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082 vote 0 2023.12.28 (14:30:21)

    선이 악을 이긴다.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 악이 선을 이긴다. 중학생의 일진놀이가 그렇다. 못된 녀석이 이겨서 무리 위에 군림한다. 사람들이 악을 저지르는 이유는 악이 승리하기 때문이다. 이겨먹으려고 그러는 것이다. 


    진보가 보수를 이긴다.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 보수가 이긴다. 사람들이 한사코 보수로 달려가는 이유는 이겨먹으려는 욕심 때문이다. 옳고 그름에는 관심이 없고 단지 이겨먹으려고 승리하는 구조를 만들면 그게 보수다. 


    그러나 모두 이기는 게임은 없다. 모두가 보수할 수는 없다. 모두가 악할 수는 없다. 모두가 이기려고 하면 모두가 지는 것이 게임이론의 내시균형이다. 우리는 알고 있다. 다시 선이 이긴다는 사실을. 다시 진보가 승리한다는 사실을. 


    이기는 선과 지는 선이 있다. 이기는 진보와 지는 진보가 있다. 보편과 특수가 있다. 이기는 선은 보편성의 선이다. 지는 선은 특수성의 선이다. 특수하다는 것은 때와 장소가 특정된다는 것이다. 놀부와 흥부가 싸우면 놀부가 이긴다. 


    흥부는 사람이 특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놀부팀과 흥부팀이 싸우면 흥부팀이 이긴다. 놀부팀은 동료에게 패스하지 않기 때문이다. 놀부팀은 동료까지 이겨먹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진보도 같다. 보편진보는 이기고 특수진보는 진다. 


    때와 장소가 정해진 진보는 진다. 개인전을 하면 보수가 이기고 팀플레이를 하면 진보가 이긴다. 선이 이기려면 단체전을 해야 한다. 장기전을 해야 한다. 넓고 열린 곳에서는 진보가 이기고 좁고 궁벽한 곳에서는 항상 보수가 이긴다. 


    열린우리당이 당명에 열려있음을 강조한 이유다. 닫힌 진보는 진다는 사실을 본능적으로 아는 것이다. 장기전은 진보가 이기고 단기전은 보수가 이긴다. 진보가 이기려면 1차전을 내줘야 한다. 항상 이기는 진보는 원리적으로 없다.


    진보가 선이고 보수는 악이다. 보편적으로 그러할 뿐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진보는 단체전, 장기전, 능동적, 긍정적, 공격전, 보편성일 때 한하여 선이다. 반대로 개인전, 단기전, 수동적, 부정적, 방어전, 특수성일 때 진보는 악이다. 


   우리가 진보를 지향하는 이유는 진보가 항상 옳기 때문이 아니라 누군가는 진보를 해야 한다면 무리 중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이 진보를 맡아야 하기 때문이다. 멍청한 사람이 진보를 하면 그게 악이다. 똑똑한 진보가 이길 자격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953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9549
6619 본질지향에서 도구지향으로 김동렬 2022-04-23 2001
6618 자발적 변화 김동렬 2023-01-25 2001
6617 인간은 언제 죽는가? 1 김동렬 2024-05-02 2002
6616 총선 총평.. 구조론이 옳다 김동렬 2024-04-11 2007
6615 진화론의 완성도 김동렬 2022-12-08 2008
6614 구조문제 김동렬 2023-01-13 2008
6613 왼손잡이 문제 김동렬 2022-05-22 2009
6612 발생이 먼저다 김동렬 2023-01-30 2009
6611 차령산맥은 없다 image 김동렬 2023-12-15 2009
6610 외계인이 없는 이유 김동렬 2024-02-12 2021
6609 윤석열의 총선반성 뻥이야. 김동렬 2024-04-16 2022
6608 국힘의 컨닝실패 2 김동렬 2023-11-05 2023
6607 중국 축구 수수께끼 풀렸다 1 김동렬 2023-11-23 2023
6606 입력과 출력 김동렬 2024-01-20 2023
6605 노무현을 죽여라 김동렬 2024-04-12 2024
6604 힘과 짐 김동렬 2023-08-16 2025
6603 물리적 실재 김동렬 2022-11-27 2026
6602 딜레마 1 김동렬 2023-01-20 2027
6601 과학의 시련 김동렬 2023-01-29 2028
6600 구조론은 김동렬 2023-08-30 2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