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507 vote 0 2024.03.24 (21:05:14)

    어떤 중국인이 한국 학자들에게 물었다. "한국인들은 왜 연閼을 알로 읽는가? 연을 알로 읽는 것은 흉노의 무리인데 한국이 혹시 흉노와 관계가 있는가?" 한자사전을 검색해 보니 가로막을 알, 흉노 왕비 연으로 나온다. 엥? 흉노왕비는 또 뭐야?


    박혁거세의 다른 이름이 알지다. 이름이 박알지라고? 삼국유사 '기이' 편에 의하면 박혁거세는 스스로를 '알지 거서간'閼智居西干이라고 했다고 한다. 그런데 박혁거세 부인 이름이 알영이다. 박혁거세 부인은 또 왜 이름을 흉노왕비라 했을까? 


    알지가 두 명이다. 신라에는 박알지와 김알지가 등장한다. 검색해 봤다. 알타이산은 튀르크어로 황금산이다. 몽골인들은 황금을 알틴이라고도 한다. 몽골의 유명한 황금씨족은 왕족을 의미한다. 징기스칸의 성이 김씨라는건 아니라는 말이다. 


    왕족을 금족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금의 옛날 중국발음은 김이고 금은 없다. 인명과 지명에 많은 김과 구분하기 위해서 후대에 발음을 바꾼 것이다. 김천 상주 지역은 옛날 가야에 속했을 때 감문국 혹은 기문국이었는데 김국이라고 봐야 한다. 


    신라가 김씨일 뿐 아니라 가야도 김씨, 기문국도 김씨다. 신라 금석문에는 김씨가 흉노의 후손으로 되어 있다. 박혁거세 이름에도 흉노어가 들어가 있고 박혁거세 부인 이름에도 흉노말이 들어 있다면 빼박이 아닌가? 김알지라는 이름은 없다.


    김알지는 그냥 김을 중국말과 흉노말로 두 번 반복한 것이고 역전앞이다. 의미는 왕이라는 뜻이다. 김알지라는 사람은 신라에 존재한 적이 없는 것이다. 박혁거세가 스스로 알지거서간이라고 선언했듯이 알지, 알타이는 흉노말로 왕이라는 뜻이다.  


    중국인들은 흉노의 단우를 선우라고 부르는 등 의도적으로 왜곡을 했다. 알지가 연지가 된 이유다. 이 정도면 아무리 역사학자들 대가리가 썩었다고 해도 신라와 가야의 김씨가 흉노계 이주민이라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박씨도 흉노일 수 있다.


    금나라가 국명을 금이라고 한 것도 같다. 금이 왕이기 때문에 금이라고 한 것이다. 몽골이 왕족을 금이라고 부르는 이유와 같다. 흉노라는 이름이 불쾌하지만 이는 중국인들이 정신승리를 위해 나쁜 글자를 붙인 것이다. 알지를 연지로 바꾸듯이.


MNycwwdcw.jpg


   스키타이는 흉노의 일파로 봐야 한다. 신라인과 스키타이인은 유전자가 같다. 석씨는 성씨부터 스키타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87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719
132 공자 김동렬 2024-04-23 1573
131 삼체의 진실 1 김동렬 2024-05-28 1568
130 소크라테스 김동렬 2024-02-22 1568
129 클린스만 잘한다 김동렬 2023-11-23 1568
128 인간의 고통 김동렬 2023-11-28 1563
127 마동석의 성공 방정식 김동렬 2024-05-05 1561
126 직관적 사고 김동렬 2024-03-06 1560
125 대란대치 윤석열 1 김동렬 2024-05-16 1550
124 메타영역 김동렬 2024-04-12 1546
123 공자 외에 사람이 없다 김동렬 2024-04-27 1539
122 여론조사는 정확하다 김동렬 2024-04-04 1538
121 타이즈맨의 변태행동 김동렬 2024-02-20 1536
120 신의 권력 김동렬 2023-11-29 1535
119 제갈량이 유비를 따라간 이유 김동렬 2024-04-22 1532
118 강형욱과 집단 정신병 김동렬 2024-05-23 1519
117 에너지 차원 김동렬 2024-02-09 1519
116 도처에 맞다이 김동렬 2024-06-04 1518
115 에너지 조립 김동렬 2024-02-08 1517
114 신의 직관 김동렬 2024-03-23 1515
113 말 한마디로 판세가 바뀐다고? 1 김동렬 2024-03-25 1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