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16 vote 1 2024.03.11 (10:52:32)

    1. 공간에는 장이 걸려 있다. 장은 국소성을 부정한다.


    2. 물질에 스핀이 걸리면 각운동량보존에 의해 공간을 덜 차지한다.


    3. 국소성을 부정하는 장의 성질, 각운동량을 보존하는 소립자의 성질, 은하의 회전, 항성 및 행성의 자전과 공전에 의해 물질은 가운데로 파고든다.


    4. 공간을 덜 차지하는 것이 가운데로 파고들면서 약한 것을 주변부로 밀어낸다. 효율적인 구조를 가진 것이 이긴다. 


    5. 바닷가의 몽돌이 둥근 것은 외부가 깎여나간 것이므로 에너지의 방향이 다르다.


    6. 중력은 당기는 힘이 아니라 가운데를 차지하려고 하면서 방해자를 밀어내는 힘이다. 궁극적으로 밸런스의 복원력이다. 국소성의 부정과 관계가 있다.  


    7. 무거운 것이 가운데를 차지하여 밸런스를 이루고 안정된 상태가 된 것이 현재 자연의 모습이다.


    8. 물방울이 둥근 이유는 물분자들이 가운데를 차지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9. 존재는 고유한 운동량이 있으며 밸런스에서 멈추는데 물방울의 가운데가 밸런스를 이룰 확률이 높다. 고유한 운동량은 부단한 내부 방향전환이다. 일종의 스핀인데 회전은 아니나 회전과 유사하다. 


    10. 밸런스에 도달하면 운동량이 소멸되는게 아니라 주변과 나란해져서 운동량을 내부에 숨긴다. 스핀이 결맞음에 숨는다.


    11. 존재는 운동량을 내부에 숨길때까지 활동하며 우리가 아는 물질의 모습은 고유한 운동량을 숨기는 형태다.


    12. 둥근 형태는 물질이 고유한 운동량을 가장 잘 내부에 숨기는 형태다. 밸런스에 도달할 확률이 높다. 


    13. 각운동량보존은 주변부의 긴 파장을 중심부의 짧은 파장으로 바꾸어 에너지를 내부에 숨긴다.


    14. 에너지는 물질 내부에 숨은 운동이 언밸런스에 의해 외부에 드러나는 방식이다. 위치에너지는 밸런스의 붕괴다. 다음 밸런스에 도달할 때까지 움직인다.


    15. 자발적 변화는 언밸런스에 의해 숨은 것이 드러나는 방향으로만 진행하므로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내부가 드러나므로 잘게 쪼개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81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54
6878 구조의 빌드업 update 김동렬 2024-06-15 448
6877 미래산업 정문술 명암 update 김동렬 2024-06-15 640
6876 세계관 김동렬 2024-06-08 665
6875 원론 김동렬 2024-06-09 731
6874 무한사고 김동렬 2024-06-10 733
6873 정情과 한恨 그리고 정한情恨 2 김동렬 2024-06-13 743
6872 지식의 원점 김동렬 2024-05-20 750
6871 호암미술관 백제의 유혹 관음상 image 4 김동렬 2024-06-13 783
6870 신라금관의 비밀 2 image 3 김동렬 2024-06-13 827
6869 세계상 김동렬 2024-06-07 859
6868 자아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4-06-12 883
6867 신라 마립간은 무엇인가? 2 김동렬 2024-05-14 914
6866 코기토 논증 1 김동렬 2024-06-04 965
6865 지도로갈문왕 수수께끼 image 김동렬 2024-05-20 994
6864 인간의 입장 김동렬 2024-05-26 1023
6863 생각인간 김동렬 2024-04-13 1024
6862 프레임을 극복하라 김동렬 2024-05-10 1028
6861 프레임 정치의 야만성 김동렬 2024-05-30 1030
6860 인류의 차원 도약 김동렬 2024-05-03 1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