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18 vote 0 2020.06.11 (17:54:21)

    구조의 발견


    나는 세상이 메커니즘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메커니즘이라는 단어도 모를 때였다. 바람이 분다? 아니다. 부는 그것이 바람이다. 모든 것은 메커니즘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언어는 주어와 동사다. 주어는 어떤 대상을 가리키고 동사는 그 변화를 지시한다.


    동사는 움직임을 나타낸다. 바람은 불고, 불은 타오르고, 물은 흐른다. 흐르는 메커니즘이 물이고, 타오르는 메커니즘이 불이고, 불어대는 메커니즘이 바람이다. 버티는 메커니즘이 돌이고, 살아가는 메커니즘이 사람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다른 방법의 발견이다.


    사랑도 메커니즘이고, 자유도 메커니즘이고, 국가도 메커니즘이다. 나는 사랑한다? 아니다. 사랑의 메커니즘에 올라탄 거다. 버스의 승객처럼 말이다. 인류는 진보한다? 그것은 진보의 메커니즘에 단체로 올라탄 거다. 인류문명이라는 버스의 승객이 되어서.


    메커니즘을 깨닫자 모든 것이 시시해졌다. 진보든 보수든, 민주주의든 전체주의든, 자본주의든 사회주의든 메커니즘이다. 메커니즘은 둘이 엮여서 하나를 이룬다. 그러므로 논쟁할 수 없다. 거기서 인류의 모든 쟁점은 해소된다. 둘은 곧 하나이기 때문이다.


    하나를 앞에서 보면 진보고 뒤에서 보면 보수다. 그것은 관측자의 문제다. 존재의 사실과 상관없는 관측자의 자기소개다. 에너지가 기준이어야 한다. 에너지는 일방향성을 가진다. 엔트로피다. 이것이 절대적인 기준이 된다. 관측자가 기준이 되면 안 된다.


    관측자는 앞이나 뒤에 위치한다. 대상은 움직인다. 처음에는 앞에 있었는데 어느새 뒤에 가 있다. 관측자가 이동하는 것이다. 관측자는 자신이 꼼짝하지 않았다고 믿는다. 상대성의 원리다. 둘 중의 어느 쪽이 움직이든 같다. 무조건 관측자는 움직여져 있다.


    불변의 진리를 찾으려면 관측자가 나란히 따라가야 한다. 그러려면 관측자가 버스에 탑승하고 있어야 한다. 버스의 닫힌계를 확정하고 계 내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추적해야 한다. 계를 확정하고 계 내부의 변화를 추적하는 관점이 절대적인 기준이 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6.12 (10:08:59)

"메커니즘은 둘이 엮여서 하나를 이룬다. 그러므로 논쟁할 수 없다."

http://gujoron.com/xe/121037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62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570
4855 이기는 원리 2 김동렬 2023-05-21 3962
4854 힐러리의 실패와 나꼼수의 역설 7 김동렬 2020-11-03 3965
4853 찌질이 찐따 정의당 4 김동렬 2020-05-27 3966
4852 트럼프주의는 계속된다 2 김동렬 2020-11-06 3966
4851 사과하면 죽는다 김동렬 2021-12-26 3966
4850 윤석열 이준석의 몰락공식 김동렬 2022-01-07 3969
4849 목적론과 결정론의 오류 1 김동렬 2019-10-02 3970
4848 자기홀극은 없다 2 김동렬 2019-12-11 3970
4847 이재명에 대한 어떤 생각 2 김동렬 2021-09-05 3970
4846 깨달음의 의미 김동렬 2023-05-28 3970
4845 김용의 영웅문 1 김동렬 2018-11-16 3971
4844 외계인은 없다 2 김동렬 2021-06-22 3971
4843 반지성주의와 싸워야 한다 5 김동렬 2020-02-05 3973
4842 정신과 의식 1 김동렬 2019-02-18 3974
4841 검찰망국 한국인들 3 김동렬 2023-09-26 3974
4840 악의 특별함 1 김동렬 2019-02-08 3975
4839 박진성 황병승의 슬픔 image 1 김동렬 2020-10-15 3976
4838 세상은 의미가 있다 14 김동렬 2020-12-23 3976
4837 지갑을 주워야 천재다 image 1 김동렬 2020-10-28 3979
4836 카시미르 효과와 만유척력 김동렬 2020-04-13 3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