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아다리님의 글을 읽고 느낀점 입니다.)

공포의 반복, 연장상영, 혹은 시리즈화를 고통이라고 부를 수 있지않을까?
그런 점에서 에이리언 시리즈는 정말 고통스럽다.
이 공포는 결코 대항할 수 없는 절대우위적 파워를 지닌 자(에이리언)의 침략에서 상정되며,
절망과 희망의 극단을 오르내리면서 우리의 생존력을 시험한다.

그냥 이대로 뛰어내릴까..
요란한 겉포장과는 달리 유달리 생존력이 약한 우리의 미해병대들은 공포에 질린 나머지 자진해서 절망의 신에게 자신을 헌납해버린다.
물론 이 대목은 공포의 가공할 파워를 홍보하기 위한 장치일테이지만..

에이리언은 우리에게 마지막, 궁극의 한가지 질문을 던진다.
너, 이래도 계속 까불거니?
봉쇄된 절망과 지칠줄 모르는 고통의 변주를 듣고서도, 나름의 희망을 동원한 정돈된 삶을 동경하니? 하고 되뇌인다.
영화는 우리의 삶에 대한 조잡스러움과 죽음앞에서의 비겁함을 마음껏, 끊임없이 조롱한다.
값비싼 댓가를 치르며 2시간동안 스크린의 볼모로 앉아있을 수 밖에 없는 우리가 마침내 더없이 초라해질때, 영화는 본래의 의도된 목적을 달성한다.

너희의 그 고상한 권리 따위는, 기껏 죽음하나 어쩌지 못하는 비루한 생명알갱이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무자비한 공포채널로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고통은 결코 소통되지 않는다.
고통은 우리의 모든 감각과 사고를 기능정지시키며 무의미의 세계로 내팽개쳐버리기 때문이다.
이 절망적인 순간에 우리의 취할바가 무엇인가?의 질문을, 한편의 영화도 부족해서 시리즈로 던지고 있다.

결국 이 영화에서 내가 찾은 소통의 방법은, 고통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고통 자체가 될 수 밖에 없다는 거다.
고통을 옹호하고 고통을 자기속에 함유하며, 마지막 안전지대마저 내놓는 것..
이것만이 고통으로부터 나를 지킬수 있다는 메시지다.
그래서 마침내 그녀는 마지막 작품에서 고통의 신으로 부활했다.

고통을 적대하건 광신하건,
그것과 대립하여 안전을 구하는 순간 절망의 골짜기로 굴러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런점에서 에이리언은 고통(또는 미지)를 끌어안기 위해 모색하는 영화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60 오늘 이회창 토론회 어땠나요? 살충제 2002-10-20 13956
159 전여옥 인물탐구 부탁합니다 아다리 2002-10-19 12375
158 Re..전여옥 칼럼을 읽어봤는데 자유인 2002-10-20 14382
157 그 에너지가 종이 에너지라니깐요 아다리 2002-10-20 14279
156 몽준 패착을 두다(오마이독자펌) 김동렬 2002-10-19 15608
155 노무현이 골든골을 쏜다 김동렬 2002-10-19 12740
154 드림팀이 뜰려나 선화 2002-10-19 14137
153 Re..반갑습니다. 김동렬 2002-10-19 15299
152 TO : 김동렬님께 - 안녕하세요. 공희준입니다 공희준 2002-10-19 15544
151 Re..그거 때문에 주가가 오르고 있으니 김동렬 2002-10-18 14622
150 김민석 이 인간을 어이하리! 김동렬 2002-10-18 13355
149 Re..저 역시 제인 2002-10-19 14311
148 Re..너희가 있어야 할 곳은 어디인가? 황태연-강준만 논쟁에 관하여 진중권 제인(펌) 2002-10-19 13769
147 동렬님, 질문 있슴니다! 손&발 2002-10-18 13818
146 Re..여론조사는 정확합니다. 김동렬 2002-10-18 14015
145 정확하지만 제대로 읽을 줄을 알아야 합니다. skynomad 2002-10-18 15877
144 이 틈에 부산을 공략하십시오 아다리 2002-10-17 16176
143 Re..좋은 생각임니돠~^^ Y 2002-10-18 15479
142 음.. **의 친구^^ 2002-10-17 15852
141 Re..동렬교의 여사제가 되어...^_^ 손&발 2002-10-18 13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