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79 vote 0 2024.06.08 (19:18:40)

    세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구조로 봐야 한다. 구조는 둘의 만남이다. 우리는 신체의 감각을 단서를 삼아 구조에 맞는 짝을 찾아서 사건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지식을 획득한다. 구조는 공유된다. 엄마와 아기가 자궁을 공유하므로 아기는 엄마를 찾을 수 있다.


    구조는 둘이 맞물려서 접점을 공유한다. 공유가 지식의 궁극적인 근거다. 인간이 모르는 것은 에너지의 공유다. 활과 화살은 에너지를 공유한다. 기관차와 객차는 동력원을 공유한다. 공유를 매개로 삼아 에너지 전달경로를 추적하고 지식을 획득할 수 있다.


    지식은 구조다. 안다는 것은 구조를 안다는 것이다. 모른다는 것은 구조를 모른다는 것이다. 구조가 공유를 통해 뻗어가고 망라하는 방법을 모른다. 서로가 공유하는 매개를 모르고, 차원을 모르고, 층위를 모르고, 시스템을 모른다. 인간은 아무것도 모른다.


    ###


    세상은 구조다. 구조는 공유한다. 공유하는 것은 에너지다. 에너지는 주는 자와 받는 자가 있다. 주는 자에게는 받는 자에게 없는 것이 있다. 하나가 더 있다. 그것은 매개다. 매개는 붙잡는다. 총은 총알을 붙잡는다. 그것은 층위다. 활과 화살은 같은 층위에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없다. 그것은 차원이다. 같은 차원에서는 에너지의 진행방향을 바꿀 수 없으므로 의사결정이 일어나지 않는다.


    주는 자는 권력이 있다. 의사결정할 수 있다. 받는 자는 권력이 없다. 의사결정할 수 없다. 주는 자를 주목해야 한다. 주는 자가 결정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받는 자를 주목하는 실패를 저지른다. 주는 것은 에너지다. 에너지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주는 것은 권력이다. 권력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보이지 않으므로 보려고 하지 않는다. 보려고 하지 않으므로 보지 못한다. 보는 방법이 틀렸다.


    총은 주고 총알은 받으며 함께 에너지를 전달한다. 인간은 숨어서 쏘는 총은 보지 못하고 과녁에 박힌 총알에 집착한다. 세상은 총알의 집합이 아니라 총의 무한복제다. 인간은 눈에 보이는 것에 홀려서 피해자의 상처에 집착하다가 가해자의 흉기를 놓치는 실패를 저지른다. 세계관을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 총알에 집착하는 태도는 원자론의 관점이다. 원형론의 관점으로 갈아타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43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5722
6880 세상이 불공평한 이유 new 김동렬 2024-06-18 387
6879 존재와 무 update 김동렬 2024-06-17 502
6878 구조의 빌드업 김동렬 2024-06-15 761
6877 미래산업 정문술 명암 김동렬 2024-06-15 917
6876 신라금관의 비밀 2 image 3 김동렬 2024-06-13 926
6875 정情과 한恨 그리고 정한情恨 2 김동렬 2024-06-13 824
6874 호암미술관 백제의 유혹 관음상 image 4 김동렬 2024-06-13 873
6873 자아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4-06-12 948
6872 바보들과 논쟁하지마라 김동렬 2024-06-11 1354
6871 미쳐 돌아가는 한국 image 2 김동렬 2024-06-10 1778
6870 무한사고 김동렬 2024-06-10 764
6869 원론 update 김동렬 2024-06-09 746
» 세계관 김동렬 2024-06-08 679
6867 세계상 김동렬 2024-06-07 872
6866 원형이정 김동렬 2024-06-05 1235
6865 동작을 이수진의 배신 12 김동렬 2024-06-05 1773
6864 도처에 맞다이 김동렬 2024-06-04 1299
6863 믿음 아니면 죽음 김동렬 2024-06-04 1094
6862 코기토 논증 1 김동렬 2024-06-04 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