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576 vote 0 2020.05.06 (05:42:36)

상대와의 대화라는 언어의 형식이 사고를 제한한다. 대화는 대상이 있어야 하고, 그 대상과의 대칭관계로 대화를 만들어가기 때문이다. 대칭이냐 비대칭이냐, 상대어냐 절대어냐의 문제가 있다. 

타자성의 문제와도 통한다. 나와 타자사이의 벽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토대를 확보해야 한다. 토대가 절대어다.

사건을 통제하려는 사람은 토대를 확보해야하고, 사건을 언어에 반영하려면 절대어를 확보해야 한다. 

즉 핑퐁형식의 대칭관계를 넘어서, 절대어의 비대칭적 전개를 언어화해야 한다. 

문명의 지속가능한 발전 혹은 지속가능성이라는 단어가 유행했던 적이 있다. 누군가가 머리를 써서

만들어낸 멋진 단어다. 사건이 반영된 언어는 토대(에너지원)을 확보해 비대칭적으로 자체 전개할 수 있다.


타자와의 경계선에 전율해야 한다. 먼저 토대를 확보해야 발언권을 얻는다.

인간들은 멋쩍은 웃음으로 경계선의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 동물의 방법이다. 

언어가 당당해야 한다. 절대어를 확보해야 한다.

한쪽에서는 문명, 사회, 역사, 진보, 진리를 이야기하는데 한쪽에서 나, 너를 이야기하면 언어의 격이 떨어지는 것이다.

결국은 언어의 문제에 관점의 문제가 연동된다. 상대어냐 절대어냐에 따라 자신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드러나는 것이다. 세상을 통합의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사회적 발언권을 얻는다. 


[레벨:15]오민규

2020.05.27 (22:59:04)

"상대와의 대화라는 언어의 형식이 사고를 제한한다."
언어는 대화하는데 맞추어져 있는데 언어를 가지고 사고를 하니 뭔가 문제가 생기는 것 아닌가 싶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892
1977 무한이란 무엇인가? image chow 2022-06-29 2015
1976 비트코인을 통한 전기의 금융화 image mowl 2022-06-26 2033
1975 바이든도 사정이 있다 chow 2022-06-23 1889
1974 경기부양 전략 레인3 2022-06-23 1525
1973 차원으로 생각하기 image chow 2022-06-18 1571
1972 인문학의 빈곤 dksnow 2022-06-17 1667
1971 수학의 본질, 순간변화율 image 1 chow 2022-06-17 1429
1970 역설에 따른 노래 이전의 발성에 관한 이야기 SimplyRed 2022-06-16 1123
1969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공지 image 2 김동렬 2022-06-16 1059
1968 한국어의 힘 image 김동렬 2022-06-14 1363
1967 '출산정책의 실패' 에 덧붙여 8 dksnow 2022-06-10 1663
1966 개구리 소년 흉기는? image 10 김동렬 2022-06-10 1578
1965 확실성의 구조론과 불확실성의 엔트로피 image chow 2022-06-09 1434
1964 가속 진화의 이유 외 chow 2022-06-08 1019
1963 버니어캘리퍼스 image chow 2022-06-08 1074
1962 동아시아사에서 한반도의 역사적 역할 (환빠는 알아서 꺼져주길) dksnow 2022-06-08 1139
1961 탈냉전의 청구서 dksnow 2022-06-08 1013
1960 인간과 알파고, 까마귀 chow 2022-06-06 1061
1959 인간은 권력하지 않는다 chow 2022-06-03 1054
1958 선거 후기 1 레인3 2022-06-02 1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