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오민규
read 1580 vote 0 2020.06.26 (09:49:32)

학문은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응용과학, 형식과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학문 간에 말이 통하지 않는다. 철학이 다르기 때문이다. 인문학은 만남을 추구하고 사회과학은 지속가능성, 균형 따위를 추구한다. 자연과학은 최선, 최단루트, 최대이익 등을 추구한다. 응용과학은 실용을 추구한다. 형식과학은 언어의 명확함을 추구한다. 실용주의인 응용과학이 순수과학 형식과학에 앞서면 안된다고 할 수 있지만 필자는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주목한다.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구조론에서 가져오고 체계화시켜야 한다고 본다. 인문학이 가장 층위가 높고 형식과학이 가장 층위가 낮다. 언어를 트리 형식으로 정리한다면 인문학의 용어가 가장 큰 분류를 차지할 것이고 형식과학의 언어가 가장 말단을 차지할 것이다. 형식과학이라고 말했지만 사실상 컴퓨터과학을 뜻한다. 기존의 형식과학인 수학, 통계학 등은 이제 자연과학이나 응용과학에 넣어야 할지도 모르겠다. 수학의 '형식적인 부분'은 컴퓨터과학에 거의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세세한 분류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언어의 통합이다. 언어가 통합되려면 어휘가 삭제되어야 한다. 그 과정을 어떻게 합의할 것인가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20.06.26 (10:37:42)

이 글의 주장을 하시게 된 동기는 무엇인지 알고 싶군요.. 그래야 이 글의 문맥이 이해 될 듯.
[레벨:15]오민규

2020.06.26 (11:12:36)

언어의 통합이 가능하다는 믿음이 근본적인 동기라고 할 수 있죠. 구체적으로는 그게 가능할 만큼 학문이 충분히 발전했다는 것이죠.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6.26 (14:53:50)

내용 중에 언어라고 하신 것이 언어 체계 전체를 의미하는지요?

아니면 일단 용어나 단어 수준을 의미하는 것인지요? 내용 중에 어휘라고 쓰신 것 같은데요...

원대한 포부가 느껴집니다...

[레벨:15]오민규

2020.06.26 (19:50:57)

언어 체계 전체라고 하면은 세계적인 합의체가 건설되기 전까진 일단 논외라고 할 수 있겠네요. 합의한다 해도 그걸 사람들에게 강제할 수단도 없고...이 글과는 다른 차원의 얘기인듯 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808
2177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6-19 282
2176 저출산의 원인을 알아보자 update 5 신웅 2024-06-28 313
2175 다르마가 어려운 이유는 뭘까요? 3 신웅 2024-06-26 329
2174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6-06 395
2173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5-23 429
2172 세계일주 시작 되었개 강원닮아 2024-06-06 465
2171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4-25 480
217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5-08 499
2169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오리 2024-03-27 538
2168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1 오리 2024-04-10 541
2167 좋은 일과 나쁜 일 이상우 2024-05-23 554
2166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3-13 562
2165 AI 엑스포 초대 image 2 chow 2024-06-13 567
2164 상호작용을 늘리는 교사가 되자 이상우 2024-05-24 572
2163 상부구조와 동원력 SimplyRed 2024-04-02 589
2162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2-28 606
2161 시민의회 소식 수원나그네 2024-05-03 606
2160 나는 오늘도 교사를 한다(문제행동 학생 이야기) 이상우 2024-04-04 650
2159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3 오리 2024-02-14 668
2158 [사진포함] 함께 걸을까요! 조선일보처벌시민걷기대회 image 수원나그네 2024-03-11 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