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850 vote 0 2021.07.09 (10:55:51)

나는 석사 두 개, 박사 한 개 하느라 시간이 없어서 줄리 못 하신 분도 이해할 수 있다. 46% 논문 표절 같은 거 이해할 수 있다. 사모펀드에 투자해서 8개월만에 겨우 83% 수익을 올리는 시추에이션도 이해할 수 있다. 주가조작도, 부인 집에 삼성이 전세권 설정한 것도, 윤우진 전 세무서장 뇌물수수 사건 덮어준 희대의 사건도 다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시선집이나 시집을 사서 그걸 읽고 있다는 분들 진짜 이해할 수가 없다. 시(선)집은 읽기용이 아니다. 이걸 자꾸만 갈쳐줘야 하나? 시집은 사서 읽으라는 책이 아니다. 시집은 그냥 사는 책이다. 그냥 사놓고 잊어먹는 책이다. 그러다가 가끔 라면받침으로 꺼내놓고 제목을 상기하는 책이다. 누가 시 같은 거 물어보면 막 읽은 척 하면서 응, 나 그거 우리집 서가에 있어... 뭐 이럴 때 써먹는 책이다.
자꾸만 시집 사놓고 읽을 생각을 하는 건 시집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어차피 그래놓고 읽지도 않을 거면서 괜히 읽어야 하는 게 부담된다고 사는 것조차 하지 않으니까 세상이 이렇게 황폐해지고 피폐해지고 지폐만도 못해지는 것이다. 시집 절대 읽지 마시라!
그리고 가장 심각하게 이해가 안 가는 분들이 또 계시다. 휴가 갈 때 누가 시집 같은 거 챙기면 왜 그런 짐을 들고 가냐고 잔소리하는 김주대 시인 같은 분들. 진짜 무식한 거다. 시집은 과시용이다. 어디 가서 낮잠 잘 때 핸드폰 베고 자는 사람과 시집 덮고 자는 사람은 품격이 다르다. 애인들이 막 꼬인다. 요즘 세상에 참 고아하고 고결한 사람처럼 보여진다. 시집은 쓸모가 많다.
그래서 시선집 사 놓고 그걸 읽느라 시간 끄는 답답한 분들 때문에 <당신에게 시가 있다면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는 이제 겨우 5쇄를 찍고 하이파이브나 하고 있는 것이다. 시선집 읽을 시간 있으면 선물을 하셔야 한다. 시집은 원래 나는 안 읽고 남들한테 선물할 때나 써먹는 책이다. 세상도 얼마나 좋아졌는지 카O오톡 선물하기도 되고 요즘 슬프게 소문난 쿠O으로도 주문이 된다.
하여간, 나도 아직 다 못 읽은 시선집 다 읽었다고 자랑질하는 분들 진짜 이해가 안 된다. 5쇄가 뭔가, 5쇄가... 시바.


###


시는 읽는게 아니다.
섬기는 거다.
그런데 시가 똥을 싼다.
그게 시다.
꼬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362 마구잡이 출석부 image 39 김동렬 2014-07-16 3881
4361 무성한 출석부 image 30 이산 2021-08-24 3880
4360 발발 출석부 image 28 솔숲길 2016-02-13 3879
4359 전여옥 등판 image 2 김동렬 2021-07-31 3878
4358 진달래 출석부 image 19 김동렬 2015-04-12 3878
4357 홀로 출석부 image 49 김동렬 2017-04-18 3877
4356 이글이글 출석부 image 13 ahmoo 2014-09-28 3877
4355 복돼지 출석부 image 21 김동렬 2015-02-16 3876
4354 러시아 할매 출석부 image 34 김동렬 2016-06-23 3875
4353 고양이 출석부 image 18 김동렬 2015-03-20 3875
4352 밥 먹고 출석부 image 30 김동렬 2014-07-17 3874
4351 휘모리장단 출석부 image 20 universe 2021-01-03 3873
4350 무지개 출석부 image 28 김동렬 2016-05-21 3873
4349 슈렉부부 출석부 image 27 김동렬 2014-12-17 3872
4348 황금돼지 출석부 image 37 솔숲길 2019-01-03 3870
4347 오월25일 출석부 image 16 김동렬 2014-05-25 3870
4346 양과 새 출석부 image 24 김동렬 2014-07-27 3870
4345 훈훈한 대화 출석부 image 22 양을 쫓는 모험 2012-10-26 3870
4344 크리스마스 출석부 image 41 김동렬 2015-12-23 3869
4343 조형물 출석부 image 23 김동렬 2015-09-17 3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