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오민규
read 1679 vote 0 2020.06.26 (09:49:32)

학문은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응용과학, 형식과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학문 간에 말이 통하지 않는다. 철학이 다르기 때문이다. 인문학은 만남을 추구하고 사회과학은 지속가능성, 균형 따위를 추구한다. 자연과학은 최선, 최단루트, 최대이익 등을 추구한다. 응용과학은 실용을 추구한다. 형식과학은 언어의 명확함을 추구한다. 실용주의인 응용과학이 순수과학 형식과학에 앞서면 안된다고 할 수 있지만 필자는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주목한다.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구조론에서 가져오고 체계화시켜야 한다고 본다. 인문학이 가장 층위가 높고 형식과학이 가장 층위가 낮다. 언어를 트리 형식으로 정리한다면 인문학의 용어가 가장 큰 분류를 차지할 것이고 형식과학의 언어가 가장 말단을 차지할 것이다. 형식과학이라고 말했지만 사실상 컴퓨터과학을 뜻한다. 기존의 형식과학인 수학, 통계학 등은 이제 자연과학이나 응용과학에 넣어야 할지도 모르겠다. 수학의 '형식적인 부분'은 컴퓨터과학에 거의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세세한 분류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언어의 통합이다. 언어가 통합되려면 어휘가 삭제되어야 한다. 그 과정을 어떻게 합의할 것인가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20.06.26 (10:37:42)

이 글의 주장을 하시게 된 동기는 무엇인지 알고 싶군요.. 그래야 이 글의 문맥이 이해 될 듯.
[레벨:15]오민규

2020.06.26 (11:12:36)

언어의 통합이 가능하다는 믿음이 근본적인 동기라고 할 수 있죠. 구체적으로는 그게 가능할 만큼 학문이 충분히 발전했다는 것이죠.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6.26 (14:53:50)

내용 중에 언어라고 하신 것이 언어 체계 전체를 의미하는지요?

아니면 일단 용어나 단어 수준을 의미하는 것인지요? 내용 중에 어휘라고 쓰신 것 같은데요...

원대한 포부가 느껴집니다...

[레벨:15]오민규

2020.06.26 (19:50:57)

언어 체계 전체라고 하면은 세계적인 합의체가 건설되기 전까진 일단 논외라고 할 수 있겠네요. 합의한다 해도 그걸 사람들에게 강제할 수단도 없고...이 글과는 다른 차원의 얘기인듯 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94165
1701 창의성의 진화 image 7 김동렬 2015-01-05 5154
1700 시스템에서 감각으로 5 양을 쫓는 모험 2009-06-04 5151
1699 집 한 채의 미학. 6 아제 2010-02-04 5146
1698 시선의 방향 4 lpet 2010-10-27 5143
1697 인간이 원하는것 image dksnow 2022-08-04 5126
1696 이야기를 만드는 방법 1 김동렬 2013-10-21 5126
1695 [질문] 개념도에 나오는 모래시계의 사례에서. 3 르페 2009-01-06 5125
1694 존재론과 인식론 아제 2010-12-09 5122
1693 본격 변희재 때리는 만화 image 7 김동렬 2016-10-10 5118
1692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김동렬 2023-04-13 5117
1691 노무현이 죽는 이유 그리고 우리가 필승하는 방법 4 이기준 2009-07-22 5112
1690 답이 나온 문제 18 김동렬 2013-02-27 5110
1689 여전한 서구의 인종주의 6 김동렬 2013-08-25 5106
1688 쉬어가며 읽는 글: 우리는 왜 자본주의를 해야하는 거죠? 기준님하 2009-07-23 5106
1687 '기준님하'의 '노무현이 죽는 이유에' 대한 댓글. 3 눈내리는 마을 2009-07-24 5105
1686 아이의 문제에 교사가 휘말릴 때 image 2 이상우 2023-06-13 5103
1685 그냥 사는게 사는걸까요? 1 가혹한너 2009-02-16 5101
1684 요즘 초딩들은 무서워. image 김동렬 2015-05-06 5099
1683 구조론 1번 읽은 기념 글쓰기 image 3 이상우 2010-01-31 5094
1682 이 거짓말에 대해 논해보시오. 7 김동렬 2013-08-18 5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