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580 vote 0 2024.03.06 (17:58:16)

    구조론은 수학이다. 우리가 사물의 숫자는 알아도 사건의 숫자는 모른다. 사물의 많고 적음은 헤아려도 사건의 맞물려 있음은 헤아리지 못한다. 헤아린다는 것은 쌓인 것을 풀어서 보는 것이다. 풀어서 헤아릴 줄은 아는데 반대로 맞물리게 쌓을 줄은 모른다.


    푸는 것은 수학이고 풀린 것은 과학이다. 우리는 풀어서 보는 과학적 사고를 배운다. 사건은 맞물려 차원을 이룬다. 낮은 차원의 문제는 높은 차원에서만 풀린다. 풀어서 보는 과학적 사고만으로는 부족하고 사건의 맞물림을 보는 차원적 사고를 배워야 한다.


    과학적 사고는 비판적 사고다. 비판적 사고는 숨겨진 복잡성을 드러낸다. 풀어 헤쳐진 것을 헤아리므로 복잡할 뿐 다시 쌓으면 통합되어 단순하다. 차원적 사고는 직관적 사고다.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설명하는 직관적 사고방식을 훈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


    ###


    수평에서 막힌 것은 수직에서 타개된다. 수직을 보려면 초월자의 눈을 얻어야 한다. 손님은 수평구조의 밖에 있고 주인은 수직구조의 안에 있다. 안을 보려면 주체자의 눈을 얻어야 한다. 안에 가두면 수직이 만들어져 더 높은 차원의 세계로 가는 문이 열린다.


    바둑돌 밖에서 움직이는 전술은 수평에서 교착되고 바둑판 안에서 움직이는 전략은 수직으로 타개한다. 전략은 자원을 가두어 안을 만들고 전술은 거기서 방해자를 제거한다. 내부에 가두면 수직을 세울 수 있고 더 높은 차원에 올라 수평을 장악할 수 있다.


    내부에 가두어져 장악된 것이 절대성이라면 밖으로 풀려난 것이 상대성이다. 문제해결은 밖을 안으로 바꾸는 것이다. 수평으로 흐르는 물은 수직의 그릇에 담아 통제하는 것이다. 보다 높은 차원에 올라 낮은 차원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우주의 근본원리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72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666
6772 도처에 맞다이 김동렬 2024-06-04 1551
6771 여론조사는 정확하다 김동렬 2024-04-04 1555
6770 메타영역 김동렬 2024-04-12 1559
6769 공자 외에 사람이 없다 김동렬 2024-04-27 1564
6768 대란대치 윤석열 1 김동렬 2024-05-16 1570
6767 인간의 고통 김동렬 2023-11-28 1574
6766 클린스만 잘한다 김동렬 2023-11-23 1576
6765 소크라테스 김동렬 2024-02-22 1581
» 직관적 사고 김동렬 2024-03-06 1580
6763 인간의 충격 김동렬 2023-11-26 1588
6762 외왕내제의 진실 김동렬 2024-02-21 1588
6761 마동석의 성공 방정식 김동렬 2024-05-05 1588
6760 공자 김동렬 2024-04-23 1590
6759 조국당이 이기는 이유 1 김동렬 2024-04-03 1595
6758 존재는 도구다 김동렬 2024-02-01 1598
6757 삼체의 진실 1 김동렬 2024-05-28 1598
6756 한국 정치의 비밀 김동렬 2024-04-01 1603
6755 양면전쟁과 예방전쟁 김동렬 2024-03-02 1610
6754 옥새파동이 무슨 상관? 1 김동렬 2024-03-19 1613
6753 직관 논리 믿음 김동렬 2024-03-29 1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