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462 vote 0 2020.12.16 (19:06:53)

      닫힌계 코어 대칭 방향 위치


    구조는 얽힘이다. 얽힘의 형태는 닫힌계와 코어와 대칭과 방향과 위치다. 사건의 주체는 에너지다. 에너지가 닫힌계를 만들면서 사건은 시작된다. 닫힌계가 무너지면서 코어를 얻고, 코어를 잃으면서 대칭을 얻고, 대칭을 잃으면서, 방향을 얻고, 방향을 잃으면서 위치를 얻는다.


    위치마저 잃으면 사건은 종결된다. 질은 결합하고, 입자는 독립하고, 힘은 교섭하고, 운동은 변화하고, 량은 침투한다. 반대로 질은 결합할 닫힌계를 만들고, 입자는 독립할 코어를 만들고, 힘은 교섭할 대칭을 만들고, 운동은 변화할 방향을 만들고, 량은 침투할 위치를 만든다.


    4차원 질은 닫힌계의 결합이다. – 계의 안과 밖이 있다.
    3차원 입자는 코어의 독립이다. – 체의 중심과 주변이 있다.
    2차원 힘은 대칭의 교섭이다. – 각의 좌와 우가 있다.
    1차원 운동은 방향의 변화다. – 선의 앞과 뒤가 있다.
    0차원 점은 위치의 침투다. – 점의 위치가 있다.


    정확히는 그것을 결정하는 것이다. 에너지는 작용한다. 작용하면 움직인다. 움직이면 균일해진다. 균일하면 접점을 공유한다. 균일하게 접점을 공유하는 형태는 사면체다. 모든 지점이 다른 모든 지점과 접점을 공유하는 형태다. 식구들은 누구를 통하지 않고 만날 수 있다.


    누군가를 통해야만 특정인을 만날 수 있다면 그것은 접점을 공유하지 않은 것이다. 자연에서 그러한 형태는 사면체다. 거기에 에너지가 작용하면 사차원이다. 에너지가 작용하면 움직이고 움직이면 닫힌다. 안과 밖의 구분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원래는 안도 밖도 사건도 없다.


    원자는 쪼개지지 않는 것이다. 사실은 쪼개면 안 되는 것이다. 올림픽 경기다. 활을 쏘는데 관객이 방해하면? 축구시합에 관중이 난입하면? 권투경기에 타이슨이 난입하면? 그러면 안 된다. 시합은 불성립이다. 바둑을 두는데 누가 바둑판을 발로 차버리면? 그 바둑은 무효다.


    사건을 쪼갤 수 있지만 쪼개면 안 된다. 외부에서 개입하면 안 된다. 닫아걸어야 한다. 컨닝을 하면 안 된다. 학부모가 창문에 매달려서 답을 알려주면 안 된다. 인도에서는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다. 반칙을 하면 우리는 거기서 질서를 찾아낼 수 없다. 외부 개입은 차단되어야 한다.


    자체의 원리에 의해서 돌아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출발선에 나란히 서야 한다. 질의 균일이 담보되어야 한다. 그런 상황이 4차원이다. 사건을 구성하는 모든 자원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변화는 구성원들 모두에게 즉각 전달된다. 그런 상태만 콕 찝어서 4차원이라 한다.


    4차원은 사면체이므로 가운데 코어가 만들어진다. 실제 변화가 시작되면 코어가 전체를 장악하고 끌고간다. 입자다. 이때부터 계 내부는 불균일해진다. 계는 대칭을 이루고 코어가 대칭된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한다. 힘이다. 머리와 꼬리가 나눠지면 운동이다. 멈추면 량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89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856
5115 노랑제비꽃 한 송이를 피우기 위해 김동렬 2007-07-05 12486
5114 하품을 하는 이유? 김동렬 2007-07-10 14572
5113 이명박의 지지율이 꺾이는 시점은? 김동렬 2007-07-10 11530
5112 아 전여옥 김동렬 2007-07-11 12772
5111 한국의 교육 무엇이 문제인가?(수정) 김동렬 2007-07-12 9406
5110 긴장과 밸런스 그리고 릴렉스 김동렬 2007-07-13 12726
5109 긴장타자 긴장타! 김동렬 2007-07-15 10974
5108 자연의 완전성과 교감하기 김동렬 2007-07-17 11306
5107 객관에서 주관 그리고 직관 김동렬 2007-07-18 12955
5106 인질사태를 보는 바른 눈 김동렬 2007-07-23 11438
5105 [단상] 목사와 탈레반 image 김동렬 2007-07-26 17392
5104 예술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07-27 11181
5103 직관의 의미 김동렬 2007-07-30 12662
5102 구조론 간단하게 김동렬 2007-07-30 12162
5101 누가 광주의 진정한 주인공인가? 1 김동렬 2007-07-31 10755
5100 심형래와 스필버그 김동렬 2007-08-02 11343
5099 디워 봤다.. 이송희일 때문에 김동렬 2007-08-05 10900
5098 디워, 충무로를 타격하라 김동렬 2007-08-08 14280
5097 현대성 - 핵심요약 김동렬 2007-08-12 15336
5096 최수종과 주영훈보다 나쁜 것 김동렬 2007-08-22 16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