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488 vote 0 2024.02.08 (17:35:41)

    우주 안에 오로지 연결과 단절이 있을 뿐이다. 묶임과 풀림이 있을 뿐이다. 안과 밖이 있을 뿐이다. 그 사이의 방향전환이 있을 뿐이다.


    그 외에 아무것도 없다. 여기가 정상이다. 여기서 모두 만나야 한다. 여기서 전율해야 한다. 비로소 우리는 직관에 확신을 가질 수 있다.


    ###


    우리는 자유를 원하지만 막상 구속에서 풀려나면 할 수 있는 것이 그다지 없다. 묶였다가 풀려날 때는 자신을 묶고 있던 끈을 버리지 말아야 한다. 그것을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


    갇혀 있어야 풀릴 수 있다. 부모의 곁을 떠나 자유를 얻지만 결혼이라는 또 다른 굴레에 묶인다. 직장이라는 또 다른 굴레에 묶인다. 완전한 자유는 없고 부단한 전진이 있을 뿐이다.


    차원은 묶인 것이며 풀어주는 것이 에너지다. 4차원에서 풀린 것은 3차원에 묶이고, 3차원에서 풀린 것은 2차원에 묶이고, 2차원에서 풀린 것은 1차원에 묶인다. 0차원으로 끝난다.


    역사와 인류와 진보와 자연과 문명이라는 끈으로 자신을 묶어야 한다. 묶지 않으면 풀 수 없다. 부단히 풀어가는 것이 인생이다. 단 풀더라도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풀어야 한다.


    묶는 방향과 푸는 방향은 정해져 있다. 우주는 질서가 있다. 묶어야 풀린다. 묶인 것이 풀린 것을 이긴다. 이기려 하면 풀지 못하고 풀려고 하면 내가 원하는 위치에 풀리지 않는다.


    ###


    구조는 다섯이 있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이다. 차원은 다섯이 있다. 4차원에서 0차원까지 있다. 둘은 같다. 에너지 메커니즘의 부속품이다. 에너지가 조립되면 질이다. 입자, 힘, 운동, 량으로 분해되어 쓸 수 없는 에너지가 된다.


    우리는 공간의 차원을 알지만 에너지의 차원을 모르므로 차원개념을 보편적으로 써먹지 못한다. 에너지가 조립된 내막을 모르므로 엔트로피 개념을 현실에 접목시키지 못한다. 차원은 안이다. 안을 보면 흥하고 밖을 보면 망한다.


    사차원 - 잡혀서 끌려가고 있다.
    삼차원 - 안에 갇혀 있다.
    이차원 - 문이 열려 있다.
    일차원 - 밖으로 나가고 있다.
    영차원 - 밖에 나가 있다.


    질 - 주최 측은 흥행의 압박을 받는다.
    입자 - 리더는 책임이 따른다.
    힘 - 하려면 할 수 있다.
    운동 - 지금 하고 있다.
    량 - 끝났다.


    계는 두 체의 안이다.
    체는 계의 바깥이며 두 각의 안이다.
    각은 체의 바깥이며 두 선의 안이다.
    선은 각의 바깥이며 두 점의 안이다.
    점은 선의 바깥이다.


    존재는 안의, 안의, 안의, 안이며 밖의, 밖의, 밖의, 밖이다. 에너지는 집적되어 메커니즘을 이루고 언제나 안에서 밖으로 풀린다. 높은 층위에서 낮은 층위로 간다. 세상 모든 변화는 묶인 것을 푸는 것이다. 우리는 직관할 수 있다.


    ###


    줄다리기를 한다. 줄로 이어지면 사차원 계다. 줄을 끊으면 삼차원 체다. 줄을 놓으면 이차원 각이다. 흩어지면 일차원 선이다. 계를 이탈하면 영차원 점이다.


    줄에는 압력이 걸려 있다. 사차원 계는 압력이 걸려서 붙잡힌 것이다. 줄을 끊고 압력이 사라지면 삼차원 체다. 압력이 풀렸지만 여전히 나란함에 갇혀 있다.


    줄을 놓으면 이차원 각이다. 각은 탈출할 수 있지만 아직 탈출하지는 않았다. 문이 열렸지만 아직 밖으로 나가지는 않았다. 밖으로 나가면 일차원 선이 된다.


    선은 아직 탈출하는 중이고 탈출에 성공하면 영차원 점이다. 차원은 계에 붙잡힌 것이 풀려나는 변화의 절차다. 차원은 어느 분야든 적용되는 보편원리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다 차원의 문제다. 붙잡지 않고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계속 붙잡고 있으면 안 된다. 부부는 서로를 붙들고 있다. 언젠가는 놓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78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474
6710 누가 그이들을 울게 하는가? image 김동렬 2003-08-28 18493
6709 곤충채집 겨울방학 숙제 유비송신 2002-12-04 18485
6708 예술의 본질 김동렬 2008-08-14 18455
6707 군포 개혁당에 부쳐 image 김동렬 2003-04-29 18441
6706 노무현은 무서운 사람이다 image 김동렬 2004-02-18 18438
6705 Re..태풍이 가고 난 후 image 김동렬 2002-09-14 18436
6704 광화문 1만 인파의 외침이 조중동의 귀에도 들렸을까? 김동렬 2002-12-01 18369
6703 이 사진을 보면 결과를 알 수 있음 image 김동렬 2002-12-19 18363
6702 구조의 만남 image 김동렬 2010-07-12 18344
6701 서프라이즈 출판기념회 사진 image 김동렬 2003-01-20 18334
6700 노무현 잘하고 있는데 왜들 그러는지 모르겠다. 김동렬 2002-09-12 18333
6699 박근혜의 마지막 댄스 image 김동렬 2004-03-31 18327
6698 학문의 역사 -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김동렬 2006-02-03 18307
6697 구조의 포지션 찾기 image 3 김동렬 2011-06-08 18298
6696 걸프전 문답 김동렬 2003-03-19 18273
6695 노무현은 부패를 척결할 수 없다? 1 김동렬 2002-09-11 18272
6694 진선미에 대해서 2 김동렬 2010-08-05 18248
6693 우리들의 대한민국이 어쩌다 이모양입니까? 김동렬 2007-09-10 18245
6692 이회창이 TV토론에서 헤메는 이유 skynomad 2002-11-08 18245
6691 노무현 죽어야 산다 image 김동렬 2003-08-28 18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