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30]솔숲길
read 3642 vote 0 2015.06.07 (09:29:34)

daily_picdump_1831_640_18.jpg


메르스는 꽃마스크로  

하여튼 출석하기오. 



[레벨:30]솔숲길

2015.06.07 (09:31:30)

[레벨:30]솔숲길

2015.06.07 (09:52:03)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15.06.07 (09:58:28)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6.07 (10:03:29)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2015.06.07 (10:10:08)

[레벨:30]솔숲길

2015.06.07 (10:19:58)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2015.06.07 (11:57:35)

238364139_c3IAQGUy_GQA55728ef16b2f2.jpg

주인공은 메르스와 배후인 닭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17]안단테

2015.06.07 (13:19:56)

20150530_171255.jpg



20150530_174619.jpg



20150530_152745.jpg

마늘을 까다가


20150601_105127.jpg

깨달음의 대화  -'시스템으로 이해하기'(http://gujoron.com/xe/?mid=gangron&page=2&document_srl=587886),

이 글을 씨앗의 구조로 이해를 해 보았는데.... 혹시, 헛다리 짚은 건 아니겠죠....^^



첨부
[레벨:30]이산

2015.06.07 (21:44:00)

많이도 깟군여
[레벨:30]스마일

2015.06.07 (14:14:48)

영웅이 탄생할 확률은 극히 드물다.

천년에, 백년에 한번 올 인물을 기다리는 것은

성경에서 메시아를 기다리는 것과 같고

헐리우드가 인구많은 동양에 영화를 팔아먹기 위해

동양의 감정선을 건드려 만드는 fiction에 불과하다.

 

전문가가 지배하는 세상이 와야한다.

"격앙", "끝판왕", "폭거" "밤새 목 놓아 울어"등 이 비과학적인 단어가

세상을 돌아가는 것을 설명할 수는 없다.

세상에서 이미 일어난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어일 뿐.

과학의 언어는 아니다.

굳이 따지자면 문학의 언어이지

세상의 현상을 설명 할 수 없다.

 

전문가가 세상의 현상을 설명하는 세상이 와야 한다.

TV에 얼굴 비추고 울어주면

시청자들이 불쌍해서 걱정해주는 그런 시대는 가야한다.

 

어깨근육은 소 한 다섯마리 잡게 생겨가지고,

한국인의 감정에 호소하면서 울어주면

연민이 생길거라 생각하는데,

이 단계를 지냐야 한다.

 

애든 어른이든 울면 모든 사태가 해결 되는 그런 시대는 지나야 한다.

 

[레벨:30]스마일

2015.06.07 (14:26:27)

드라마 작가들에게 부탁한다.

제발 사극을 쓸때에는 개인의 복수심이 사건을 끌어나간는 주체가 되게

시나리오를 쓰지말라.

시나리에 대한 모범은 "뿌리깊은 나무"에 나왔다.

 

동료들이 요새 TV드라마 뭐 보냐고 묻는다

사극을 좋아하는 나에게 "화정"을 안 보냐고 묻는데

나는 "화정"같은 드라마 절대 안 본다.

 

"공주의 복수심"에는 관심이 없다.

"공주의 일대기"에는 더더욱 관심이 없다.

나는 다만  "세종의 전문가"다운 모습에 관심이 있을 뿐이다.

[레벨:30]솔숲길

2015.06.07 (15:19:04)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6.07 (15:27:14)

[레벨:30]솔숲길

2015.06.07 (16:34:28)

[레벨:30]이산

2015.06.07 (21:42:50)

프로필 이미지 [레벨:10]id: 배태현배태현

2015.06.07 (21:58:29)

[레벨:30]이산

2015.06.07 (22:13:25)

프로필 이미지 [레벨:10]id: 배태현배태현

2015.06.08 (10:26:37)

ㅋㅋ 방 전체가 화실일 나이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251 찬란하게 출석부 image 32 솔숲길 2019-08-14 3173
4250 두둥실 출석부 image 13 김동렬 2014-09-08 3175
4249 이른아침 출석부 image 14 노랑고구마 2014-04-06 3176
4248 푸짐한 출석부 image 18 김동렬 2015-01-03 3176
4247 단풍잎 출석부 image 31 김동렬 2017-10-10 3177
4246 부처님 오신 다음날 출석부 image 31 이산 2021-05-19 3177
4245 백만불 출석부 image 15 김동렬 2015-09-04 3178
4244 닮은점 출석부 image 46 솔숲길 2016-11-10 3178
4243 전망 좋은 집 출석부 image 42 김동렬 2017-09-21 3178
4242 편안한 출석부 image 45 김동렬 2017-07-04 3179
4241 루틴 출석부 image 31 universe 2020-01-18 3179
4240 깜찍한 출석부 image 24 universe 2020-05-16 3179
4239 가을볕에 익어가는 출석부 image 27 이산 2020-09-08 3179
4238 미얀마 한국 image 13 김동렬 2021-03-31 3179
4237 정상에서 출석부 image 42 ahmoo 2018-08-31 3180
4236 푸짐한 출석부 image 35 김동렬 2016-09-08 3183
4235 바람불어 좋은날 출석부 image 33 이산 2021-02-07 3183
4234 새해일출 출석부 image 17 김동렬 2015-01-01 3184
4233 한바구니 출석부 image 33 이산 2020-01-21 3184
4232 간디형 출석부 image 17 김동렬 2015-01-18 3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