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754 vote 0 2023.07.23 (21:13:45)


    사람이 쓰러졌다면 날아온 화살 때문인가, 아니면 그 화살을 날려보낸 활 때문인가, 혹은 그 활을 쏜 사람 때문인가? 우리는 원인을 찾으려고 하지만 원인의 원인이 있기 마련이다. 근인近因도 있고 원인遠因도 있다. 사람들은 여러 원인 중에 하나를 찾으면 더 이상 생각하지 않으려고 한다.


    - 집합이 원소를 쏜다.
    - 유체가 강체를 쏜다.


    원소가 아니라 집합이 진짜다. 강체가 아니라 유체가 진짜다. 활이 집합이라면 화살은 원소다. 집합이 원소를 쏜다. 유체가 강체를 쏜다. 화살은 활에 묶인다. 원소는 집합에 묶인다. 강체는 유체에 묶인다. 묶었다가 풀어주는 것은 유체다. 존재는 묶여서 단위를 이룬다. 존재의 단위는 유체다.


    - 존재는 단위다.
    - 유체가 단위를 만든다.


    우리는 원소 중심의 사고에 빠져 있지만 원소는 힘이 없다. 집합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강체는 힘이 없다. 유체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망치는 힘이 없다. 망치를 휘두르는 사람의 근육에 힘이 있다. 근육은 유체다. 우주의 모든 변화는 유체의 몰아주는 성질로 설명되어야 한다.


    집합 - (조건) - 원소
    유체 - (밸런스) - 강체


    강체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으나 유체는 스스로 움직인다. 단 조건이 있다. 유체를 묶어주는 것이 있다. 내부의 밸런스가 묶는다. 집합과 원소 사이에 조건이 있다.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집합이 깨진다. 밸런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유체는 흩어진다. 밸런스가 유체를 가두면 힘이 발생한다.


    유체 - 풀어주는 자발성이 있다.
    강체 - 묶이는 상호의존성이 있다.


    원소가 묶이면 집합이 되고 강체가 묶이면 유체가 된다. 강체가 묶인 것은 상호의존성이고 유체가 풀어주는 것은 자발성이다. 근원의 힘은 유체의 자발성에서 비롯된다. 묶인 것을 풀어주는데 드는 비용을 자체조달할 수 있는 형태로만 풀 수 있다. 그러므로 법칙이 있다. 그것이 이기는 힘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78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735
195 구조의 포지션 찾기 image 3 김동렬 2011-06-08 18342
194 학문의 역사 -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김동렬 2006-02-03 18351
193 노무현은 부패를 척결할 수 없다? 1 김동렬 2002-09-11 18359
192 박근혜의 마지막 댄스 image 김동렬 2004-03-31 18360
191 서프라이즈 출판기념회 사진 image 김동렬 2003-01-20 18372
190 구조의 만남 image 김동렬 2010-07-12 18402
189 이 사진을 보면 결과를 알 수 있음 image 김동렬 2002-12-19 18416
188 광화문 1만 인파의 외침이 조중동의 귀에도 들렸을까? 김동렬 2002-12-01 18420
187 노무현 잘하고 있는데 왜들 그러는지 모르겠다. 김동렬 2002-09-12 18434
186 군포 개혁당에 부쳐 image 김동렬 2003-04-29 18474
185 노무현은 무서운 사람이다 image 김동렬 2004-02-18 18488
184 예술의 본질 김동렬 2008-08-14 18489
183 곤충채집 겨울방학 숙제 유비송신 2002-12-04 18517
182 슬픈 진중권들과 카우치들 김동렬 2005-10-24 18523
181 Re..태풍이 가고 난 후 image 김동렬 2002-09-14 18533
180 추가할 내용 image 김동렬 2010-07-18 18535
179 누가 그이들을 울게 하는가? image 김동렬 2003-08-28 18542
178 김민새의 공작이라는 증거 김동렬 2002-12-19 18546
177 완전성의 과학 구조론 김동렬 2008-12-31 18556
176 편집용 image 김동렬 2011-01-23 18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