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read 2506 vote 1 2021.11.08 (10:10:32)

어젯 밤 평창에서 집으로 차몰고 오는데 역시나 이천의 호법 분기점 부근에서 용인 양지까지 19km가 막힌다. 영동고속도로와중부고속도로 합류지점이니 이해도 간다.
쫄쫄쫄 정체구간을 갈 생각을 하니 좀 갑갑증이 몰려온다. 어쩌면 좋을까? 마침 네비 언니가 우회도로를 알려준다. 무려 15분이나 빠른 길이네. 진출입로가 몇 백 미터 안남았지만 1차선에서 살살 차선 변경해서 겨우 중부 고속도로로 접어들어서 이천의 국도로 우회를 했다. 신호대기중 확인해보니 덕평ic로 들어간다. 잘 되었다 싶었다. 도착 시간도 십 몇 분 줄어들었으니.
어라, 그런데 중간에 한 국도의 삼거리에서 신호대기를 3~4번 받고, 덕평 ic진입 삼거리에서 그만큼 신호를 받으니 결국 도착 시각이 마이너스 15에서 제로가 되었다. 옆에 있던 아내 말대로 하면 도리어 1~2분 늘었단다.
결국 우회하면서 시간은 못줄이고 기름값만 손해니 아내는 괜히 나갔다며 투덜투덜.

음.. 그런데 과연 그럴까? 우회도로로 운전하며 새로운 루트를 알게 되었다. 고속도로 쫄쫄쫄 보다는 우회로가 지루함이 덜했다. 만약 아까 이 길로 안오고 정체된 원래 길로 갔다면 우회도로로 못나간 걸 아쉬워했을 거다. 앞으로 비슷한 시간에 우회도로 감속 메시지가 떠도 우회하진 않을 거다. 딱 떠올려봐도 장점이 4가지나 된다.

교직도 이와 비슷하다. 샘들은 결과가 안좋으면 괜히 했다고 후회를 한다. 그냥 후회만 하면 다행인데, 주로 반 애들과 감정 싸움으로 이어져서 뒤끝도 안좋다. 너무 위험하지만 않으면 새로운 시도는 언제나 옳다. 실패는 없고 실전 데이터가 쌓인다. 실패한 만큼 나중에 성공의 확률도 올라간다. 부족한 부분은 원인을 분석해서 보완하면 된다. 교육의 방향만 맞다면 그리 걱정할 것이 못된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결과만 보고 판단한다. 교육의 아버지라는 페스탈로찌를 보라. 그는 늘 실패만 했다. 그가 산 시대야 말로 격동과 혼란 그 자체였다. 성공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 정상이다. 한 인간 자신의 교육에 대한 성공과 실패를 논하는 것은 그 당시로서는 알 수가 없다. 지나고 나야 성공인지 아닌지 어렴풋이 알 수가 있다. 교육은 지금 현재가 가장 중요하나, 교육은 큰 흐름이 있고 그 효과와 부작용이 나오는데 시간이 걸리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인간 자체의 변화와 성장의 그러하다. 교육백년지대계의 마음으로 일희일비하지 않고 긴 안목을 갖고 지금 최선을 다하는 것이 모든 교육자가 할 일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866
1897 돔지붕의 문제 image 8 김동렬 2013-01-21 6226
1896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09-08-28 6217
1895 성 노동자 어떻게 바라볼까? 7 김동렬 2013-03-25 6216
1894 진보와 보수 1 레인3 2023-05-22 6199
1893 빈곤층이 결혼하지 않는 이유는? 13 김동렬 2013-10-17 6191
1892 문제 하나 더 '더 헌트' image 9 김동렬 2013-02-26 6178
1891 재미있는 무한동력 5 김동렬 2014-06-23 6177
1890 중국은 왜 대포와 시계를 만들지 못했나? 2 김동렬 2013-08-24 6167
1889 R e l e a s e . . image 7 조영민 2010-06-07 6162
1888 잘못 알려진 고대사 image 4 김동렬 2014-01-30 6151
1887 신은 존재하는가? 4 양을 쫓는 모험 2009-10-27 6136
1886 권구조담 1 ░담 2010-08-26 6133
1885 몸과 마음의 이분법을 구조론으론 어떻게 극복을 하는가? 오세 2009-12-03 6132
1884 피라미드는 삼각형인가? image 냥모 2013-03-18 6129
1883 천재발견 image 6 김동렬 2013-11-29 6127
1882 학폭예방법의 가장 큰 문제는 관계를 배울 기회를 실종시켜 버렸다는 점 이상우 2023-05-08 6118
1881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5-24 6112
1880 만유척력에 관하여.. 1 노란고양이 2008-12-10 6104
1879 백제의 패배이유 김동렬 2013-12-04 6082
1878 우리 몸의 6가지 미스터리 4 김동렬 2012-11-23 6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