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0]dksnow
read 4389 vote 0 2022.08.31 (08:48:25)

일본 주식 니케이 지수를 볼만하다.


https://cpb-us-e1.wpmucdn.com/blogs.uoregon.edu/dist/2/11416/files/2012/12/saupload_N225-bubble-since-1984.png


1997년의 한국 IMF에 폭락이 나타나고, 그전에는 1989년의 미-일의 플라자합의에서 큰폭의 하락을 보여주고 있다. 흥미롭게, 현재 2022년 니케이지수는 상승장.


한국의 유튜브채널에는 부동산 하락장에 대한 포효가 뜨겁다. 그동안의 상승장에 대한 화풀이와 공정과 정의에 대한 분노가 절실히 남겨져 있다. 하물며, 대기업 맞벌이 부부에 강남에 아파트 있으면 인생 승리라는 말이 회자된단 말인가. 교수도 고급공무원(?)도 서울권 검판사도 끼워주지않는 강남불패 아파트. 그 하락에 대해서 다들 승리를 자축한다. 


하지만, 부동산은 자산가치이고, 부동산과 채권 주식 채무가 상호 교차로 엮여있고, 서로 이익을 취하면서 서로의 손해를 메꾸고, 거기다 보험까지 엮여서 손실을 배분하는 방식으로 경제는 흘러간다. 부동산이 망한다는건, 위의 표에서 나오듯, 1989년에 일본이 그랬듯이 장기적인 경제 불황을 의미한다. 한국사회는 그에대한 준비가 되어있는가.


분노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장에 대한 조절'에 대한 이야기이다. 1997년도엔 김영삼말기이고, 한국사회가 계급사회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시기이고, 한-일간의 불화가 급작스런 환율-금융을 조작한 면이 있고, 기업들도 뇌물-여자 돌려가면서 서류조작하던 시기이고, 그만큼 불안정성이 컸던 시기였단 이야기, 하지만 지금은 2022년. 


부동산 급락이 금리 상승으로 분명하다면, 어떻게 연착륙을 가져갈지. 좀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베이비부머의 은퇴와, 10-20의 사회진입, 산업다변화. 40-50의 연봉조정과 새직종 진입. 그러면서도 전통제조업 (자동차, 반도체)를 가져가면서 (중국에 뺏기지 않으면서), 수소경제같은 기후변화 관련분야를 치고나갈지. 그와동시에, 주거문화 변화를 어떻게 부동산 급락과 연동시킬지.


등의 일련의 사항들이, 강남부동산에 대한 분노의 질주보다 영양가 있다는것.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8254
2017 통짜, 통짜 덩어리란 말 4 굿길 2010-01-05 5276
2016 구조론에 기반한 메모1 5 오세 2010-01-07 4600
2015 구조론 메모2 -상담계, 2 오세 2010-01-07 4598
2014 사람 노무현 한 결 족보 ░담 2010-01-08 7188
2013 털 없는 인간의 탈모사 2 LPET 2010-01-09 7108
2012 구글, 오바마 효과? image 1 ░담 2010-01-15 4869
2011 리플대박 관련공지 11 김동렬 2010-01-15 5629
2010 노무현, 님의 설정을 권하오. ░담 2010-01-15 5447
2009 깨달음을 그리다 영어번역에 관하여 image 1 ahmoo 2010-01-18 6820
2008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첫 번째 image 1 ahmoo 2010-01-18 14530
2007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293
2006 문제해결능력 - 고부간의 갈등 편 image 21 양을 쫓는 모험 2010-01-19 7512
2005 아이패드와 eBook 혁명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1-31 6495
2004 밸런스의 중요성. 3 오세 2010-01-31 4465
2003 구조론 1번 읽은 기념 글쓰기 image 3 이상우 2010-01-31 5037
2002 앞날 생각할 때 자세 앞으로 쏠려 1 김동렬 2010-02-01 4899
2001 과거를 생각하면 눈알을 위로 굴리고 뒷머리를 긁적인다? 기준님하 2010-02-02 5915
2000 왼발이 커지는 원리에 대해서 1 기준님하 2010-02-02 4956
1999 이상우님이 학생들을 잘 지도하는 방법 기준님하 2010-02-02 5767
1998 구조론 옷입히기. 3 아제 2010-02-02 4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