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20 vote 0 2020.04.25 (08:27:12)

      
    차원 5의 의미


    우주 안의 모든 것은 차원 5로 존재한다. 그럼 3차원 입체는 뭐냐? 거기에는 관측자가 있다. 관측자와 0차원을 포함하면 5다. 어떤 입자에 외력이 작용하면 당연히 깨진다. 깨지면 존재가 아니다. 여기서 입자는 체다. 체는 4다. 외력 1을 더하면 5다. 깨지지 않으면? 그 경우 외력을 내부에서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외력의 작용에 따른 모순을 내부에서 처리하는 것이다. 이때 외력은 들어왔다 나갔으므로 논외가 되고 체의 4에 그 외력을 처리하는 내부 구심점 1을 더하여 5다. 즉 자연은 어떤 경우에도 5일 수밖에 없으며 깨진 5와 멀쩡한 5가 있을 뿐이다. 가솔린의 폭발이나 물체의 파괴는 본래 5에서 1이 밖으로 빠져나간 것이다. 


    물체의 모서리를 때리면 떨어져 나간다. 여기서 모서리는 4 + 외력은 1 = 5가 된다. 즉 가만히 있는 물체는 내부에 무게중심을 가져서 5가 되며 그렇지 않은 물체는 깨지면서 그 운동을 포함하여 5가 되며 언제든지 5다. 깨진 것은 논외로 치고 구조가 안정된 5는 입체 내부에 외력을 극복하는 구심점이 하나 더 있다. 


    예컨대 가족 5명과 지나가는 행인 5명은 다른 거다. 가족 5명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계를 이루고 가족이 아닌 경우는 계를 이루지 못했으므로 체다. 외력이 작용하면 가족은 뭉쳐 하나로 대항하겠지만 지나가는 행인들은 흩어져 버린다. 에너지는 뭉친 에너지와 흩어진 에너지가 있고 특별히 뭉친 에너지는 계다.


    플라즈마가 3천도 이하로 식으면 일정한 압력에서 뭉치기 시작한다. 그 이상의 온도와 다른 압력이면 흩어져 버린다. 흩어지면 논외가 되고 뭉치면 비로소 사건이 시작된다. 흩어진다는 것은 의사결정이 밖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 거기에는 내부질서가 없으므로 계의 통제가능성이 없다. 그러므로 논외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흩어진 가스도 실린더에 가두면 통제가 된다. 여기서 실린더가 추가되므로 역시 5다. 자연은 언제나 5이며 그 5가 어떤 대상 내부질서로 있으면 통제가능하고 반대로 체4+운동1로 5가 되면 돌아다니므로 통제되지 않아 사건을 조직하지 못한다. 이 경우는 어떤 용기에 가두어 5를 끌어내는 방법으로 통제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74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565
6892 임성근 이종호 이건희 커넥션 new 김동렬 2024-06-27 346
6891 금쪽이 전성시대 new 김동렬 2024-06-27 373
6890 다르마는 타이밍이다 update 김동렬 2024-06-26 540
6889 존재와 무 김동렬 2024-06-17 787
6888 다르마와 메타인지 김동렬 2024-06-24 805
6887 세계관 김동렬 2024-06-08 872
6886 지식의 원점 김동렬 2024-05-20 918
6885 원론 김동렬 2024-06-09 930
6884 다르마의 길 2 김동렬 2024-06-19 930
6883 전여옥의 돌려까기술 김동렬 2024-06-25 934
6882 무한사고 김동렬 2024-06-10 940
6881 나쁜 윤과 없는 한 image 김동렬 2024-06-24 961
6880 구조의 빌드업 김동렬 2024-06-15 967
6879 동기부여 만능주의 김동렬 2024-06-20 974
6878 정情과 한恨 그리고 정한情恨 2 김동렬 2024-06-13 988
6877 다르마를 따르라 김동렬 2024-06-19 1045
6876 호암미술관 백제의 유혹 관음상 image 4 김동렬 2024-06-13 1047
6875 세계상 김동렬 2024-06-07 1068
6874 신라 마립간은 무엇인가? 2 김동렬 2024-05-14 1085
6873 자아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4-06-12 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