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473 vote 0 2016.03.17 (10:35:50)

    

    스티브 잡스도 처음에는 마더보더만 던져주면 인간들이 알아서 컴퓨터를 조립할 줄 알았는데, 곧 그게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고 일반 전자제품처럼 플러그를 꽂아 바로 쓸 수 있는 ‘애플II’를 만들었다. 그것으로도 부족해서 프로그래머들 모아서 소프트웨어까지 만들어 공급했다. 그래도 부족해서 아주 떠먹여주기까지 한 것이 바로 스마트폰이다. 비로소 완전해졌다. 우리에게도 2라운드와 3라운드가 아직 남아있다. 우리는 어쩌면 출발점의 출발점에 서 있는 것이다. 이것이 결코 나쁜 소식이 아니다. [생각의 정석 76회]


    정치든 경영이든 사회든 마찬가지다. 물에 빠진 사람을 건져줄 때는 보따리까지 찾아줘야 한다. 집으로 데려와서 옷까지 갈아입혀 줘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취직까지 시켜줘야 한다. 약간 해놓고 곧 생색내려 하면 곤란하다. 개혁이 안 되는 이유가 그 때문이다. 노동자들이 계급배반투표를 하는 이유는 존엄을 챙겨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행복을 주겠다? 부족하다. 성취가 필요하다. 성취시켜 주겠다? 부족하다. 사랑이 필요하다. 사랑시켜주겠다? 부족하다. 자유가 필요하다. 자유하게 하겠다. 부족하다. 존엄을 챙겨줘야 한다.


    지식인이 노동자를 돕는다면 노동자는 남의 도움을 받는 신세가 된다. 즉 자존감이 뭉개지는 것이다. 노동자의 자존감을 짓밟으면서 표를 원한다면 미친 짓이 아니겠는가? 일단 노동자가 이해하지 못하는 언어를 구사하는 데서 자존감은 뭉개지고 말았다. 지식인의 언어를 버리지 않는 한 노동자에게 다가갈 수 없다. 방법은 노동자가 스스로 일어서게 하는 것 뿐이다. 노동자가 지식인을 도울 때 완성된다. 길은 멀지만 답은 있다. 답이 있다는 확신을 가지면 쉽게 해내는 것이 인간이다. 


aDSC01523.JPG


    세상이 원래 뜻대로 잘 안 됩니다. 그러나 잘 안 되는 이유를 알면 잘 해낼 수 있습니다. 완전성의 문제 때문입니다. 얼핏 봐서 뚫어야 할 천장이 한 개 있다고 판단되면 사실은 다섯개가 있습니다. 네번째 까지 가놓고 포기한다면 안타까운 일입니다.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는 것이 역설적으로는 희망입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3.17 (11:21:27)

[생각의 정석 76회] 재보선 결과

http://gujoron.com/xe/587899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594 인간은 왜 공부하는가? image 김동렬 2016-08-18 7734
3593 사랑 128, 범인은 한중일 세 나라다 image 김동렬 2016-08-17 6728
3592 인생의 문제를 해결하라. image 12 김동렬 2016-08-16 9267
3591 아름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08-15 6884
3590 왜 여성은 아름다운가? image 14 김동렬 2016-08-12 10157
3589 사랑 127, 사랑이 정답이다 image 2 김동렬 2016-08-11 6711
3588 환경이 역사를 결정한다 image 김동렬 2016-08-09 6236
3587 인간은 왜 잘생겼을까? image 2 김동렬 2016-08-08 9601
3586 역사는 진화의 역사다 image 1 김동렬 2016-08-08 6466
3585 태초에 무엇이 있었는가? image 5 김동렬 2016-08-07 6677
3584 누가 역사의 승리자인가? image 3 김동렬 2016-08-06 6321
3583 강자의 철학으로 갈아타라 image 김동렬 2016-08-05 6457
3582 구조론자의 교양을 학습하라 image 김동렬 2016-08-04 7255
3581 서양철학은 없다 image 4 김동렬 2016-08-02 9263
3580 사랑 126, 첫 키스의 추억 image 1 김동렬 2016-08-01 6097
3579 주최측의 의도를 헤아려라 image 1 김동렬 2016-07-31 6696
3578 인생의 비애가 그곳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7-29 7139
3577 신간 ‘공자 대 노자’를 내면서 image 7 김동렬 2016-07-28 22832
3576 사랑 125, 빛과 그림자 image 1 김동렬 2016-07-26 5767
3575 왜 공자이고 또 노자인가? image 5 김동렬 2016-07-25 6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