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680 vote 0 2012.01.04 (22:48:02)

20111229051208386550460.jpg



왜 두더지는 눈이 퇴화했을까?

왜 동굴생물은 눈이 퇴화했을까?


*** 라마르크설 - 눈을 사용하지 않아서 퇴화했다.

*** 돌연변이설 - 우연히 눈 나쁜 넘이 살아남았다.


*** 구조론의 상호작용설 - 원래 유전체계 안에 빛이 있거나 없는 환경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갖추어져 있었다.


이러한 상호작용설의 의미는? 


대부분의 생물이 지능이 낮은 것은 애초에 지능이 낮도록 세팅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즉 뇌가 쓸데없이 더 많은 자원을 가져가지 않도록 보수적인 디폴트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것이다. 한정된 자원을 뇌가 다 가져가 버리면 다른 부분은 손해잖아. 


어차피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동굴 속에서 빛도 없는데 눈이 자원을 상당히 가져가 버리면 나머지 부분에는 돌아갈 몫이 없으므로 두더지나 동굴생물은 눈이 퇴화되도록 세팅되어 있었던 것이다. 즉 두더쥐가 땅을 파는 성질과 눈의 퇴화는 세트로 결정된 것이다. 이때 외부환경과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쪽이 많은 자원을 가져간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4]삐따기

2012.01.05 (09:27:18)

퇴화란 말은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퇴화가 곧 진화니까요. 퇴화랑 진화는 같은 말.

 

두더지는 눈이 나쁘다? 누구보다? 언제보다?

 

대부분의 생물이 지능이 낮은 것은 애초에 지능이 낮도록 세팅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모든 생물이 하나의 세팅으로 되어있다는 것인지요, 아니면 모두 다른 세팅이 되어있단 말씀인지 궁금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253
419 이원론은 인식론의 폐해이다. 2 현강 2020-09-01 1689
418 이번 주 구조론 모임은 취소 되었습니다. image 오리 2020-09-02 1516
417 관측자의 차원 복습 현강 2020-09-03 1546
416 F=ma 현강 2020-09-05 1673
415 구조론 목요모임(필수인력) 1 오리 2020-09-08 1609
414 like의 의미 1 이금재. 2020-09-09 2190
413 서울역 목요 모임(마스크 필수) image 오리 2020-09-16 1528
412 개훈련의 원리 1 이금재. 2020-09-18 1889
411 백과사전의 역할과 의미, 미래의 백과사전 3 mowl 2020-09-20 1702
410 서울역 목요 모임(마스크 필수) image 오리 2020-09-23 1450
409 설계가 가장 어렵다. 회사원 2020-09-28 1726
408 서울역 모임 7시로 당깁니다.( 마스크필수) image 오리 2020-09-30 1731
407 손흥민이 잘하는 이유 image 4 이금재. 2020-10-05 2715
406 서울역 목요 모임(마스크 필수) image 오리 2020-10-07 1448
405 정체된 마을에.. 양지훈 2020-10-12 1676
404 말 안 듣는 시바견 길들이기 이금재. 2020-10-14 2337
403 통일되고 모병제 1 펄잼 2020-10-18 1764
402 안암동 목요모임- 장소변경 내용 확인 image 3 오리 2020-10-21 1777
401 유클리드-리만-아인슈타인의 기하학 이금재. 2020-10-21 1858
400 거버넌스 전쟁 ahmoo 2020-10-22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