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오민규
read 1318 vote 0 2020.06.27 (14:48:00)

다른 학문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는 블랙홀 학문이 있다. 철학이 예전에는 학문 그 자체를 나타내는 말이었지만 지금은 인문학의 귀퉁이로 축소되었듯이 말이다. 철학의 세부 분야였던 학문들이 철학을 잡아먹은 것이다. 그것이 학문의 발전 과정이다. 학문이 처음 만들어지고 발전 과정을 거치면서 다른 학문의 영역을 침범할 수 있다. 정확히는 '철학'을 침범한 것이다. 예를 들어 마르크스주의는 기존 경제학의 '자본의 영속성' 철학과 전혀 다른 것이다. 그것은 학자 개인의 삶의 철학과도 맞닿아있다. 그들은 삶의 방향 자체가 달라서 같은 학문에서 서로 절대 공존할 수 없는 존재다. 이런 상황에서 학문적 무리수가 난무하는 전쟁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 때 학문의 발전 속도가 가장 빠르다. 전쟁이 끝난 후 학문의 학파들은 서로 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흐물흐물해진다. 상대주의로 가는 것이다. 상대주의로 가면 언어를 합의할 수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대의 것을 수정할 수 없게 된다. 후대의 성과는 전대의 것과 호환되지 않으니 언어가 지리멸렬해진다. 학문의 유입이 끊기고 발전은 지체된다. 학문의 엔진이 꺼지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만의 리그가 된다.


그러므로 학문은 싱싱할 때 취해야 한다. 철학이 뒤섞여 있지 않고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들의 성향이 균일해야 한다. 그것은 학문의 어떤 세부분야이고 뜨는 분야다. 뒤섞이기 직전에 있는 분야다. 그곳의 언어를 가져와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20.06.27 (16:04:31)

글쓰기는 그 얘기를 읽은 사람이 다른 사람에 전파하는 흐름이 이루어지는 것까지는 가야 하오.

그게 어려우면 이 사람이 무슨 생각으로 이런 얘기를 썼는가에 대한 개념까지는 이해할 수 있어야 하지요..

그렇지 않으면 눈만 어지럽힐뿐..

[레벨:15]오민규

2020.06.28 (08:26:18)

제가 설명이 부족했네요. 언어의 통합에 대해서 생각하다가 쓴 글입니다. 어떤 학문의 언어가 신뢰할 수 있는지 알아내야 했죠. 그런 관점에서 쓴 글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321
2095 [re] 전기로 물을 염색해보려고 해요... 1 김동렬 2006-05-17 9275
2094 류시화가 가짜인 이유 image 13 김동렬 2013-12-09 9237
2093 강하다는 것은 무엇일까? image 7 양을 쫓는 모험 2010-05-11 9219
2092 한 해가 저문다, 음악이나 듣자 image 11 ahmoo 2011-12-21 9214
2091 거짓과 진실의 작동원리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4-21 9114
2090 가족 혹은 우리의 결혼제도에 대한 의견... 1 강도 2006-01-17 9110
2089 괴목 테이블은 곤란 image 12 김동렬 2015-08-04 9106
2088 조선의 젖가슴 image 4 김동렬 2015-01-12 9102
2087 화투의 밸런스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9-27 9072
2086 동렬님께... 3 kkh 2006-01-24 9058
2085 욕망을 혁명하기 6 강도 2006-06-05 9039
2084 부(富)의 비교 -구조론적 관점- 5 오세 2010-09-10 9024
2083 올해 북극 빙하는 줄었나 늘었나? image 김동렬 2014-10-20 8992
2082 세종대왕은 골프를 쳤을까? image 10 김동렬 2011-12-06 8884
2081 사진 구조론 image 8 양을 쫓는 모험 2010-03-25 8870
2080 질문있습니다 ^^ 강도 2006-05-06 8848
2079 먼 미래에 백인이 멸종할수도 있지 않을까요?? image 5 가혹한너 2009-01-31 8842
2078 [re] 질문있습니다 ^^ 2 김동렬 2006-05-06 8787
2077 아해 오감도 이상 image 1 김동렬 2014-04-28 8786
2076 조직 원리 image 4 눈내리는 마을 2010-08-04 8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