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중국 한나라 (BC 206-AD 202)

https://namu.wiki/w/한나라

수도의 이동을 보라. 장안-낙양-장안-허도

https://goo.gl/maps/LnG3qaadUJdMq4RS7

지금의 북경은, 중국의 북방유목민족이 한족에게 선물한 수도이고, 오히려, 실크로드의 동쪽 기착지 간수성과 가까운 황하의 꺽어지는 지점 회수에서 중국문명은 기원전2-3세기에 한나라라는 제국으로 탄생했다.



      평양의 낙랑성 한사군 (BC108-AD404)

       한반도가,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시대가 생기기 이전, 중국 한나라 (무제)의 영향으로 한사군이 형성되었다. 한반도의 역사           시대 시작.


여기서 잠깐, 중국역사 개관

https://ko.wikipedia.org/wiki/중국의_역사

막연하게 진시황에서 시작하는게 아니라, 통합왕조는 한무제로 시작하고, 그게, 수-당이라는 서역교역의 복고 왕조 (진니라는 메소포타미아지역에서 기술 전수로 인한 왕조)가 나타나고, 송나라로 들어서면서 문약해지고, 원나라 (12-14세기)라는 세계 정복왕조 등장과 함께 북방민족의 출현과, 북경중심의 중국역사가 나타나고, 경제는 양쯔강유역의 강남, 정치는 북경-텐진이라는 공식이 생긴거고, 잠시 명나라 한족으로 가다가, 여진족의 산해관 침탈로, 청조로 18-19세기의 중국역사가 정리됨.


수-당 (606-907)

서역과의 교역이 절정에 이르던 시기, 공교롭게도 이시기 아랍은 그리스-로마의 고전이 서로마제국 (콘스난티노플)을 통해 쏟아져 들어옴. 압바스 시대 전기. 물론 압바스 후기는 몽골의 12-13세기 침탈로 개폭망. 이슬람교가 퇴행종교가 되는 단초. 서유럽은 그리스-로마라는 지갑 획득 (그걸 르네상스라고 부름)

https://m.blog.naver.com/am05_15/220495970708


원 (1271-1368)

중국역사에서도 원나라 시기는 정복왕조의 끝판왕으로 보고있다. 대도 (북경)이 중국 정치의 중심이 된 시기이기도 하고, 대궐에서 안자고, 천막에서 잠을 자던 몽골의 칸들.

https://namu.wiki/w/원나라

유목민의 루트를 통해 서역 (아랍과 서유럽의 일부)을 정복한 원나라는, 한반도와 일본에 대한 정복에 들어간다. 특히 이시기 고려와의 관계가 특이.


    고려 (918-1392)

    https://namu.wiki/w/고려

    고려의 초반부는 당나라 말기-송나라와 연결되어있고, 고려 말기는 원나라와 밀접하다. 여기서, 고려 공주  이야기는 그만하

    자. 환빠가 싫어서라기보다는 역사를 객관적으로 못보게 한다.


명나라 주원장 (1328-98)

https://namu.wiki/w/홍무제

조선의 건국주체였던 이씨왕조와도 맥을 같이 한다. 조선이 사대라는 오명을 쓰면서도 명나라와 노선을 같이한 이유이기도 하다.


청나라 - 여기서부터는 다음에 업데이트.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8002
217 거짓과 진실의 작동원리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4-21 9147
216 진실이 밝혀지는 원리를 묻습니다. 9 양을 쫓는 모험 2010-04-18 5598
215 상담자들에게 고함. 3 오세 2010-04-14 4712
214 전쟁의 기술. 3 오세 2010-04-13 4694
213 한국의 커뮤니티 눈내리는 마을 2010-04-04 6807
212 스타크래프트의 구조론적 해석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0-04-01 7137
211 사진 구조론 image 8 양을 쫓는 모험 2010-03-25 8893
210 스마스마에 출연한 고르바초프 image 양을 쫓는 모험 2010-03-23 7476
209 구조론연구소 홍보동영상 12 기준님하 2010-03-22 6601
208 존재의 이유 image 13 양을 쫓는 모험 2010-03-18 6752
207 토요일 구조론 토론모임에 초청합니다. image 2 김동렬 2010-03-18 5864
206 럭셔리 골드미스 청담녀 image 12 양을 쫓는 모험 2010-03-17 7867
205 돈과 시간의 방정식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3-12 9602
204 모순과 역설. 5 아제 2010-03-08 13581
203 나랏말이.. 1 아제 2010-03-06 4906
202 역시 보는 눈이 다르다- '자격증' 제도에 대한 칼 로저스의 언급을 중심으로 3 오세 2010-03-05 5575
201 툰서방의 구조론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3-02 5386
200 한국의 20대 초반 젊은이들에게 '구조론'이 말을 건다면. 눈내리는 마을 2010-02-22 7074
199 완전함에 의해서. LPET 2010-02-22 5422
198 꽃과 바위. 1 아제 2010-02-22 4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