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499 vote 0 2020.01.13 (07:50:16)

배가고프면 밥을 먹듯이, 이념도 꼬박꼬박 먹어줘야 한다. 왜인가? 인간은 집단속에서 벗어날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 집단의 수준의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배가고픈 인간은 불량식품을 먹기 마련이고, 사회가 고픈 인간은 집단에 휘둘리기 마련이다. 기어이 배탈이 나고, 기어이 엮여버린다. 역사의 모든 변화는 리더와 이념을 공유하는 집단적 호응에 의해 탄생한다. 나아가 집단을 운전하려면 이념의 공급자가 되야한다. 역사란, 문명이란, 사회란 그렇게 이념을 공유하는 집단에 의해 연출된 사건이다. 독립이 그렇고, 민주주의 또한 그렇다. 드높은 이상을 가진 수준높은 집단에 속해야 한다. 

 인생은 결국 자기 관성을 쓰거나, 상대방의 힘을 역이용하거나, 집단의 관성을 쓰거나이다. 자기 관성을 쓰는 즉 약해진다. 만만한것을 찾게된다. 상대방의 힘을 역이용하려면 상대방을 잘 만나야 한다. 좋은 라이벌을 두어야 한다. 집단의 관성만이 환경을 이길 수 있다. 역사가 있고, 계통이 있고, 후배가 있다. 문명이야 말로 집단의 관성에 의해 연출된 사건이다. 방향성이 있고 가속도가 걸려있다. 인간이 사회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역할뿐이고 그 역할은 문명이라는 사건의 에너지가 흐르는 통로일 뿐이다. 그게 인생이라는 놈의 전모. 부모는 자식을 연출하고 사회는 인간의 삶을 연출한다. 인간은 문명을 배달받고 문명을 배달한다. 대승의 의미는 사회의 진보라는 사건의 에너지 흐름속에 있다면 완전한 것을 의미한다. 오로지 역사를 공부한 사람만이 삶의 의미를 알수있다. 치명적이다. 왜 바이블은 역사서일까? 집단의 관성속에 가두어질때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역사도 사건이고 문명도 사건이다. 그렇다면 사건의 관점이 문제가 된다. 문명이 타자인가? 그렇다면 손님노릇이 자연스럽다. 타자가 아니라면 내가 책임지고 이끌어야 한다. 역사에게 부여받은 내 미션이 있고 또한 후배에게 전달해야 한다. 얻는 것은 자연스러움이다. 초대한사람을 찾아헤메는 것이 어색하다. 주인눈치 보며사는 것이 어색한 것.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1.14 (05:35:34)

"대승의 의미는 사회의 진보라는 사건의 에너지 흐름속에 있다면 완전한 것을 의미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023
1932 땅값 집값 문제 4 - 경제학자도 모른다 2 수원나그네 2018-01-15 1523
1931 사회주택과 중간권력의 창출[제민] 2 ahmoo 2019-06-10 1525
1930 [미디어오늘] KS 오리엔트 특급으로 아시아를 누비자 수원나그네 2018-11-29 1526
1929 사건의 단위 systema 2020-02-10 1529
1928 구조론으로 생각하려면 2 챠우 2019-11-14 1536
1927 '중첩' 행사 안내 image 수원나그네 2018-06-09 1537
1926 땅값 집값 문제 12 - 강남집값과 중심지이론 수원나그네 2018-01-23 1538
1925 강호제현께 - 참여와 버스비 후원을 기대합니다. image 수원나그네 2019-08-16 1538
1924 일본 원전오염수 관련 아사히신문의 두 기사 1 수원나그네 2019-08-20 1538
1923 땅값 집값 문제 6 - 조봉암과 노무현 수원나그네 2018-01-17 1539
1922 정체된 마을에.. 양지훈 2020-10-12 1544
1921 1을 원한다면 이금재. 2020-11-19 1546
1920 [미디어오늘] 한강하구, 국제기구도시를 상상한다 2 수원나그네 2018-11-24 1551
1919 요즘 장마철을 뚫고~ image 수원나그네 2018-07-03 1556
1918 대수 기하 구조 1 systema 2019-10-29 1556
1917 동적 균형. 3 아제 2017-11-27 1557
1916 땅값집값 21 - 보유세 후퇴는 촛불정부의 직무유기 수원나그네 2018-08-30 1558
1915 AI 에 정통하거나 관심이 깊은 구조론 동지님께 수원나그네 2018-12-25 1558
1914 구조동일성과 리더의 문제. 1 systema 2019-06-20 1558
1913 골라 볼까요~ image 4 수원나그네 2020-06-06 1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