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091 vote 0 2020.05.05 (18:55:49)


    관계 중심의 세계관


    구조론은 관계 중심의 세계관을 제공한다. 우리는 관측되는 정보를 통해 세상을 인식한다. 정보는 자연의 변화를 반영한다. 변화는 관계의 변화다. 그 외에 아무것도 없다. 우리는 막연히 물질의 고유한 속성에서 답을 찾으려 하지만 이는 경험에 근거한 비과학적인 접근이다.


    고유한 속성이란 것은 없다. 그것은 막연한 표현이며 얼버무리는 말이다. 모든 정보는 변화에 대한 정보이며 모든 변화는 관계의 변화다. 관계와 그 변화야말로 존재의 알파요 오메가다. 관계는 어떤 둘이 만나는 방식이다. 존재는 어떻게 만나는지에 따라서 성질을 획득한다.


    구조론은 어떤 대상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둘의 사이의 관계를 바라본다는 점이 각별하다. 둘이 만나는 방식에 정보가 있다. 관계의 종류는 다섯이다. 다섯 가지의 서로 다른 만남의 방식이 있다. 더 이상의 관계는 없다. 만나려면 움직여야 하고 움직이면 단절되기 때문이다.


    이쪽을 연결하면 저쪽이 끊어진다. 풍선효과와 같다. 이쪽을 누르면 저쪽이 나온다. 엔트로피의 법칙에 따라 사건 안에서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는 만남의 형태에는 제한이 걸린다. 부자관계와 부부관계는 동시에 성립할 수 있다. 누군가의 남편이면서 동시에 누구의 아빠가 된다.


    그러나 동시에 두 여자의 남편이 되거나 두 엄마의 자식이 될 수는 없다. 이 사람의 자식이면 저 사람의 자식이 아니다. 어떤 하나가 동시에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형태는 최대 다섯이다. 여섯이 되는 순간 하나가 떨어져 나간다. 에너지는 움직이고 움직임에 의해서 연결된다.


    연결되면 관계를 맺는다. 그러나 동시에 하나가 떨어져 나간다. 결혼하면 친구와 멀어진다. 연결과 단절에서 사건의 안과 밖이 결정된다. 안으로는 연결되며 외부와는 끊어진다. 연결은 내부적으로만 일어난다는 것이 엔트로피의 법칙이다. 안과 밖을 가르는 기준이 곧 사건이다.


    내부적으로 동시에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성질과 외적으로 동시에 관계를 맺을 수 없는 성질에 의하여 관계는 다섯뿐이다. 그것이 질, 입자, 힘, 운동, 량이다. 수학적으로는 체, 계, 각, 선, 점이다. 관계는 연결되고 끊어지며 의사결정의 단위를 만든다. 그것은 곧 사건의 단위다.


    사건 안에서 관계는 통제된다. 그것이 구조다. 에너지가 작용하면 계가 성립되고 외부와 끊어지며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사건의 단위를 구성한다. 이때 내부에서 그 내부의 내부로, 그리고 그 내부의 내부의 내부로 계속 연결되어 간다. 그러나 에너지로는 그 연결이 끊어져 있다.


    자동차가 움직이면 출발선에서 멀어진다. 연결이 끊어진 것이다. 그러나 엔진과 바퀴는 연결되어 있다.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에너지적으로는 끊어져 있다는 것이 엔트로피다. 이렇게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에너지적으로 끊어진 형태는 다섯 가지가 있다.


    그것이 계다. 계 안에서 사건의 진행은 체, 각, 선, 점으로 진행하며 이 방향으로 갈 때에 한해 에너지가 전달된다. 그 역방향으로 가면 에너지가 단절된다. 여기서 통제된다. 에너지가 공급되는 라인은 하나뿐이므로 경우의 수는 제한된다. 이에 만유의 질서가 작동하게 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5.06 (05:13:28)

"모든 정보는 변화에 대한 정보이며 모든 변화는 관계의 변화다."

http://gujoron.com/xe/1198708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43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394
4815 마음의 마음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7-02-10 13357
4814 구조론이 너무 쉬워 image 1 김동렬 2017-05-26 13357
4813 시오노 나나미의 새 남자친구 노무현! 김동렬 2004-03-04 13356
4812 바른생활 필요없다 image 7 김동렬 2012-02-06 13355
4811 도미네이터가 되라! image 김동렬 2003-11-07 13355
4810 부조리에 대해서 김동렬 2008-01-27 13352
4809 황까와 황빠의 수수께끼 김동렬 2006-01-20 13350
4808 영천에서 홍석현까지 김동렬 2005-04-21 13348
4807 강준만, 인터넷으로 와라 김동렬 2005-01-17 13347
4806 조갑제가 울고있네요 김동렬 2004-04-17 13347
4805 당신은 이미 패배해 있다. image 2 김동렬 2017-04-20 13344
4804 엔트로피의 비가역성 image 김동렬 2017-06-14 13341
4803 문제 - 적도 물 회오리 image 22 김동렬 2013-01-07 13339
4802 Re..없는 돈 다 잃고 나니 보이네요, 돈줄이.. Y 2002-10-07 13338
4801 조중동이 발악하고 있다. 김동렬 2004-04-09 13330
4800 강금실이 나와야 이야기가 된다 김동렬 2007-08-23 13328
4799 하지원의 기적 김동렬 2007-02-24 13327
4798 구조론을 쓰고 김동렬 2008-11-26 13325
4797 김근태 대통령은 없다 김동렬 2003-05-17 13324
4796 아름다운 한국의 철새 (펌) 김동렬 2002-10-22 13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