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read 2208 vote 0 2021.01.29 (12:09:07)

세상은 더 나아질 거란 확신을 가졌다. 그리고 세상은 분명 더 진보하고 더 나아지고 있다. 아동학대 문제가 매일 뉴스에 오르고, 여성에 대한 성희롱 문제가 나오는 게 그 증거다. 우리사회가 지금 아동인권과 여성인권에 관심이 지대하다는 의미다. 불만족스러운 부분이 있지만 분명 나아지는 모습이 보인다. 별로 안달라진 것 같은데 지나고 나면 많이 달라져있다.
진짜 문제는 과도기다. 과도기에는 아무래도 사람들의 인식 수준도 제각각이고, 문제를 다루는 업무 담당자도 미숙할 수 밖에 없다. 아동인권이나 여성인권이나 침해되어도 증거를 확보하기 어렵기도 하고, 아동인권이나 여성인권으로 다룰 문제가 아님에도 초점을 잘못맞춰서 가해자로 의심받고 누명을 쓰는 일이 생긴다.
피해자 또한 2차 가해로 괴로움을 당한다. 차라리 이슈화를 시키지 않았다면 더 큰 고통을 당하지 않을 수 있었을 것이다. 긁어 부스럼이란 말이 실감이 난다. 그러나 이 분들의 용기가 없으면 미래의 진보는 우리에게 오지 않고, 더 많은 피해자가 양산될 것이 분명하다. 과도기의 한계이자 모순이다.
역사는 늘 이렇게 한 걸음 한 걸음 우직하게 꿈이 현실이 되는 것을 그 당시는 모르다가 지나고 나서야 비로소 진보했음을 깨닫는다. 중요한 것은 진보 그 자체가 누군가 혼자 이룬 전유물도 아니고, 몇 번 해봤다고 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는 것이다. 이것을 깨닫고 지금 현시점의 시대정신과 그것이 현실화되는 과정의 전모를 보는 안목을 깨닫고 한걸음 한걸음 같이 가는게 중요하다. 말모이처럼 열사람의 한 걸음이 한 사람의 열걸음보다 낫지만, 그 시작은 한 사람이 몇 걸음 먼저 가면서 시작된다. 뒤늦게 몇 사람이 함께 하지만 어려움 겪기는 마찬가지다.
그래도 이렇게 진보의 세력이 점점 확장된다. 지금도 내가 걷는 그 걸음의 시작이 누군가 과거의 고통스런 걸음의 끝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지금보다 한 걸음 더 갈 수 있는 용기가 생긴다. 세상사는 이유에 이것말고는 특별히 없는 것 같다. 용기있게 첫 발짝을 먼저 내딛거나 , 힘들 것을 뻔히 알면서도 먼저 내딛은 그 사람의 모습에 동참하지 않고는 못견뎌서 함께 하는 사람이 되거나 둘 중의 하나 밖에 없다. 누리는 것은 다음 몫이다. 언젠가는 그 누군가가 누리게 되고 인간다운 세상으로의 진보에 동참하게 되리니. 세상의 진보가, 인생의 목적이 여기에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8912
1818 존엄과 욕망 사이 4 양을 쫓는 모험 2011-03-09 4231
1817 근원의 표정 image 8 ahmoo 2011-03-09 5022
1816 경쟁에 반대한다 Intro: 나는 가수다? image 14 오세 2011-03-14 6819
1815 겨루기, 싸우기. 살림, 죽음. ░담 2011-03-20 4254
1814 나는 가수다, 당신이 분노해야 할 이유 image 2 조영민 2011-03-21 4594
1813 미학(美學)은 기(起) 입니까? 1 함성한 2011-03-23 3907
1812 부바키키 언어 계통수 발견하기. ░담 2011-03-23 5423
1811 경제와 주가의 구조론적예측툴에 관해서 질문 2 갈구자 2011-03-23 4126
1810 경쟁에 반대한다 1편: 경쟁은 무의식이다 image 6 오세 2011-03-23 10392
1809 나는 가수다 - 경쟁은 상생을 위한 보조수단 이라는 것이 '원칙' 이다. image 3 아란도 2011-03-28 5200
1808 경쟁에 반대한다 3편: 죽음의 사다리를 걷어치워라! image 5 오세 2011-04-06 4673
1807 마인드맵의 진화단계 7 juseen 2011-04-26 5135
1806 성과를 두 배로 늘리는 법 있나요? 4 김신웅 2011-05-04 4175
1805 현대물리학의 개념들에서 질에 해당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11 wson 2011-05-04 4307
1804 대진화, 포화진화, 환경 변화 3 wson 2011-05-08 4607
1803 연꽃의 역설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1-05-10 4338
1802 과학의 정체(?) 35 wson 2011-05-25 4671
1801 6천년 전에 세워진 아일랜드 고인돌 image 2 김동렬 2011-05-25 8521
1800 삶과 죽음 image 1 눈내리는 마을 2011-05-28 3747
1799 구조를 알아야 관계는 도약된다. 5 조율 2011-05-29 4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