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61 vote 0 2024.03.22 (19:25:57)

    엔트로피만큼 쉬운게 없다. 밸런스는 두 개가 붙어서 나란한 것이다. 밸런스의 변화는 분할이다. 분할하면 숫자가 증가한다. 너무 쉽잖아. 그런데 왜 다들 어렵다고 할까? 나는 거기서 인류의 어떤 약점을 봤다. 이 문명은 결함 있는 문명이다. 인류는 지식의 첫 단추를 잘못 끼웠다.


    엔트로피는 에너지의 방향성이다. 여기서부터 막힌다. 인류는 방향이 뭔지 모른다. 방향은 공간의 방향이다. 공간이 뭔지 모른다. 이쯤 되면 근본적인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우리가 밸런스 중심의 사고를 익혀야 한다. 밸런스는 깨진다. 마이너스다. 마이너스 사고를 배워야 한다.


    인류의 사고는 플러스 방향인데 자연의 전개는 마이너스 방향이다. 인간은 작은 것을 모아서 큰 것을 만들려고 하지만 자연은 큰 것을 쪼개서 작은 것을 만든다. 엔트로피 증가는 작은 것의 증가다. 인간은 애초에 큰 것에만 주목하기 때문에 작은 것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 것이다.


    열역학은 이상하다. 기초부터 빌드업하는 과정이 없다. 수학 다음에 물리학이 있고 그다음에 화학이 나와야 한다. 수학과 물리학을 거치지 않고 바로 화학을 한다면 그게 연금술이다. 열역학 법칙이 어려운 이유는 인류가 공간을 해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초를 건너뛰었다.


    지식의 출발점은 밸런스다. 에너지의 방향성은 저울의 축이 먼저 움직이고 다음에 접시가 기울어지는 순서다. 대칭은 축이 있다. 축 1이 움직이면 대칭 2가 움직인다. 1의 원인이 2의 결과를 낳으므로 증가하는 것이다. 이 구조를 머릿속에 그리면 우주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33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223
72 김원길의 적절한 선택 image 김동렬 2002-11-26 20969
71 Re.. 깨춤 - 우리말 대사전 김동렬 2002-12-12 21098
70 선문답의 이해 image 2 김동렬 2012-11-01 21118
69 안희정은 무슨 배짱으로 .. 미친 넘 image 김동렬 2003-03-26 21165
68 결혼한 뒤 바람 피우는 진짜 이유는 image 47 김동렬 2012-04-12 21318
67 발달린 뱀 image 1 김동렬 2009-09-16 21464
66 구조적 사고란 어떤 것인가? image 13 김동렬 2012-01-02 21496
65 추미혜와 박근혜 누가 더 예쁜가 내기해 보자 황인채 2002-12-19 21670
64 구조론 문제 - 이 그림이 비싼 이유는? image 80 김동렬 2012-12-31 21684
63 용해 주물 압연 압천 압인 image 김동렬 2011-06-12 21817
62 노무현이 광주노씨라서 전라도 사람이면 전주이씨 이회창은? SkyNomad 2002-12-13 21851
61 해군 UDT 탈락 비관 20대 목숨끊어 김동렬 2003-07-10 22035
60 손자병법 대 손빈병법 image 3 김동렬 2011-02-11 22068
59 과학자의 헛소리 예 2 김동렬 2011-05-17 22073
58 구조론 도해 image 김동렬 2010-06-22 22166
57 신간 ‘공자 대 노자’를 내면서 image 7 김동렬 2016-07-28 22185
56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3-01-19 22366
55 화성인 바이러스 철없는 아내편 image 6 김동렬 2011-02-08 22442
54 물레방아의 구조 image 3 김동렬 2011-05-30 22547
53 사과문>사과+문>사과와 문 image 김동렬 2003-05-09 22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