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950 vote 0 2019.01.28 (19:06:52)

      
    시스템 메커니즘 구조


    구조 – 축과 대칭의 구조에서 하나의 축이 대칭된 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아기가 대칭된 엄마와 아빠 중에서 '엄마가 좋아' 혹은 '아빠가 좋아'를 선택한다. 결정적인 의사결정이 일어난다. 


    메커니즘 – 이것이 이렇게 되면 저것이 저렇게 된다. 두 A, B가 엮여 있다. A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되어 B도 움직인다. 남녀 2인씩 도합 네 사람이 있는데 그중에 둘이 결혼하면 나머지 둘도 연동되어 결혼한다. 물레가 돌면 이에 연동되어 방아도 돈다. A와 A의 움직임에 B와 B의 움직임까지 넷이 메커니즘을 이룬다.


    시스템 – 메커니즘에 에너지를 태운다. 메커니즘이 자동차라면 시스템은 달리는 자동차다. 다른 점은 자동차에 없는 도로가 추가된다는 점이다. 개울물이 물레를 돌리면 방아도 방아확의 곡식을 찧는다. 개울물+물레+물레의 운동+방아+방아의 운동으로 매개변수는 다섯이다. 


    물레방아에는 물을 끌어들이는 질 장치와 물레를 고정하는 입자장치, 물레를 운동시키는 힘장치, 방아를 고정하는 운동장치, 방아를 운동시키는 량장치까지 모두 갖추어져 있다. 


    자연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은 모두 시스템이다. 에너지의 고갈로 시스템이 작동을 멈추면 메커니즘이 보인다. 개울물이 말라버리면 물레방아가 돌지 않는다. 시스템이 죽고 메커니즘만 남는다. 인간의 도구는 대개 메커니즘으로 되어 있고 그 메커니즘을 소가 끌면 쟁기가 되고 말이 끌면 마차가 된다.


    우리는 쟁기에서 소를 제외하고 마차에서 말을 제거한 다음 메커니즘만 보고 시스템을 보려고 하지 않는다. 에너지를 제거하고 보므로 진실이 보이지 않는다. 에너지를 태우면 움직이므로 볼 수 없다. 에너지를 태운 상태를 볼 수 있는 눈의 획득이 깨달음이라 하겠다. 


    마차가 전진하면 바퀴도 구르는게 메커니즘이고 그 마차의 메커니즘에 말을 연결하면 시스템이 된다. 바퀴가 구를 때 앞으로 구를지 뒤로 구를지 결정하는 것이 구조다. 메커니즘 안에 구조가 포함되어 있다. 시스템 안에 메커니즘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용어의 구분을 국어사전에서 찾으면 곤란하다. 어디까지나 구조론 용어다.   


[레벨:5]국궁진력

2019.01.28 (23:09:31)

'구조론' 사전이 필요한 이유군요. 

'형식'을 드러내기만 하면 되니, 만물사전, 백과사전일 필요도 없고.

그러고 보니, 이미 넘치게 정의하고 설명해 놓았네요. 이 사이트에.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1.29 (04:27:11)

"에너지를 태운 상태를 볼 수 있는 눈의 획득이 깨달음이라 하겠다."

http://gujoron.com/xe/1057887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51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462
2015 이상적인 제도는 없다 4 김동렬 2019-10-11 3946
2014 라즈니쉬의 미인계 2 김동렬 2019-04-30 3946
2013 기세는 전국구다 김동렬 2021-03-03 3945
2012 우크라이나의 위기 김동렬 2022-02-25 3944
2011 생산력이 본질이다 1 김동렬 2020-01-12 3944
2010 자유와 의리 김동렬 2021-06-09 3943
2009 문재인 죽이기 시작됐다 3 김동렬 2022-02-09 3942
2008 아프간 난민을 환대해야 한다. 2 김동렬 2021-08-19 3942
2007 정의당 김종철의 경우 김동렬 2021-01-25 3942
2006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김동렬 2021-10-03 3941
2005 박지원과 윤석열의 대결투 2 김동렬 2020-07-05 3940
2004 자기규정이 정답이다. 5 김동렬 2020-06-21 3940
2003 마음이 좋더라 2 김동렬 2019-03-05 3939
2002 이낙연 욕할거 없다. 1 김동렬 2021-09-03 3937
2001 구조론 3분 스피치 김동렬 2021-06-19 3937
2000 인생의 정답은 기세다 김동렬 2021-05-30 3936
1999 양자역학과 디지털 우주 김동렬 2022-09-07 3935
1998 상형문자의 한계 image 1 김동렬 2019-11-29 3935
1997 윤석열의 몰락이유 김동렬 2021-03-01 3934
1996 이명박 사면 문재인 구속 1 김동렬 2021-01-04 3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