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016 vote 0 2024.11.23 (11:43:31)

    구조는 깔때기다. 깔때기 속으로 밀어 넣고 압박해야 한다. 입구냐 출구냐 방향판단 중요하다. 유혹과 압박, 인력과 척력, 에너지의 확산과 수렴으로 모두 설명된다. 이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 해당되는 보편적 직관원리다. 당신도 직관할 수 있다.


    비트코인이 흥하는가 망하는가는 열린구조냐 닫힌구조냐만 보면 된다. 열리면 망하고 닫히면 흥한다. 앞에서 꼬시면 망하고 뒤에서 떠밀면 흥한다. 무슨 기능이 있다는 건 유혹이고 세금을 뜯기는 것은 압박이다. 어느 쪽이 더 설득력 있겠는가? 당연히 압박이다.


    인간이 도무지 뇌를 사용하여 생각을 하지 않는다는 증거를 대려는 것이다. 그냥 흥한다거나 망한다거나 둘 중에 하나를 찍지 말고 근거를 대야 한다. 대부분 내 인생에 데모해서 되는 꼴을 못 봤다거나 다단계가 되는 꼴을 못 봤다는 식으로 경험법칙에 의존한다. 


    직관적으로 어? 이거 먹힌다. 어? 이거 안 먹힌다. 1초 안에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구조를 보면 된다. 흥행하는 영화는 대부분 닫힌 공간을 제시한다. 빠져나갈 수 없다. 쏘우 시리즈나 큐브 시리즈가 그렇다. 저예산으로도 흥한다. 폰부스나 터미널 같은 영화다.


    시간으로 닫히는 영화도 많다. 악당은 시한폭탄을 설치하고 주인공은 시간에 쫓겨 개고생한다. 사건으로도 닫힌다. 보통은 복수극이다. 아버지의 복수를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갇힌다. 캐릭터도 닫힌다. 그냥 여자를 사랑한다는 안이한 설정은 곤란하다.


    주인공이 찐따라서 이 여자를 놓치면 다시는 여친을 사귀게 될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보여줘야 관객이 납득한다. 구영탄 만화라면 워낙 촌놈이라 아버지의 유언에 갇혀 있다. 만화 주인공들이 찐따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은 이유다. 히어로는 빌런에 의해 닫힌다.


    염력이나 외계+인 시리즈가 망한 이유는 초능력이 만능열쇠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시공간을 넘나들고 족자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초능력자에게 닫힌공간은 없다. 주인공을 압박할 방법이 없다. 열린 결말은 김이 빠진다. 열린 스토리도 당연히 맥이 빠지는 거다. 


    영화 초능력자는 손익분기점을 넘었지만, 강병진 평론가는 말한다. 그의 초능력 별로 갖고 싶지 않다고. 초능력자가 구차하게 전당포를 털어 밥 먹는다고? 말이 되는 소리를 해야지. 초능력이 있다면 당연히 푸틴의 목을 따고 불량인간 네타냐후와 정은을 처단한다.


    그 좋은 초능력 가지고 기껏 한다는 짓이 철거깡패 때려주기. 영화 염력. 초능력자를 가두는 방법도 있다. 초능력자가 폭주하는 것이다. 영화 루시가 그렇고 리미트리스가 그렇다. 일본 망가에 많다. 아키라가 대표적이다. 초능력자는 폭주에 갇혀서 자폭한다. 


    망작은 공통점이 있다. 주인공에게 선택지를 준다. 이건 작가의 망설임이다. 작가가 결론을 못 내고 독자에게 ‘어쩌면 좋아?’ 이러고 있다. 그 마음이 관객들에게 전달된다. 똥 싸고 있네. 관객의 기분은 이렇게 된다. 해외로케만 하면 멸망하는 공식도 원리는 같다.


    해외는 친숙한 공간이 아니다. 열린 공간이다. 이 길을 가도 되고 저 길로 가도 된다. 어차피 안 가봤잖아. 감독이 헤매는 게 관객의 마음에 전달된다. 익숙한 공간이라야 어디로 갈지 예측되고 압박이 된다. 박해일 주연의 영화 10억이 해외로케 멸망공식 영화다.


    서바이벌 게임을 하러 호주에 왔는데 사막이 갑자기 정글이 된다. 똥 싸네. 심드렁해진다. 탈출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보여주고 탈출할 수 없다고 억지 쓰는데 관객은 납득을 못 한다. 오징어게임은 참가자가 제 발로 올 수밖에 없는 과정을 보여줬는데 말이다.


    1. 고립된 공간으로 닫는다.
    2. 제한된 시간으로 닫는다.
    3. 결함 있는 주인공 캐릭터로 닫는다.
    4. 복수극은 스토리로 닫는다.
    5. 히어로는 빌런으로 닫는다.
    6. 초능력은 폭주로 닫는다.
    7. 신파로 닫는 꼼수는 비겁하다.


    주인공에게 여러 선택지를 주면 망한다. 빨간약을 선택하지 않을 수 없게 압박해야 한다. 닫힌 공간을 설계하지 않고 관객을 압박하는 방법은 신파다. 어린애를 울린다. 영화 기적은 거의 30분 동안 애를 울린다. 환장한다. 아이디어가 괜찮았는데 울다가 망했다.


    초반에는 열려 있어야 한다. 어느 순간 문이 쾅 닫힌다. 그리고 점점 더 안으로 깊숙이 끌려 들어간다. 거기서 구출해 주는 것은 개인이 아닌 집단이라야 한다. 인간은 집단과 단절되었을 때 고통을 느낀다. 다시 집단과 연결되는 것이 카타르시스다. 전율을 느낀다. 


    보통은 주인공의 고난을 모른 체 하던 집단이 곡괭이와 낫을 들고 모여들어 주인공을 돕는 장면으로 결말짓는다. 인간은 언제라도 집단과 연결되어 있고 싶은 것이다. 이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 두루 적용되는 직관원리다. 단박에 눈치챌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137 이재명과 인쟈기 1 김동렬 2024-11-27 2315
7136 자유의지와 결정론 2 김동렬 2024-11-27 1686
7135 한국인의 출산기피 김동렬 2024-11-26 2494
7134 이재명의 승리, 대중의 오판 김동렬 2024-11-26 2655
7133 카오스 삽질 김동렬 2024-11-26 2231
7132 문가비와 정우성 17 김동렬 2024-11-25 3747
7131 정우성의 실수 김동렬 2024-11-25 3175
7130 시작과 끝 김동렬 2024-11-24 2490
7129 미지와의 조우 김동렬 2024-11-23 3152
» 망하는 것은 이유가 있다 김동렬 2024-11-23 4016
7127 열린 진보의 원칙 김동렬 2024-11-22 4212
7126 구조와 원자 김동렬 2024-11-22 3097
7125 구조의 발견 김동렬 2024-11-21 2980
7124 트럼프의 고통 김동렬 2024-11-21 3541
7123 관성의 법칙 김동렬 2024-11-21 2784
7122 한동훈의 자멸정치 김동렬 2024-11-21 3031
7121 원자와 구조 김동렬 2024-11-20 2813
7120 대전환 김동렬 2024-11-20 2980
7119 추사 원교 창암 image 김동렬 2024-11-20 3191
7118 과학은 안을 본다 김동렬 2024-11-19 2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