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인간은 무엇을 추구하는가? 행복을 추구한다고 말하면 많은 사람들이 동의할 것이다. 그러나 진정 무엇이 행복인지를 캐물으면 공허해진다. 어쩌면 행복은 빈곤했던 시대에나 유의미한 말일 수 있다.

모두가 가난했던 시대에 행복의 조건은 비교적 분명했고 극소수의 사람들만 그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풍요로운 시대에 행복의 조건들은 너무나 모호해졌다.

행복은 점차 객관적 조건에서 주관적 신념으로 변하여 가고 있다. 환경이 그 사람의 삶을 규정하는 시대에서 자아(自我)가 그 사람의 가치를 스스로 자기규정하는 시대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2006년 이 시대에 행복 운운의 표현은 설득력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행복의 객관적 조건들로 설명되었던 성공이나 명성이나 출세, 권력, 돈 따위의 개념들도 허무해졌다.    

인간은 행복을 추구하는 존재가 아니다. 행복의 조건인 성공이나 출세나 명성이나 권력이나 돈을 추구하는 존재도 아니다. 그렇다면 2006년 이 시대에 인간은 무엇을 추구하는가?

인간은 문명의 창조자이다. 인간이 문명의 주체라는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문명의 창조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의 삶에 있어서의 동기부여로는 다섯가지 기준을 말할 수 있다.

그것은 신(神), 진리, 가치, 의미, 사랑이다. 이 다섯은 별개의 다섯이 아니라 하나의 근본이 전개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이다.

● 신(神) - 성(聖), 신의 완전성
● 진리 - 진(眞), 진리의 보편성
● 가치 - 선(善), 공동체의 공동선
● 의미 - 미(美), 가치의 배달
● 사랑 - 자유(自由), 깨달음을 통한 재현

이는 문명의 창조자인 인간이 그 삶의 동기부여로 촉발하여 그 창조행위가 인식에서 행동으로 옮아가는 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인간은 문명의 주인이며 인간의 모든 창조활동은 신의 완전성을 인간이 재현하여 보이는 것이다.

인간은 신의 완전성을 재현하는 존재이다. 그 재현의 결과로 하여 축적된 것이 인류문명이다. 곧 인간은 문명의 창조를 추구하는 것이며 이는 인류 전체의 공동작업이면서 동시에 개인이 각자의 이익을 쫓아 움직일 때 그 작은 이익들이 쌓여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전체의 목표를 먼저 확인하고 그 전체의 영역 안에서 개인의 역할을 찾는 법이다. 최종적으로는 자기 개인을 완성을 지향할 뿐이며(전체를 위하여 개인을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그 개인의 작은 완성들이 모여서 위대한 인류문명이 건설되는 것이다.

● 인간은 신의 완전성을 재현한다.
● 인간은 위대한 문명의 창조자이다.
● 문명은 전체 인류의 공동작업으로 이루어진다.
● 그러나 개인은 각자의 삶의 완성을 지향할 뿐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10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084
6795 동이족은 없다 김동렬 2024-03-05 1528
6794 원형이정 김동렬 2024-06-05 1529
6793 본질적 모순 김동렬 2024-02-19 1535
6792 신의 존재 김동렬 2024-02-26 1541
6791 방시혁 민희진 전쟁 중간점검 김동렬 2024-05-31 1543
6790 신의 직관 김동렬 2024-03-23 1544
6789 김씨 흉노설 image 김동렬 2024-03-24 1546
6788 국민은 이겨먹으려는 자를 이겨먹는다 김동렬 2024-04-10 1547
6787 지구촌의 빡대가리들 김동렬 2024-03-28 1549
6786 에너지 차원 김동렬 2024-02-09 1550
6785 직관의 힘 김동렬 2024-02-17 1553
6784 에너지 조립 김동렬 2024-02-08 1554
6783 말 한마디로 판세가 바뀐다고? 1 김동렬 2024-03-25 1555
6782 광개토대왕비의 진실 4 김동렬 2024-05-18 1559
6781 박찬욱과 헤어지기 김동렬 2024-04-29 1560
6780 문화혁명의 진실 김동렬 2024-04-30 1561
6779 신의 권력 김동렬 2023-11-29 1562
6778 타이즈맨의 변태행동 김동렬 2024-02-20 1562
6777 손자병법의 해악 김동렬 2024-02-28 1570
6776 강형욱 소동과 프레임 정치의 비극 김동렬 2024-05-25 1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