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넛 나무 사이로 하늘 다리를 만들어 사람이 직접 따는게 쉬워보이는데
https://www.asiae.co.kr/article/2009062311233355644&mobile=Y
행성의 회전력(자전)은 지각과 대기에 서로 다르게 미칩니다. 지구에서도 편서풍이 부는게 이러한 밀도차이에 의한 것이고요. 보통 극지방일 수록 바람의 세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는게 저위도에서는 반대편이 없는데, 극지방은 반대편 바람이 공존하기 때문입니다. 극지방은 서로 반대 방향인 바람이 만나므로 바람의 세기가 두배로 증가하는 거죠.
육각형은 회전력과 마찰력(저항력)의 균형에 의해, 즉 마찰력이 회전력보다 더 강해지는 지점에서 직선이 형성되어 생기는게 아닐까 합니다. 여기서 마찰력은 회전 대기와 주변 대기 사이의 마찰력이고요.
회전자의 입장에서 마찰력은 간헐 현상이 될 겁니다. 매끄러우면 하나인데, 각으로 꺾인 것은 그 주변에서 의사결정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요.
어떤 곡선이 꺾인 점이 없으면 그 구간에서는 연속, 꺾이면 불연속인데, 보통 불연속이면 밀도차이가 발생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죠. 물 속에서 빛이 꺾이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는 중심과 주변 사이의 회전력과 대기질의 밀도차이 생성으로 해석할 수도 있겠습니다. 중심과 주변의 밀도 차이 변화는 기하급수적일테고.
예로 드신 태풍의 경우에도 형성 초중반에는 회전력이 강하므로 원형을 유지하다가, 막판에 힘이 빠지면 중심의 회전력이 주변까지 미치지 못하므로 다각형으로 변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왜 하필 육각형이냐 하는 것은 벌집이 왜 육각형이냐고 묻는 것과 같은 질문이 될 거라고 보는데, 다수의 원형이 평면에 위치할 때 표면적 최소의 원리에 의한 결과적인 형태가 육각형이라고 봅니다. 아마 프랙탈 현상과도 관련이 있을듯.
http://erkdemon.blogspot.com/2009/12/hex-fractal-carpet.html
같은 가스형 행성인 목성에는 가끔 오각형도 생긴다고 합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VS2LPNBQR
목성의 대적반을 보면 은근 다각형이기도 하고요.
시험은 치는데 너무 쉬운게 탈입니다. 운전면허 필기시험 수준입니다.
홍세화는 엄청 공부해서 겨우 파리 택시기사 자격증 땄다는데
영국은 4년 걸려서 딴다고 하네요. 한국은 1일 걸리는데.
http://www.techhol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684#rs
주류비 갭 마진을 이용하는 것은 직장생활하는 생활인들도 마찬가지.
누수가 생길 수 밖에 없고, 완전순결한 도덕성을 강조하는 것은 순결서약을 강요하는 것과 만찬가지.
적당히 해쳐먹고, 정치에는 간섭하지 않으면 그나마 균형을 이룰텐데...
많은걸 바라지 않는다. 다만 국민이 바라는 방향에서 떡검들이 떡매나 쳐주었으면 하는 바램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