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094 vote 0 2020.05.05 (18:55:49)


    관계 중심의 세계관


    구조론은 관계 중심의 세계관을 제공한다. 우리는 관측되는 정보를 통해 세상을 인식한다. 정보는 자연의 변화를 반영한다. 변화는 관계의 변화다. 그 외에 아무것도 없다. 우리는 막연히 물질의 고유한 속성에서 답을 찾으려 하지만 이는 경험에 근거한 비과학적인 접근이다.


    고유한 속성이란 것은 없다. 그것은 막연한 표현이며 얼버무리는 말이다. 모든 정보는 변화에 대한 정보이며 모든 변화는 관계의 변화다. 관계와 그 변화야말로 존재의 알파요 오메가다. 관계는 어떤 둘이 만나는 방식이다. 존재는 어떻게 만나는지에 따라서 성질을 획득한다.


    구조론은 어떤 대상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둘의 사이의 관계를 바라본다는 점이 각별하다. 둘이 만나는 방식에 정보가 있다. 관계의 종류는 다섯이다. 다섯 가지의 서로 다른 만남의 방식이 있다. 더 이상의 관계는 없다. 만나려면 움직여야 하고 움직이면 단절되기 때문이다.


    이쪽을 연결하면 저쪽이 끊어진다. 풍선효과와 같다. 이쪽을 누르면 저쪽이 나온다. 엔트로피의 법칙에 따라 사건 안에서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는 만남의 형태에는 제한이 걸린다. 부자관계와 부부관계는 동시에 성립할 수 있다. 누군가의 남편이면서 동시에 누구의 아빠가 된다.


    그러나 동시에 두 여자의 남편이 되거나 두 엄마의 자식이 될 수는 없다. 이 사람의 자식이면 저 사람의 자식이 아니다. 어떤 하나가 동시에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형태는 최대 다섯이다. 여섯이 되는 순간 하나가 떨어져 나간다. 에너지는 움직이고 움직임에 의해서 연결된다.


    연결되면 관계를 맺는다. 그러나 동시에 하나가 떨어져 나간다. 결혼하면 친구와 멀어진다. 연결과 단절에서 사건의 안과 밖이 결정된다. 안으로는 연결되며 외부와는 끊어진다. 연결은 내부적으로만 일어난다는 것이 엔트로피의 법칙이다. 안과 밖을 가르는 기준이 곧 사건이다.


    내부적으로 동시에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성질과 외적으로 동시에 관계를 맺을 수 없는 성질에 의하여 관계는 다섯뿐이다. 그것이 질, 입자, 힘, 운동, 량이다. 수학적으로는 체, 계, 각, 선, 점이다. 관계는 연결되고 끊어지며 의사결정의 단위를 만든다. 그것은 곧 사건의 단위다.


    사건 안에서 관계는 통제된다. 그것이 구조다. 에너지가 작용하면 계가 성립되고 외부와 끊어지며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사건의 단위를 구성한다. 이때 내부에서 그 내부의 내부로, 그리고 그 내부의 내부의 내부로 계속 연결되어 간다. 그러나 에너지로는 그 연결이 끊어져 있다.


    자동차가 움직이면 출발선에서 멀어진다. 연결이 끊어진 것이다. 그러나 엔진과 바퀴는 연결되어 있다.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에너지적으로는 끊어져 있다는 것이 엔트로피다. 이렇게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에너지적으로 끊어진 형태는 다섯 가지가 있다.


    그것이 계다. 계 안에서 사건의 진행은 체, 각, 선, 점으로 진행하며 이 방향으로 갈 때에 한해 에너지가 전달된다. 그 역방향으로 가면 에너지가 단절된다. 여기서 통제된다. 에너지가 공급되는 라인은 하나뿐이므로 경우의 수는 제한된다. 이에 만유의 질서가 작동하게 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5.06 (05:13:28)

"모든 정보는 변화에 대한 정보이며 모든 변화는 관계의 변화다."

http://gujoron.com/xe/1198708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36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320
4795 김근태 대통령은 없다 김동렬 2003-05-17 13327
4794 보이지 않는 손을 보라 image 1 김동렬 2011-12-12 13326
4793 김두관 전 장관님 보세요. 김동렬 2005-04-11 13324
4792 [펌] 서프라이즈의 뽀띠님의 글... 은혜 2002-11-09 13324
4791 하이눈과 리오브라보 image 김동렬 2017-03-21 13323
4790 기본의 기본을 검토하자 image 2 김동렬 2017-04-04 13320
4789 핵 위협 - 후진타오와 노무현의 담판으로 간다. image 김동렬 2002-12-31 13319
4788 구조의 탄생 image 2 김동렬 2011-07-07 13318
4787 줄기파동 중간점검 김동렬 2006-02-07 13316
4786 남자 전여옥 임지현 김동렬 2005-01-20 13316
4785 믿음이란 무엇인가? image 6 김동렬 2012-06-19 13314
4784 조중동은 추석이 엄따 image 김동렬 2003-09-07 13314
4783 우정과 애정 사이 image 김동렬 2017-09-22 13297
4782 앨 고어의 길과 김근태의 길 김동렬 2002-10-22 13294
4781 인류의 스승은 공자뿐이다. image 2 김동렬 2017-12-20 13289
4780 칸토어의 죽음 image 11 김동렬 2013-01-11 13289
4779 초보대통령께 드리는 당부 image 김동렬 2003-04-07 13287
4778 불이 타는가 나무가 타는가? image 2 김동렬 2017-07-10 13286
4777 상대어를 버리고 절대어를 훈련하라. image 6 김동렬 2012-01-26 13284
4776 정동영은 행운아인가? 김동렬 2006-02-02 13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