신들이 많았다고 한다. 그걸 보고 대학생들이 더 몰렸다고 하니 그때나 지금이나 명문대 출신이라고 종교 앞에선 머 특별히 대단할것도 없다.
2.
근데 김도형 교수만은 달랐다. 그는 정명석의 설교를 듣고 단번에 이자는 '사이비'구나를 확신했다고 한다. 그후 그에게 피해를 입은 여성들을 직접 인터뷰 하다가 이자는 호랑이, 사자 같은 맹수보다 인간계에 있어선 안될 '해로운 동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그후 '엑소더스'를 결성 30년간 이들과 싸우고 있다.
3.
이후 JMS는 여우사냥이라는 프로젝트를 감행했는데 타킷이 김도형교수였다. JMS 신도들은 그를 하나님과 대적하는 사탄 루시퍼급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제일 끔찍했던 장면이 김도형 교수의 아버지가 쇠파이프 테러를 당했던 장면이었다. 아버지는 선혈이 낭자해 한쪽 얼굴이 모두 내려앉았다. 그럼에도 아들에게 그랬다고 한다. "네가 아니라 나라서 다행이다.“ 보통 사람 같으면 김도형 교수 만큼 하지 않았을 것이다. 본인만 안가면 그만일텐데, 이 이단 종교의 사회적 피해를 모른척 할수 없어, 스스로의 의지로 싸운것이다. 이런 분이 진짜 지성인이다.
4.
다큐는 이후 오대양 사건, 아가동산, 만민중앙교회로 이어진다. 한때 나도 우리나라 사이비 사건에 관심이 많아, 관련 자료를 많이 찾아봤다. 대부분 기독교 이단으로 알고 있으나 그 원류를 따져 보면 순수 기독교라 보기도 어렵다. 우리 전통 무속과 섞여져 있다. 특유의 신비주의에 성서를 자의적으로 입힌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해석도 상징과 예시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 숫자로 장난치는거라 유치하기 짝이 없다. 성서학 연구자라면 배꼽 빠지게 웃을것이다. 왜 이런 유치함에 빠지냐고? 인간 누구나 무의식에서 작동하는게 바로 이런 무속적 상징이다. 하루 몇번 기도하고 몇번 절을 올리고 몇월 며칠은 신성한 날이고?? 머 이런류의 신비주의다. 이들의 패턴은 대부분 비슷하다.
5.
왜냐하면 우리나라 이단 사이비의 원류가 김백문이라는 한 사람에게서 내려오는 한 뿌리이기 때문이다. 통일교, 천부교(박태선),구원파, JMS, 신천지 이외 기타 등등 대부분이 전부 이 사람의 영향을 받았다. 그래서 대부분 교리가 비슷하다. 지들끼리만 지들 교주만이 메시아라는 주장만 다를 뿐.
6.
그래서 사이비를 가려내는 방법은 사실 아주 간단하다. 과도한 신비주의, 교주의 신성화, 경전의 상징을 가지고 자의적 해석을 내리면 사이비다. 특히 숫자가 많이 나온다. 마치 도박꾼의 룰렛처럼 2가 어쩌네 3이 어쩌네 33이 어쩌네 하면 백퍼 사이비라고 보면 된다.
7.
가장 중요한 부분 왜 이런 사이비들이 우리나라에 유독 기승하는 걸까? 그 단서가 이 다큐에 나온다. "검찰, 경찰들은 신경을 쓰지 않으니 그냥 우리가 잡자" 엑소더스 회원의 말이다. 그렇다 정치권력이다. 그들은 신경 쓰지 않는다. 하긴 우리나라는 스스로 메시아로 칭하는 자들이 정치에 도전하는 괴상한 나라다. 투표율도 나온다. 우리 정치에 이런 신비주의가 판을 치고 있는 이유다.
8.
유독 우리나라에는 메시아가 많다. 재림 예수는 전부 한국에서 태어날 기세다. 정말 이러다 우리나라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메시아를 배출하는 나라가 되지 않을까 싶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6341 구조적인 출석부 image 16 김동렬 2011-07-11 9124
6340 나는 고양이 출석부 image 21 김동렬 2010-01-24 9117
6339 세상은 뚝배기 출석부 14 고마버 2009-07-31 9116
6338 꽃길 출석부 image 24 mrchang 2013-08-13 9111
6337 못마땅한 출석부 image 17 김동렬 2013-01-12 9104
6336 산을 무너뜨리는 출석부 17 김동렬 2010-01-11 9101
6335 이것이 인생 출석부 image 13 김동렬 2011-08-11 9092
6334 인내심 출석부 image 10 김동렬 2011-07-07 9082
6333 눈이 있는 출석부 image 15 dallimz 2009-06-09 9082
6332 달먹고 출석부 image 42 김동렬 2011-12-13 9076
6331 오늘 발견한 길조를 나눠드리겠소 image 12 ahmoo 2010-02-13 9068
6330 흑과 백 출석부 image 14 김동렬 2011-08-25 9060
6329 봄 소식 들리오? image 18 솔숲길 2010-02-20 9045
6328 아가수영처럼 image 10 불그스레(旦) 2009-08-12 9045
6327 동물 출석부 image 27 김동렬 2012-05-18 9044
6326 심판의 날 출석부 image 28 김동렬 2011-08-24 9036
6325 먹다 죽는 출석부 image 27 김동렬 2012-12-23 9035
6324 악플종결 출석부 image 14 김동렬 2012-01-05 9031
6323 대박 달리는 출석부 image 15 솔숲길 2010-01-14 9024
6322 좋거나 나쁘거나 출석부 image 23 김동렬 2011-12-20 9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