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4944 vote 0 2011.07.03 (21:24:10)

4.JPG

- 구조론은 연역적 사고다.

- 연역적 사고는 모형 위주의 사고다.

- 먼저 모형이 머리 속에 그려져 있어야 사고를 할 수 있다.

- 모형은 대칭으로부터 시작된다.

- 대칭은 1 속에 2가 들어가는 것이다.

- 대칭의 1은 축이 되고 2는 포지션이 된다.

- 포지션은 작용과 반작용, 원인과 결과, 시작과 끝, 입력과 출력, 음과 양 등 여러가지로 전개된다.



 

5.JPG

 모형은 사건이 입력에서 출력, 작용에서 반작용, 원인에서 결과, 시작에서 끝으로 가면서 구체화되는 각 단계를 나타낸다.

 

6.JPG


질, 입자, 힘, 운동, 량을 하나의 모형으로 구성하면 바운더리, 센터, 방향, 거리(시간), 결과로 나타난다.

 

 

7.JPG

 

 

 

막연히 생각할 것이 아니라 이렇게 모형을 그려놓고 생각을 전개해야 한다.

 

1) 바운더리는 무엇인가?

2) 센터는 무엇인가?

3) 기어는 무엇인가?

4) (arm)은 무엇인가?

5) 날은 무엇인가?

 

이 다섯가지를 생각하면서 마인드맵을 그려야 한다. 다섯 개의 가지를 찾아가는 것이다. 그리고 이 다섯은 각각 대칭이 있다. 각각 시소를 이루고 있다.

 


[레벨:7]아바미스

2011.07.04 (13:18:47)

내용은 잘 알겠고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알겠습니다.


하지만

막상 바운더리 정하기가 힘들고요,

그 후 센터가 무엇인지,등등  각 단계에서 정확히 모르겠는게 현실인것 같습니다.


구조론 사고 모형에 입각해서 내공을 쌓도록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1.07.04 (14:14:53)

사건은 어디에서 일어납니다.

그 어디를 성립시키는 절차가 바운더리죠.

에너지 작용에 따른 반작용에 의해 작용측과 반작용측의 교착으로 내부밀도가 균일해졌을 때 

그 균일한 밀도가 미치는 범위가 바운더리입니다.

한국에 전쟁이 일어나도 일본인과 황소와 길고양이들은 신경쓰지 않을텐데 

그 일본인과 황소와 고양이는 바운더리에서 배제됩니다.

센터는.. 그 밀도를 균일하게 하는 작용과 반작용이 교착되는 지점은

다른 부분보다 밀도가 더 높습니다.

작용하는 힘들이 그 부분을 통과하기 때문이지요.

그 부분이 센터가 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09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040
2294 허무는 없다 1 김동렬 2019-05-03 4220
2293 비오는 날의 동화 3 김동렬 2018-09-19 4219
2292 섹스와 흥분 김동렬 2023-05-31 4216
2291 한국에서 진정한 보수는 가능한가? 14 김동렬 2021-09-02 4215
2290 프로이드의 욕망 1 김동렬 2019-03-14 4215
2289 천재도 유행을 탄다 2 김동렬 2019-05-17 4213
2288 유발 하라리의 오판과 진실 5 김동렬 2020-03-16 4212
2287 삼권분립을 생각하자 김동렬 2018-09-12 4211
2286 윤석열과 기레기들 김동렬 2020-12-28 4210
2285 진화심리학은 개소리다 2 김동렬 2019-01-23 4210
2284 공산주의는 사기다 1 김동렬 2021-06-01 4209
2283 인지부조화는 틀렸다 1 김동렬 2021-05-20 4209
2282 민도가 천도다 4 김동렬 2020-07-12 4208
2281 출산거부의 진실 김동렬 2024-01-08 4207
2280 색각교정 김동렬 2021-06-06 4207
2279 깨달음의 본질 3 김동렬 2019-02-01 4206
2278 김훈은 잡놈이다. 1 김동렬 2023-08-08 4204
2277 이순신 장도 진품 맞다 3 김동렬 2023-06-27 4204
2276 이기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1 김동렬 2019-02-20 4204
2275 비트코인 유나바머 김동렬 2023-06-12 4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