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https://youtube.com/shorts/8LFN4-FoB04?si=SLXDcCIeJ7GYa720


"배우려고 하지 말고 이길 궁리를 해봐. 그럼 자연스럽게 배워질게다."


배우려고 하면 귀납하므로 무조건 지고

이기려고 하면 경쟁하지만, 늦게 참여했으므로 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지배하려고 하면 초월하므로 무조건 이깁니다.


이창호가 조훈현을 이긴 이유는

배우지도 이기려하지도 않고 다만 초월했기 때문.

그게 바로 새로운 바둑의 의미.


영화에 조훈현이 수싸움 하는 법을 가르치려 하거나

중앙에 두면 계산이 복잡해진다고 하는 걸 보니

조훈현은 한때 하수 바둑을 두었던듯.


초딩 때 오목을 두었던 경험으로 말하자면

돌은 중앙에 먼저 두거나 

상대 돌과 내 돌 사이에 먼저 두다보면 

어느새 이겨있습니다.


바둑도 비슷하지 않을까.

오목은 선으로 연결하고

바둑은 면으로 감싸지만

원리는 같으니깐.

아마 바둑이 오목에 비해 제곱으로 복잡하긴 할듯. 

선과 면의 복잡도는 제곱 차이니깐.


중앙은 경우의 수가 가장 많은, 연결성이 좋은 자리며

그곳을 차지하면 백전백승입니다.

순간의 무게중심을 찾아내어 공략하는 건 씨름도 축구도 마찬가지.


바둑은 먼저 두는 쪽이 유리하기 때문에

그래서 맞수끼리 둘 땐 먼저 둔 쪽이 다섯집 반을 제한다고 하는데

이때 "먼저"를 만들어내면 이기는 겁니다.


그러려면 무조건 블루오션으로 가야지

상대랑 몸 비벼야 하는 레드오션에서는 

마찬가지로 무조건 집니다.

늦게 들어갔으니깐.


싸움도 선빵필승인데

바둑이라고 다르리요.

후수를 두면 어떻게 이기냐고.


이창호의 또다른 어록은

"그렇게 하면 싸움이 붙고, 그러다가 아차하면 역전당할 수도 있다고. 하지만 물러서면 2, 3집밖에  이기겠지만, 결코 지는 일은 없다

여기서 워렌 버핏이 떠올라야 합니다.

"원칙 1: 절대로 돈을 잃지 마라 (Never lose money).

원칙 2: 절대 1 원칙을 잊지 말아라 (Never forget rule No.1)"


무슨 말이냐. 잃지 않으려면 투자가 아니라

균형을 잡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균형을 잡는다는 건, 시장의 일부분을 보고 투자를 하는 게 아니라

전체 판도를 보고 사람들이 관심을 덜 두지만

사회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보통은 분산투자를 말하지만

분산투자는 일부분만 말하는 것이고

균형투자가 더 좋은 표현입니다.


제가 아는 분도 투자하는 법을 물었더니

자신은 투자를 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늘 성공하는 걸 보니 나름 이유가 있었어.


대개 여자들이 주식으로 돈 버는 방법은

공격하지 않고 방어를 하는 겁니다.

반드시 2030405060 남자들이 삽질을 할 테니깐.


"조훈현이 이창호의 전성기에 계속 당했던 패턴이 바로 이것으로, 초중반 조훈현 쾌속행마로 우세  조훈현의 무리수  이창호의 끝내기로 역전 식으로 계속 당했다."


씨름도 비슷한데,

상대의 다리를 걸면 이길 수 없고 

지지 않으려고 샅바를 붙들다보면 

어느새 자빠져있는 상대를 발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5.05.11 (12:35:45)

바둑은 무조건 선수가 이깁니다. 

바둑 아니라 다른 무엇이라도 무조건 선수가 이깁니다.


유체가 선수, 강체가 후수이므로 유가 강을 이기는게 자연의 법칙.

이 이치를 터득한 사람은 오륜서의 미야모도 무사시.


무사시에 의하면 먼저 덤비는 선수와 

덫을 파놓고 기다리는 선수가 있는데


조훈현은 먼저 덤비는 선수, 이창호는 덫을 파놓고 기다리는 선수.

굳이 말하자면 서봉수는 맞서는 선수.


여기서 중요한 것은 기다리는게 어떻게 선수가 되느냐?

상대가 먼저 공격하기를 기다리면 후수잖아.. 그러나 미리 함정을 팠다면?


강호동이 일부러 왼쪽이 약한척 하고 이만기가 그쪽으로 들어오게 덫을 놓았다면?

이재명은 압박해서 윤석열이 들어오게 만들었고 김문수도 한덕수와 윤핵관이 들어오게 만든 거.


이것이 바로 기다리는 선수입니다.

아 이걸 배우면 바둑을 다 배운 거. 검도 수업 끝.


여기서 중요한 것은 무조건 긍정주의가 답이고 선수가 답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극단의 법칙.. 361로 중에 좋은 자리를 내가 차지하면 이긴다. 졸라 쉽잖아.


서봉수.. 신의 눈으로 보면 기세니 승부수니 하는건 다 개소리고 오로지 정수와 악수밖에 없다.

알파고.. 내가 신이다. 내가 봤더니 확률 밖에 없다. 일원론이다.


왜 미야모도 무사시는 모두 선수 하나로 정리할까?

왜 서봉수는 정수 하나로 정리할까?

왜 알파고는 확률 하나로 결론을 낼까?

일원론이라는 거.


둘을 이야기하면 벌써 개소리 시즌 시작되었구나 일케 보면 됩니다.

하나를 찍을 수 있어야 뭔가를 아는 사람입니다.


하나는 마이너스. 우주에는 부정과 부정의 부정 밖에 없습니다.

NO 혹은 NO NO, 자연에는 YES가 없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3]chow

2025.05.11 (13:02:02)

이재명 같은 사람은 외부에서 보면 대개 약점이 매우 잘 보이기 때문에 쉽게 공격을 당합니다.

천재들이 대개 겉에서 보면 나사 하나 빠져 보이고 허술해 보이기 때문에 

주변사람들에 이용당하거나 공격당하거나 하는 거죠.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깨닫게 됩니다. 이게 꼭 나쁜 게 아니구나.

나를 공격하거나 이용해 먹으려는 사람들을 다루는 방법을 알게 되는 것.


보통 이런 경우라면 되치기를 할 수 있다는 생각자체를 안 하는데

인간 관계는 항상 되치기가 가능합니다. 왜냐면

게임에 함께 참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엮이기가 어려운 게 인간관계라는 걸 알아야 합니다.


반대로 내가 누군가에게 실수를 했다면

사람들은 보통 망했다고 생각하는데, 천만에!

무려 사과할 기회가 생긴 겁니다.


보통 이런 걸 응용해서 커피 쏟고 여자 꼬시..

하여간 이재명은 누가 보기에도 약점이 잘 드러난 사람입니다.

대개의 인간들은 약점을 감추는데 집중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는 모두 이재명과 형수의 욕배틀에 낚인 겁니다.


#


다음은 이번 시즌 리그를 우승한 리버풀의 주장 버질 반 다이크의 예시입니다. 김민재보다 한 수 높은 수비 지능을 보여주죠. 김민재는 들이대는 스타일임에 반해 반다이크는 조율하는 스타일입니다.


다이크의 수비 지능은 상대 공격수를 직접 맡는 개인 수비 상황과 팀의 수비 라인 전체를 컨트롤 하는 집단 수비 상황 모두에서 유감없이 발휘된다. 먼저, 개인 수비 측면에서 보자면, 수비수가 무조건적으로 불리한 상황을 되려 개인 능력으로 차단해내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며 상대 공격수들과의 수싸움이나 심리전에서 상황 자체를 압도하여 쉽게 수비에 성공하는 모습을 자주 연출한다


보통 축구에서 페이크 스킬이라고 하면 공격수가 발기술이나 상체 페인팅으로 수비수의 무게중심을 망가뜨리는 뜻하지만 다이크는 오히려 수비수인데도 드리블 중인 공격수에게 역으로 페이크 동작을 가하는 테크닉을 사용한다. 공격수의 판단에 혼란을 주거나 일부러 허술하게 공간을 내주는 하면서도 돌파 루트 하나는 봉쇄해서 공격수를 슬금슬금 골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몰아넣는 플레이는 다이크의 수준 높은 수비 지능을 있는 예시이다. 


골키퍼의 위치를 미리 파악한 공격수에게 이지선다를 허용하는 대신 일부러 슈팅 공간을 살짝 열어줘서 상대 공격수가 확률 낮은 슛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도 자주 연출하는 편이다공을 가지고 있는 선수를 대인마크 거리 조절 또한 일품이어서 공격수에게 드리블과 패스 선택지를 모두 고민하게 하는 어중간한 거리에서 템포를 빼앗고 일순간에 선택지를 좁혀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불필요한 태클도 거의 없다


지능적인 수싸움으로 상대 공격수의 패턴을 봉쇄하고 선택지를 예측해버리기 때문에 상대 공격수들이 다이크를 앞에 두고 순간적으로 우물쭈물하며 선택의 타이밍을 잃다가 어이없이 공을 넘겨버리는 장면도 꽤나 자주 나올 정도다. 또한 상술하였듯이 공중볼이 넘어올 생각할 여유가 있다면 클리어링 동료 선수들의 위치를 파악하여 가장 가까운 곳에 떨어뜨려 소유권을 가져오는 깔끔한 처리도 뛰어난 수비 지능에서 나오는 특징적인 플레이 하나이다.


https://namu.wiki/w/%EB%B2%84%EC%A7%88%20%EB%B0%98%20%EB%8B%A4%EC%9D%B4%ED%81%AC/%ED%94%8C%EB%A0%88%EC%9D%B4%20%EC%8A%A4%ED%83%80%EC%9D%BC#s-3.3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210322
2326 우주는 끝이 있을까? new chow 2025-05-11 51
2325 빛의 반사각 문제 2 나나난나 2025-05-11 161
» 배우지 말고 초월하라 (영화 승부) update 2 chow 2025-05-11 204
2323 사주 + 구조론 AI 1 임종필 2025-05-09 311
2322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5-05-07 141
2321 한국의 판란티어 구조론 AI 6 임종필 2025-05-07 375
2320 AI 프롬프팅의 구조론적 혁명 2 ahmoo 2025-05-05 591
2319 알파고는 되고 언어모델은 안 되는 이유 4 chow 2025-05-04 684
2318 구조론의 메타이론적 잠재력 ahmoo 2025-05-04 466
2317 인공지능이 인간의 직업을 삭제할까? 4 chow 2025-05-04 720
2316 구조론연구실_노트북LM 4 ahmoo 2025-05-02 623
2315 사회문제 해결에 관한 메타이론적 탐구 5 ahmoo 2025-04-30 1087
2314 구조론에서 깨달음과 이상주의의 의미 1 ahmoo 2025-04-29 976
2313 AI가 아첨하는 이유 chow 2025-04-28 815
2312 인공지능 토론실 개설 15 ahmoo 2025-04-26 1048
2311 구조론과 소통지능 연구 가이드 11 ahmoo 2025-04-23 1531
231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오리 2025-04-23 961
2309 한국 경쟁과 일본 경쟁의 구조적 차이 image 추론이 철학이다 2025-04-23 1130
2308 글 복구 [추론이 철학이다님] 2 김동렬 2025-04-23 1096
2307 AI 일시키는 중 4 ahmoo 2025-04-23 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