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23 vote 0 2024.05.10 (11:26:16)

    인간은 프레임 없이 생각을 못한다. 프레임으로 자신을 대칭에 가두고 압박하여 방향을 제시하고 에너지를 끌어낸다. 그냥 동전이 있을 뿐인데 앞면과 뒷면이 따로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세상을 대칭으로 이해하지만 자연에는 변화가 있을 뿐 대칭이 없다. 대칭은 인간의 관념이다.


    빛과 어둠, 선과 악, 진보와 보수의 이분법은 변화를 통제하려는 인간의 맞대응 행동이다. 빛은 광자가 있고, 선은 사회가 있고, 진보는 문명이 있지만 반대편에 대응되는 무엇이 없다. 인간이 밝기 조절에 어둠을 도입하고, 집단 조절에 악을 도입하고, 문명 조절에 보수를 도입한다.


    자연은 대칭 이원론이 아니라 균형 일원론이다. 변화가 균형에 의해 조절될 때 프레임은 깨진다. 진보와 보수의 통일은 문명의 변화, 선과 악의 통일은 사회의 변화, 빛과 어둠의 통일은 빛의 밝기 변화다. 수평적 사고는 프레임에 갇혀서 교착되고 수직적 사고는 교착을 타개한다.


    ###


    공격은 한 명이 돌파구를 열지만 방어는 협력수비를 필요로 한다. 집단이 협력하려다가 프레임에 갇힌다. 프레임은 적의 공격에 맞서는 방어논리다. 사람을 구조에 가둬서 인질로 잡는다. 사람을 통제하는데 쾌감을 느끼고 흥분한다. 집단의 권력에서 개인의 에너지를 조달한다.


    에너지를 구하다가 프레임에 갇힌다. 동력원을 장악하지 못하므로 집단에 의지한다. 권력이 집단을 보이지 않는 끈으로 묶는다. 고립되면 불안하므로 집단의 권력에 동력을 연결한다. 개인이 자기만의 도구를 획득하면 별도의 동력원을 얻어서 프레임을 이기고 자유로워진다.


    상부구조와 연결하면 동력을 얻는다. 무사는 칼이 있어야 편안하고 작가는 펜이 있어야 편안하다. 강체가 유체의 압력을 느끼면 편안하다. 에너지 방향성을 느끼면 편안하다. 한발 앞서 변화를 미리 내다보면 편안하다. 흐르는 강물에 배를 띄우고 순풍에 돛을 올리면 편안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27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146
6892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7162
6891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687
6890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782
6889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674
6888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630
6887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6043
6886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606
6885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9250
6884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6103
6883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336
6882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774
6881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634
6880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498
6879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375
6878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810
6877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419
6876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451
6875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444
6874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565
6873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8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