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638 vote 0 2020.04.08 (15:16:47)

1177.jpg

 우주 안의 모든 존재는 사면체이며 풀어놓으면 천칭저울 모양이 되고 

            W자나 M자 혹은 S자 혹은 용수철모양이 된다. 

                    이보다 복잡한 구조는 없다. 

      하나를 추가하면 반드시 하나가 이탈하기 때문이다.

  안철수가 인재 한 명을 영입하면 반드시 한 명이 나가는 이치다.

복잡은 중복과 혼잡이며 같은 것의 반복인 중복과 이질적인 것의 혼잡을 제거하면

            존재는 언제나 모래시계이거나 구멍 뚫린 콘돔이다. 

모래시계 속을 모래가 관통하듯이 중력이 혹은 외력의 작용이 항상 흐르고 있다.

     손으로 잡아서 차원을 추가하면 반드시 뒤로 하나가 이탈한다.

차원의 이해는 면이 아닌 각을 중심으로 해야 하는 이유는 각의 꼭지점이 멈추기 때문이다.

      모든 존재는 반드시 멈춤점을 가지며 사격선수가 호흡을 멈추고 

                 단거리 주자가 무산소운동을 하듯이 

    모든 변화는 멈춤에 의해 격발된다는 사실을 파악하기 쉽기 때문이다. 

         면은 귀납적 접근이며 귀납하면 이러한 본질이 은폐된다. 

            멈춤점을 파악하지 못하면 대상을 통제할 수 없게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577
4806 제논의 궤변 image 1 김동렬 2020-05-22 3458
4805 교육의 목적은 집단적 자아실현에 있다 2 김동렬 2020-05-21 3231
4804 집단의 권력과정power process 1 김동렬 2020-05-20 3157
4803 유나바머 1 김동렬 2020-05-20 3517
4802 소승과 대승 1 김동렬 2020-05-19 3391
4801 구조주의 교육으로 갈아타자 3 김동렬 2020-05-19 3068
4800 사이트를 개편하며 1 김동렬 2020-05-17 3659
4799 준표와 중권의 삽질대전 1 김동렬 2020-05-17 3461
4798 교육이냐 반교육이냐 1 김동렬 2020-05-15 3364
4797 진정한 교육으로 갈아타자 1 김동렬 2020-05-14 3186
4796 철학의 탄생 1 김동렬 2020-05-13 2728
4795 철학의 실패 2 김동렬 2020-05-13 2828
4794 유물론 유심론 구조론 1 김동렬 2020-05-12 2904
4793 철학은 죽었다. 그리고 부활한다. 9 김동렬 2020-05-12 3753
4792 실용과 경험의 위험 1 김동렬 2020-05-11 2993
4791 회원가입 및 등업요건 변경안내 4 김동렬 2020-05-11 2921
4790 문제는 가방끈이 아니라 방향이다 1 김동렬 2020-05-08 3421
4789 구조론 제자의 의미 2 김동렬 2020-05-06 3055
4788 관계 중심의 세계관 1 김동렬 2020-05-05 2943
4787 데카르트의 우상 1 김동렬 2020-05-04 2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