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렬님의 -뜰앞의 잣나무- 이렇게 시작 .
라고 말하며 문득 신이 내게 전화를 걸어온다면 ....
--------------------------------------------------------------------------------------
(존엄과 자유 사랑을 떠올리는 편안한 글 셋 퍼 올립니다)
옛날에 생명을 사랑하는 임금님이 계셨지. 임금님의 정원에는 온갖 꽃과 나무들로 충만해 있었어.
그런데 하루는 늙은 정원사가 달려와서 수심 어린 목소리로 말하기를
"임금님,임금님, 큰일났습니다. 정원의 꽃들이 죽어가고 있습니다. 정원의 나무들이 말라가고 있습니다."
임금님이 깜짝 놀라 정원으로 달려갔어.
"포도나무야, 포도나무야, 너는 왜 죽으려고 하느냐"
"임금님, 저는 없어도 괜찮은 존재입니다. 저는 열매를 맺긴 합니다만
사과 나 배나 오렌지에 견줄 수없습니다.
더구나 일어 설 수도 없습니다. 가지에 얹히어야 덩굴을 뻗고 제대로 몸을 지탱하게 됩니다.
임금님, 저같은 것은 없어도 되는 존재입니다."
임금님은 말없이 장미에게로 가서 "장미야, 너는 왜 죽으려고 하느냐"
"임금님, 저는 열매맺지 못함을 슬퍼합니다. 꽃이 시들면 저는 가시덩굴에 불과합니다.
세상사람들이 저를 혐오합니다. 그래서 저는 죽기로 했습니다"
장미는 임금님 정원의 여왕이었지. 그의 외모는 화려하고 향기는 매혹적이었으며 그의 자존심은
그 몸의 가시보다도 더 도도하게 솟아있었어.
그러던 장미의 생명에 대한 포기는 임금님을 한없이 절망하게 했단다.
"전나무야, 너까지 왜 이렇게 내 속을 속이느냐?"
수려한 가지를 마음껏 뻗고 잘생긴 이마를 들어 구름을 바라보면서
사시사철 한결같이 성실하던 전나무에게 다가간 임금님은 한숨을 쉬면서 물었어
"임금님, 저야말로 쓸모 없는 존재입니다. 제가 꽃을 피울 수 있습니까?
아니면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까?
공연한 몸뚱이만 가지고 발아래 풀들만 괴 롭힙니다."
'아! 말도 안되는 소리다.' 임금님의 마음은 괴롭다 못해 노여웠단다.
"그것은 겸손이 아니다. 그것은 오만이다.
죽는 것이 소원이라면 모두 죽어 도 좋다."
'생명을 사랑하는 임금님이지만 생명을 우습게 여기고 살기를 거부하는 것 들까지 사랑할 수 없었구나!'
힘없이 궁중으로 돌아오는 임금님의 뒷모습은 슬픔과 고통으로 흔들리고 있 었다.
그런데 이게 뭐란말인가. 층계의 돌틈 바구니를 비집고
건강하게 솟아오른 꽃 대롱이 정오의 햇살아래 황금색 꽃잎을 활짝 펴고 있는 꽃.
그것은 민들 레가 아닌가.
이번에는 임금님이 이렇게 말했지
"민들레야, 민들레야, 다들 죽겠다고 하는데 너는 왜 살고자 하느냐?"
"임금님, 저는 민들레 입니다.
민들레 외에 다른 것이 되기를 원하지 않습 니다.
장미가 아닌 것을 한탄하지 않습니다.
포도나무처럼 열매맺지 못하는 것을 부끄러워 하지 않습니다.
전나무처럼 사시사철 푸르게 서있지 못함을 슬퍼하지 않습니다.
나는 다름 아닌 민들레이기 때문입니다.
임금님의 정원 한귀퉁이 돌층계 틈에 비좁은 장소가 저의 영토입니다.
저는 여기서 세계로 나아갈 꿈을 꿉니다."
이렇게 말하는 민들레꽃 위에 해는 더욱 찬란하게 해는 더욱 풍성하게 빛을 붓고 있었어
"훌륭하구나 민들레야, 장하구나 민들레야. 네가 아니였으면 나는 어리석은 임금이 될뻔했구나.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생명 하나를 잊고 살 뻔 했 구나.
나는 나의 정원을 민들레로 채우고 싶다. 내 소원을 들어다오."
이 이야기는 아마도 여기쯤에서 끝이 나야 할 것이다.
장미와 전나무들은 정말로 살기를 그만 두었는지 어쨌는지 그후의 소식이야 어떤들 어떠랴.
작은 민들레의 자긍하는 마음이 유유한 향내로 온 정원을 불밝혀 부활하게 하 는 것을.
남들이 보기에는 초라하기 짝이 없는 들꽃에 불과히지만 제힘으로 자신을 광채 나게 하여
죽어 가는 정원의 마지막 파수꾼이 되는 민들레의 승리가 참으로 아릅답고 눈물겨운 것을.
타인 백사람이 나를 사랑한다 하여도
본인인 내 스스로가 긍지를 버린다면 백사람의 사랑이 무슨 쓸모가 있겠느냐?
-이양하의 "영에서 하나까지"中에서-
-----여유로운 이야기----
텅 빈 버스에 오른 그 아주머니는
얼굴이 환희의 표정으로 바뀌면서
어쩔줄 몰랐다.
빈 좌석마다 빠른 동작으로 옮겨다니며
죄다 앉아보는 것이었다.
버스는 빠르게 달렸고, 아주머니는
내릴 때까지 계속 그 '자리'를 만끽하였다.
그렇게 좋을 수가 없었다.
적군이 없었다.
**************
숲을 가만히 바라보고 있으면
어느 때
숲 한가운데 유독 어떤 전나무 하나만
조용히 흔들린다
산신령님
전나무 그늘에서 쉬고 계신다
**************************
서거프다’
어렸을 때 어머니와 사촌인 노미 누나는 곧잘 툇마루 끝에 앉아
‘서거프다’는 말을 하곤 했다.
서글프다는 말의 사투리로 보이는 이 말은
서글프다는 말과는 뉘앙스가 많이 다르다.
설거지와 빨래, 집안청소가 대충 끝난 시간,
아직 오종(午鐘)이불기 전,
마지막 빨래를 빨랫줄에 걸고 바지랑대로 받쳐올리고 나면
툇마루에 오전볕이 따스하게 드는 시간이 온다.
이제 일도 끝나고 잠시 손이 쉬는 고요한 시간,
따뜻한 봄볕이 장독을 달구고 혹은 가을날이면
바지랑대 끝에 빨간 고추잠자리가
앉을 듯 말 듯 맴도는 모습을 넋놓고 바라보는 그런 시간에
어머니와 노미 누나는 곧잘 이 ‘서거프다’는 말을 했던 것이다.
그것은 무언가 한가하면서도 쓸쓸하고
그러면서도 어디에도 머무르지 못하고
서성거리는 마음의 한순간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그 말에서는 삶의 고단함, 우리 존재의 황량함이 묻어났다.
그것은 일상적인 모든 관심을 거두어들임으로써
잠시 홀로 된 우리 존재의 쓸쓸한 실체를 의식했을 때 나오는 말이다.
…이 고요를 우리 시대는 잃어가고 있다.
… 의식이 스스로를 돌아보고 그리하여 전체를
돌아보는 일은 희귀한 일, 드물게만 발생하는 일이 되었다.
아니 그런 순간이 있기는 하지만 우리는 대체로 그런 순간을 견뎌내지 못한다.
우리는 그런 순간이 다가오면 그것의 의미를 미처 깨닫기도 전에 텔레비전을
켜거나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잠을 자버린다.
고요 속에서 미세하게 가물거리는 속삭임에 귀 기울이기를 우리의 의식은
이미 두려워하고 있는 것이다.
--- 이수태, 생각의 나무, <어른 되기의 어려움>에서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란 영화인지 노래인지 있었는데, 사랑보다는 중심이 더 중요한거 같소. 변방 찌끄르기라는게 다 괴로운거라서 세상의 중심으로 가고 싶은데, 그게 잘 안되니 자기를 중심으로 세상을 편하게 생각하느라 가짜가 되고, 자기를 중심으로 질서를 재편하려 하니 깡패가 되고 그러는게 아닌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