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8]mowl
read 4222 vote 0 2022.08.22 (19:08:09)

-전기는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 블랙아웃이 발생하기 때문에, 항상 수요를 웃도는 초과공급을 해야함

-현재 전기를 저장하는 기술에는 한계가 많음 >> 수요에 맞춰 공급을 조절해야함

-공급이 지나치게 많아도 전력망에 과부하 >> 블랙아웃이 발생(!)

-석탄화력과 원자력은 공급조절이 어려운 반면, LPG/태양광은 공급조절이 용이함. 때문에 어떤 이유로 전기 공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LPG/태양광 발전을 중단함. (석탄/원자력은 수요가 줄어도 중단할수가 없음)

-원자력 발전에 따른 폐기물처리 비용을 포함해, 공급 조절이 불가한 원자력 발전은 독일의 전기수급 구조에서는 경제적이지 않다고 판단(전기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 경우 석탄화력/원자력 발전의 잉여전기 처리비용/리스크 비용이 더 큼) >> 독일 경제장관은 원자력 발전 재가동을 반대



독일 경제장관은 왜? 원전 재가동을 반대할까??

https://www.ddanzi.com/index.php?mid=free&bm=hot&page=6&document_srl=747435209


[특파원리포트] 전기 남아돌아도 ‘블랙아웃’…日 ‘태양광 발전’ 기로에?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051173


'전력 과잉생산' 제주 태양광발전소 또다시 가동 중단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3286284Y


비트코인을 통한 전기의 금융화

https://gujoron.com/xe/?mid=gujoron_board&search_target=nick_name&search_keyword=mowl&document_srl=1427224


[레벨:10]dksnow

2022.08.22 (23:25:36)

앞으로도 비트코인은 꾸준히 투자할 예정.

프로필 이미지 [레벨:8]mowl

2022.08.23 (00:19:12)

시간/공간적으로 전기를 옮기는 기술은 크게 송전/축전이 있고, 이런 이유 때문에 축전 역할을 하는 전기차가 정부 보조금을 받음.

친환경 에너지원은 대체로 안정적인 수급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친환경 에너지원의 과잉/과소 생산을 해결할 방법으로 송전/축전 외에 비트코인이 대안이 된다는 주장. 

비트코인은 전기가 싸면 채굴하고 비싸면 끄면 되는데, 이러한 특성이 특히 친환경 에너지원의 한계를 보완해준다고. 그래서, 혹자는 비트코인 같은것을 일부러라도 만들어내서 송전/축전 기술의 한계로 인한 국지적 에너지 불균형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8880
2018 통짜, 통짜 덩어리란 말 4 굿길 2010-01-05 5281
2017 구조론에 기반한 메모1 5 오세 2010-01-07 4602
2016 구조론 메모2 -상담계, 2 오세 2010-01-07 4601
2015 사람 노무현 한 결 족보 ░담 2010-01-08 7202
2014 털 없는 인간의 탈모사 2 LPET 2010-01-09 7119
2013 구글, 오바마 효과? image 1 ░담 2010-01-15 4877
2012 리플대박 관련공지 11 김동렬 2010-01-15 5636
2011 노무현, 님의 설정을 권하오. ░담 2010-01-15 5448
2010 깨달음을 그리다 영어번역에 관하여 image 1 ahmoo 2010-01-18 6825
2009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첫 번째 image 1 ahmoo 2010-01-18 14536
2008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299
2007 문제해결능력 - 고부간의 갈등 편 image 21 양을 쫓는 모험 2010-01-19 7526
2006 아이패드와 eBook 혁명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1-31 6498
2005 밸런스의 중요성. 3 오세 2010-01-31 4472
2004 구조론 1번 읽은 기념 글쓰기 image 3 이상우 2010-01-31 5046
2003 앞날 생각할 때 자세 앞으로 쏠려 1 김동렬 2010-02-01 4902
2002 과거를 생각하면 눈알을 위로 굴리고 뒷머리를 긁적인다? 기준님하 2010-02-02 5921
2001 왼발이 커지는 원리에 대해서 1 기준님하 2010-02-02 4964
2000 이상우님이 학생들을 잘 지도하는 방법 기준님하 2010-02-02 5776
1999 구조론 옷입히기. 3 아제 2010-02-02 4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