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380 vote 0 2019.12.25 (21:56:26)


     아킬레스와 거북이의 경주


    크기라는 것은 존재할까? 모눈종이 위에 그림을 그린다면 크기가 있다. 그런데 종이가 구겨져 있다면? 늘어진 고무줄 위에 금을 그었다면? 우리는 당연히 크기가 있다고 여긴다. 그러나 크기는 있는게 아니라 어떤 이유로 정해지는 것이다. 합의해서 룰을 정해야 한다. 누구랑 합의할까? 


    거북이와 아킬레스는 합의할 수 없다. 경쟁자이기 때문이다. 심판을 봐줄 제 3자가 필요하다. 소립자라면 주변과의 상호작용이 룰을 정한다. 애초에 크기가 없으므로 거북이 빠른지 아킬레스가 빠른지는 논할 수 없다. 그것은 주변공간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상대적인 관계로 도출된다. 


    A가 B보다 가깝다고 말할 수 없다. 그러나 B보다 A와 더 많은 상호작용을 한다면 A가 B보다 가깝다고 말할 수 있다. 미시세계에서는 뒤에 있는 B가 앞에 있는 A보다 가까울 수 있다. 어떤 이유로 더 많은 상호작용을 한다면 말이다. 그러나 대개는 앞에 있는 것이 더 많이 상호작용한다. 


    일단은 그럴 확률이 더 높기 때문이다. 공간이나 시간이라는 개념은 상호작용의 빈도를 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정한 방향으로 더 많은 상호작용이 일어난다면 공간이 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과연 공간이 휜 것일까? 공간이 휘었다는 말로 나타낼 수 있는 요인이 있는 것이다. 


    크다 작다의 판단기준은 인간의 신체다. 어릴 때는 골목길이 넓어 보인다. 6학년 형들은 키가 크고 덩치가 우람해서 존경심이 들 정도이다. 어른이 되면 이등병 군인아저씨도 햇병아리처럼 귀여워 보인다. 비교판단은 모두 틀린 것이다. 상대적 관점이기 때문이다. 절대성으로 갈아타자.


    상호작용의 빈도가 크기를 결정한다. 자연은 더 효율화된 방향으로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다. 그것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비효율적이면 뒤로 밀리고 깨진다. 공간과 시간은 보다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게 되는 수학적 원리의 반영이다. 방향을 트는 방법으로 효율을 달성하면 공간이다.


    방향전환을 반복하는 방법으로 효율을 달성하면 시간이다. 만유는 어떻게든 가장 효율적인 코스로 의사결정한다. 그것이 주변을 이기기 때문이다. 공간과 시간은 계를 이룬 에너지가 언제나 주변환경에 대해 상대적인 효율성을 달성하는 형태로 이동하는 수학적 원리의 반영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12.26 (01:23:51)

"공간과 시간은 보다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게 되는 수학적 원리의 반영이다. 방향을 트는 방법으로 효율을 달성하면 공간이다. 방향전환을 반복하는 방법으로 효율을 달성하면 시간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95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921
4693 구조체의 판정 1 김동렬 2009-05-08 13106
4692 구조론 쉽게 이해하기 김동렬 2009-02-13 13106
4691 과학할 자격을 묻다 image 김동렬 2017-08-14 13103
4690 노사모 새 집행부를 환영하며 김동렬 2004-10-07 13103
4689 Re.. 개쌔끼들...다 죽여야한다. 미군개새끼 2002-11-25 13102
4688 신과 나 그리고 세계인격 김동렬 2008-09-20 13100
4687 "명계남이 옳소" image 김동렬 2005-01-13 13099
4686 펀생전 김동렬 2003-01-22 13096
4685 무엇을 말하고 싶었는가? 8 김동렬 2010-09-10 13093
4684 조광조가 그립다 김동렬 2004-05-11 13089
4683 그림정리 image 김동렬 2017-08-29 13088
4682 이상주의자가 되라 김동렬 2005-06-02 13087
4681 쇼트트랙의 성공사례 김동렬 2006-02-28 13085
4680 노무현의 그랜드디자인 김동렬 2005-10-26 13084
4679 고쳐 쓴 학문의 역사 1 김동렬 2006-01-19 13080
4678 논객인가 정치인인가..(인터넷 논객의 몰가치적인 정치적 글쓰기) 스피릿 2003-05-16 13080
4677 진보는 오버해야 산다 김동렬 2006-06-03 13077
4676 일본, 무엇이 문제인가? 김동렬 2005-04-20 13077
4675 한국교육의 성공과 한계 2 김동렬 2011-04-24 13076
4674 천재는 어떻게 발명되는가? image 1 김동렬 2014-10-19 13073